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A Study of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8 no.5, 2018년, pp.693 - 703  

손미현 (서울대학교) ,  정대홍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역량 중의 하나는 지식정보처리 역량일 것이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이기도 하면서 과학 교과와 매우 관련이 깊다. 역량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지만 수업 내에서의 실천은 교사의 의지에 달려있다. 따라서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수업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서울의 중학교 교사 32명과 고등학교 교사 32명의 객관식 및 주관식 설문과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관련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 3인의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해서 모든 교사가 그 중요성을 공감하였으며 정보화 사회라는 시대적 흐름과 과학적 역량 함양이라는 교과 목표와 연관지어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수업에서 실천하는 경우는 많지 않았는데, 이는 설문 결과는 수업 시간의 부족으로, 면담 결과에서는 교사의 PCK 부족을 꼽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 관련 연수 경험은 절반 정도였으나 대부분 정보활용 교육에 관련된 것으로 수집과 분석 부분에 대한 연수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요소별 중요도는 정보수집, 분석, 활용 모두 매우 높았으며 그 중 정보분석이 가장 높았다. 대부분은 중학교 교사의 중요도 인식이 더 컸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정보수집 요소에서 정보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이 유의 수준에서 더 높았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의 함양을 위해서는 과학 교과 수업시간에 정보처리역량을 강조할 수 있도록 과학 탐구의 의미를 확대하고 타교과와의 연계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이 교과 교육내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제도적 뒷받침과 역량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방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important competencies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s the competency of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This is closel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and described as one of th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Even with a general agreement of the educ...

주제어

표/그림 (1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살펴보았을 때 과학교육에서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어떤 관계를 갖는가? 지식정보처리역량은 과학교육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6가지의 핵심역량 중 지식정보처리 역량은 과학 교과와 가장 깊은 관련을 갖고 있으며(Lim &Jang, 2016), 과학과 핵심역량 중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지식정보처리역량과 관련되어 있다(Lee et al., 2017; Lee, Kim, &Kim, 2017).
지식정보화사회는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특징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이다. 지식정보화사회는 정보의 유통량이 팽창하고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고 정보의 처리,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정보의 사회 경제적 가치가 높게 부여되는 사회이다(Kim, 1999).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정보는 지식을 창출하며, 정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과 통신기술이 필요 하다.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특징은 무엇인가? 4차 산업혁명의 가장 큰 특징은 지식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이다. 지식정보화사회는 정보의 유통량이 팽창하고 정보통신 기술이 급격히 발달하면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고 정보의 처리,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정보의 사회 경제적 가치가 높게 부여되는 사회이다(Kim,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hn, S. (2017). Analysis on students background factors influencing to ICT literacy level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4), 67-75. 

  2.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 &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1998). Information power: B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3. Bae, J., Kim, J., Kim, E. & So, K. (2015). The effect of elementary free inquiry lessons utilizing flipped learning with smart devices on the elementary students' digital literacy, 21st century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4), 476-485 

  4. Bae, K. (2014). A study on the relevance judgement of college students in problem solving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189-206. 

  5. Bryan, L. A. (2003). Nestedness of beliefs: Examining a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belief system abou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9), 835-868. 

  6. Ceccucci, W., Tamarkin, D. & Jones, K. (2015). The Effectiveness of Data Science as a means to achieve Proficiency in Scientific Literacy.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Journal, 13(4), 64. 

  7. Choi, S., & Hwang, H. (2012). A Case of the competencies-based mathematics lessons of one French foreig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1), 81-108. 

  8. Do, S., Hwang, Y., & Park, J. (2009)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the middle school science experiment class for teaching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2), 184-192. 

  9. Garvey, W. D., & Griffith, B. C. (1972).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within scientific disciplines: Empirical findings for psychology.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8(3), 123-126. 

  10. Jho, H. (2018). An analysis of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presented in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Focusing o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22(3), 208-218. 

  11. Jung, C., & Shin, D. (2015). The learning experience of 7th graders on NOS (Nature of Science) as a process in research-bas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629-648. 

  12. Kim, S., & Jeong, E. (2017). Analysis of science writing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4), 53-76. 

  13. Kim, T., & Kim, B. (2002). The comparison of graphing abilities of pupils in grades 7 to 12 based on TOGS (The test of graphing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68-778. 

  14. Kim, T., Bae, D., & Kim, B. (2002). The relationships of graphing abilities to logical think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2(4), 725-739. 

  15. Kim, Y. (2016). The development of project 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promoting the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The Magazine of KIICE, 20(11), 2172-2180. 

  16. Kim, Y. (1999). Multimedia and the information society(3th). Seoul: Nanam. 

  17. Kirschner, P., Strijbos, JW., Kreijns, K. & Beers, PJ. (2004). Designing electronic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3), 47-66. 

  18. Koh, E., & Jeong, D. (2014). Study on Korean science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19.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KOFAC) (2018). Development of Korean science education standards (KSES) for the next generation. Seoul: KOFAC. 

  20. Kwak, Y. (2012). Research on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methods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5), 855-865. 

  21. Lee, H. (2004). Study of contents development of information literacy with delphi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1), 303-322. 

  22. Lee, J., Kim, E., & Kim, D. (2017).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subject competenc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revised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of science in 2015.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1-25. 

  23. Lee, J., Lee, K., & Park, Y. (2010).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nd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in earth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4), 378-391. 

  24. Lee, K., Kawk, Y., Lee, S. & Choi, J. (2017).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Seoul: Jinhan M&B. 

  25. Lee, S., & Lee, K. (2013). Teacher's core competencies for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knowledge-based societ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3), 203-223. 

  26. Lim, Y., & Jang, S. (2016).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749-771. 

  27.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An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확정.발표). The press release of Ministry of Education, 2015.9.23. 

  28.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29. Ministry of Education (MOE), &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2000). 2000교육정보화백서. Seoul: Information. 

  30. Nam, C., & Ahn, S. (2016). Analyzing the levels of ICT literacy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3), 525-535.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3. Park, E. (2018). Re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backward design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KonKuk University. 

  34. Powell, J. & Anderson, R. D. (2002). Changing teachers' practice: Curriculum materials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in the USA.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7, 107-135. 

  35. So, K. (2007). "Competency" in the context of schooling: It's meaning and curricular Implication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1-21. 

  36. Son, M., Cho, Y. & Jeong, D. (2018). Role and characteristics of digital inquiry instruments in aspect of affordance: Focused on science inquiry activity. The Korea Society for School Science, 12(2), 274-286. 

  37. Son, M., Jeong, D. & Son, J. (2018).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fficulties in science inquiry activity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8(3), 441-449. 

  38. Song, J. & Kwon, O. (2011). An analysis of graphing domain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curriculum textbooks. School Mathematics, 4(2), 161-191. 

  39. Song, S. & Shim, K. (2012). Study on perception of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bout composing laboratory reports by grade.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303-312. 

  40. Schwandt, T. A. (1997). Qualitative inquiry: A dictionary of terms. Sage Publications, Inc. 

  41. Yu, C., Yoon, K. & Jeon, S. (2017). Exploring the difficulties and tasks for subject competencies oriented physical education lesson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5), 267-2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