$\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이미지 및 만족도에 관한 이용 후 평가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대상으로 -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Image and Satisfaction for Storytelling Theme on the Kim Gwang-Seok Stree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5, 2018년, pp.59 - 68  

구민아 (영남대학교 산림자원및조경학과) ,  엄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원예조경학부 조경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 계획되고 있는 가로 중 스토리텔링에 의한 테마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 길'을 대상으로 이용 후 평가를 이미지와 만족도를 중심으로 시행하였다. 이는 새로운 장소성을 가진 공간으로 스토리텔링 테마골목 중 낙후된 골목재생을 위해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의 음악과 예술에 관한 주제로 스토리텔링 장소로써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계획, 관리에 필요한 자료가 되기 위해서이다. 이용자 2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문항과 이용행태, 동기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미지선호도와 만족도평가는 신뢰도분석, 평균치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별, 지역별 그룹의 이미지와 만족도 차이를 분산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 특성은 20대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이용 동기와 활동유형은 산책과 구경, 사진촬영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미지평가 변수들은 매우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평균치들은 상징적인(5.03), 친근한(4.84), 아름다운(4.71), 밝은(4.63) 등의 순으로 높았다. 요인분석 결과, 거리의 분위기, 디자인성 및 역동성 등의 3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징적인(${\beta}=.314$), 안정된(${\beta}=.248$), 친근한(${\beta}=.204$), 시원한 (${\beta}=.142$)과 같은 이미지 변수들에 의해 이미지 선호도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족도평가 또한 매우 높은 신뢰도를 가지며, 요인분석 결과, 시설관리측면, 체험 요인, 이미지 요인 3가지로 분류되었고, 시설물디자인(3.81), 대표거리(3.78), 거리이미지(3.81), 지속적 이용(3.66), 체험관광(3.53)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거리이미지(${\beta}=.296$), 관리(${\beta}=.277$), 지속적 이용(${\beta}=.205$), 대표거리(${\beta}=.183$)에 관한 4개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김광석다시그리길 스토리텔링 골목의 재생사업 이후, 골목의 이미지는 상징성과 경관미, 친근감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이미지 개선에 성공한 것으로 보이고, 만족도에 있어서는 시설물디자인의 개선, 대표거리로서의 상징성과 이미지의 강화, 다양한 체험 등에서 만족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추후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계획과 관리에서는 좀 더 스토리텔링을 통한 장소성을 확립하고, 그로 인해 골목의 정체성과 상징성 또한 높아질 수 있도록 해 나가야 함을 말해 주는 결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als with post-occupancy evaluation (POE) of 'Kim Gwang-seok Street'as storytelling road for urban regeneration. The evaluation focused on image preference and use satisfaction of visitors. This is the initial project of popular singer-storytelling street as a new attraction, and the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스토리텔링 골목인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현재 이미지와 만족도에 대한 이용 후 평가이며, 지속적 모니터링의 시작으로써 앞으로 시행될 신천재정비기본계획이나 본 대상지 또는 유사한 지역의 관리계획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으로 재개발되는 많은 가로, 골목, 공원들 중에서 스토리텔링에 의해 특화되어진 테마골목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이미지 선호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모니터링을 시작하고자 하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에 의해 특화되 어진 테마골목은 전국적으로 매우 많으며, 대부분 역사, 근대사적인 인물이나 문화에 관한 것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조성되어 온 곳이다.
  • 현재까지 매우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였으나, 초기 도시재생적 측면에서의 설계 의도대로 골목의 장소성과 상징성이 높아진 것인지, 2010년 오픈하여 현재까지 8년이 지나면서 추가공간조성이나 주변시설 등에 의해 장소성의 변화가 있는 것인지에 관해 이용 후 평가를 통해 이미지 선호도와 만족도를 분석해 볼 필요가 있었다. 이를 통해 신천개발 기본계획이나 김광석길의 관리에 필요한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말하는 스토리텔링 골목이란? 스토리텔링에 의한 공간이란 설정된 주제를 소재로 방문객들에게 상징성과 이야기를 느낄 수 있도록 만드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스토리텔링 골목은 그러한 일환으로 주제화된 인물에 대한 상징화, 기념화를 위해 조성된 벽화, 시설물, 조형물 등으로 조성된 골목을 말한다.
스토리텔링의 방법에서 어떠한 정보나 지식을 스토리를 통해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즉, 스토리텔링은 스토리를 수용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단계와 어떠한 정보나 지식을 스토리를 통해서 수용자에게 전달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이야기를 기본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의 방법이며, 후자는 브랜드 스토리텔링,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공간 스토리텔링 등 지식이나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스토리텔링의 방법이다. 이는 일종의 의사소통 행위로 의사소통의 도구가 무엇인가에 따라 내용과 형식이 달라지는 것이다(Rue et al.
다린 골목들과 비교하였을 때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이 가지는 특징은? 그 중에서도 4코스의 일부인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은 문화를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사업(‘문전성시’ 프로젝트)을 통해 방천시장 동편 신천대로 둑길 350여 미터 공간에 김광석의 삶과 음악을 모티브로 30여 명의 예술가들이 만든 벽화거리이다. 다른 골목과 달리 오랜 시간 동안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되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최초로 대중가수를 테마로 인위적으로 재생 계획한 골목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은 스토리텔링이 매우 새로운 주제이기도 하나, 대부분의 근현대사 골목들과는 다르게 일시적 유행이나 관심에 의한 거리와 상권조성이 되어 원래의 의도와 다르게 변화하고 있지는 않는지(Son, 2016) 반드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더불어 이용 후 평가가 진행되어야 하는 대상지임을 설명하는 것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 S. Y. and H. S. Lee(2010) A study on the master planning of a project to design a characteristic street in Seoul: This study focused on a big street named 'Shung-San'. Journal of info Design Issue 9(4): 59-70. 

  2. Christian, N. S.(1976) Genius Loci, / Min, K. H., W. K. Bae, H. J. Lm and K. L. Choi Trans(1996) The Spirit of a Space, Seoul: Taelim Press. pp. 11-30. 

  3. Eom, B. H. and S. H. Jung(1992) 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POE) of the Shincheon riverside athletic park. Journal of Hyosung Women's University Community Development Research 1(1): 31-46. 

  4. Eom, B. H.(2016) Post-occupancy evaluation(POE) for centennial plaza in CUD. Journal of National Science of Catholic University in Daegu 14(1): 1-9. 

  5. Hun, W. J. and J. W. Jung(2010)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to enhance the placeness of specialized street: Case study based on Insa-dong Korean Cultural Street. Journal of Korean Space Design 5(3): 139-148. 

  6. Im, S. B.(2000) A City Made by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202-204. 

  7. Jeon, K. E., S. H. Hong and S. Y. Kim(2012). A street design proposal,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Journal of Urban Design 13(1): 33-50. 

  8. Joo, S. H.(2008) 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36-47. 

  9. Jung, J. H.(2014) A Study on Factors of Stakeholder's Satisfaction Affecting the Specialized Street Project: Focused on the Cases of the Seoul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KunKook University. Korea. pp. 10-100. 

  10. Kim, H. W. and S. Y. Kim(1994) Tourism Resources, Seoul: Hyeonseol Press. pp. 2-30. 

  11. Kim, S. G.(2014) Thousands of Alley. A journey to modern times, with a thousand stories in common, tour of Modern-alley, Jung-gu, Daegu, Korea. Journal of Korean Tourism Policy (56): 92-99. 

  12. Koo, M. A. and B. H. Eom(2017) Spatial structure analysis and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Jungja shelter for rural village regene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4): 99-110. 

  13. Koo. M. A., B. H. Eom and Y. S. Han(2018) A study on use satisfaction and image evaluation of user through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urban park: On the 2.28 Memorial Park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6(4): 11-20. 

  14.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04)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Management. Eighth Edition. Seoul: Munundang. pp. 225-226. 

  15. Lee, H. S., J. Y. Koo and S. W. Kim(2009) A study on visual preferences of urban commercial streetscape in the city: Focus on Sinsa-dong Garosoogil. Journal of Digital Design 12(4): 87-96. 

  16. Park, S. A. and M. W. Lee(2012)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the universal design project on Geonjisan forest trail Jeonju city.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60-69. 

  17. Park, S. H.(2012) Efficient Management Plan of Urban Ecological Park using Post Occupancy Evalua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pp. 50-87. 

  18. Rue, S. Y., J. E. Yu, S. R. Lee, Y. U. Lee, M. Y. Jang and K. M. Ju(2007). Storytelling's Understanding, Seoul: Geulnulim Press. pp. 20-22. 

  19. Son, Y. B.(2016) An artist's creation, Kim Gwang-seok Street. Journal of Locarity's Humanities (51): 2-3. 

  20. Suh, H. H., H. S. Yeo and H. H. Yeu(2012)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for the created by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cusing on the Dongdaemun History and Culture Park. Journal of Digital Design Study 12(4): 265-274. 

  21. Tuan, Y. F.(1995). Space and Place. Trans Jung, Y. K.(1995). Space and Place Seoul: Taelim Press. pp. 2-20. 

  22. Yang, W. C.(2017) A study on urban regeneration approach for specialized distance activation: Focusing on good street in Sunhwa-dong. Jung-gu, Daeje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2): 377-388. 

  23. Yoon, S. W. and J. H. Hwang(2014) Study on the design pf paving as utilizing local resources: Focusing on Jinchen 'Sangsan-eight sceneried'. Journal of Basic Design 15(1): 385-3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