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에 원격재활이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on Mo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4, 2018년, pp.7 - 18  

신윤찬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원격재활을 적용하고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본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원격재활에서 사용한 원격감독 방법과 원격으로 제공된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아 국내에서의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18년 4월까지의 국외 문헌들을 PubMed, Embase 그리고 Cochrane을 통해 수집하였고 RISS를 통해 국내 문헌을 검색, 수집하였다. 국외 논문 검색어로는 Telerehabilitation, Telemedicine, Stroke을 사용하였고 국내 문헌은 원격재활, 뇌졸중, stroke, CVA, 뇌혈관질환 검색어를 사용하였다. 총 406개의 국외 문헌과 15개의 국내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총 7개의 문헌이 분석대상 문헌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7편의 문헌 모두 원격재활을 적용받는 그룹에게 중재를 원격에서만 제공하였으며 전, 후 비교를 통해 운동기능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원격재활 중재의 유의미한 효과를 전, 후 비교(n=7) 및 그룹간의 비교(n=4)를 통해 분석하여 운동기능에서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원격감독은 목적에 따라 중재로써의 감독(n=4)과 확인을 위한 감독(n=3)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제한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원격재활의 적용이 잠재적인 대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 원격재활의 실질적인 국내적용을 위해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비용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원격재활을 통해 제공되는 가장 효율적인 중재별 원격감독 방법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on stroke patients through remotely operated intervention and monitoring. Methods: Literature from 2000 to April 2018 was collected through PubMed, Embase, Cochrane, and RISS. We used telerehabilitation, telem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격재활이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국내 및 국외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원격감독 방법 및 중재 효과를 분석함으로 원격재활을 국내에서 실질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00~2018년 4월까지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기능 손상의 회복에 원격재활의 효과를 알아본 7개의 무작위 대조실험 연구를 선정하였고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이 이루어진 연구의 대상자 수는 10~54명으로 7개 연구의 총 대상자 수는 213명이였다.
  •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에 원격재활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적용된 중재와 원격감독 방법을 분류, 분석하여 국내 임상적용에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선정한 논문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7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결과, 전통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에 제한이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원격재활의 적용이 잠재적인 대체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한적으로 확인하였다.
  • 마지막으로 가장 효율적인 원격 재활 중재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재활의 국내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으로, 중재방법과 원격감독 방식을 쉽게 참고할 수 있도록 분류, 정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기능 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해 어떠한 중재방법들이 이용되는가? Langhorne 등(2009)의 문헌 고찰에 의하면 뇌졸중으로 인한 운동기능 손상을 회복시키기 위해 19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는 중재가 적용되고 있으며 중재 내용으로는 양측성 훈련, 반복 과제 훈련, 강제유도운동(CIMT), 전기 자극, 로봇치료, 운동 등이 있다(Langhorne, Coupar, & Pollock, 2009). 이처럼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정작 환자들은 재활치료로부터 최대한의 효율을 얻지 못하고 있다.
원격재활은 무엇인가? 원격재활이란 환자와 치료사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원격에서 통신장비나 의사소통 기술을 통해 평가, 진단, 목표설정, 치료, 교육 및 모니터링을 제공하는 대체적인 재활서비스를 뜻한다(Laver et al., 2013).
뇌졸중환자들은 재활치료로부터 최대한의 효율을 얻지 못하는데 그 원인은 무엇인가? 이처럼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 회복을 위한 중재는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지만 정작 환자들은 재활치료로부터 최대한의 효율을 얻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로는 환자와 중재자 사이의 접근성, 중재를 위한 모든 과정에서의 비용, 환자의 이동상의 어려움과 환자의 수용능력 등이 있으며, 외래 치료를 받는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 또한 하루 중 병원치료 이외의 시간에는 간호인의 부족과 지식의 부족으로 재활치료를 받는 것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Shim, 1999; Lang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통계청. (2017). 2017년 사망원인통계. 

  2. Agostini, M., Moja, L., Banzi, R., Pistotti, V., Tonin, P., Venneri, A., & Turolla, A. (2015). Telerehabilitation and recovery of motor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21(4), 202-213. doi:10.1177/1357633x15572201 

  3. Arbesman, M., Scheer, J., & Lieberman, D. (2008). Using AOTA's critically appraised topic (CAT) and critically appraised paper (CAP) series to link evidence to practice. OT practice, 13(5), 18-22. Retrieved from https://search.proquest.com/docview/232422960 ?accountid15179 

  4. Bujnowska-Fedak, M. M., & Grata-Borkowska, U. (2015). Use of telemedicine-based care for the aging and elderly: Promises and pitfalls. Smart Homecare Technology TeleHealth, 3, 91-105. 

  5. Chen, J., Jin, W., Dong, W. S., Jin, Y., Qiao, F. L., Zhou, Y. F., & Ren, C. C. (2017). Effects of home-based telesupervising rehabilitation on physical function for stroke survivors with hemiplegia: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96(3), 152-160. doi:10.1097/PHM.0000 000000000559 

  6. Chen, J., Jin, W., Zhang, X.-X., Xu, W., Liu, X.-N., & Ren, C.-C. (2015). Telerehabilitation approaches for stroke patien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Stroke Cerebrovascular Diseases, 24(12), 2660-2668. doi:10.1016/j.jstrokecere brovasdis.2015.09.014 

  7. Choi, S. A. (200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Master's the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9729176 

  8. Chumbler, N. R., Quigley, P., Li, X., Morey, M., Rose, D., Sanford, J., & Hoenig, H. (2012). Effects of telerehabilitation on physical function and disability for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troke, 43(8), 2168-2174. doi:10.1161/STROKEAHA.111. 646943 

  9. Gamble, J. E., Savage, G. T., & Icenogle, M. L. (2004). Value-chain analysis of a rural health program: Toward understanding the cost benefit of telemedicine applications. Hospital topics, 82(1), 10. 

  10. Han, S. H., Kim, D. I., Kim, J. H., Park, A. R., Park, C. H., Lee, B. M., . . . Kam, K. Y. (2012). Effect of telerehabilitation using mobile phone on motor function recovery in chronic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3), 67-79. 

  11. Huijgen, B. C., Vollenbroek-Hutten, M. M., Zampolini, M., Opisso, E., Bernabeu, M., Van Nieuwenhoven, J., & Marcellari, V. (2008). Feasibility of a home-based telerehabilitation system compared to usual care: Arm/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and multiple sclerosis. Journal of Telemedicine Telecare, 14(5), 249-256. doi:10.1258/ jtt.2008.080104 

  12. Lang, C. E., MacDonald, J. R., Reisman, D. S., Boyd, L., Kimberley, T. J., Schindler-Ivens, S. M., & Scheets, P. L. (2009). Observation of amounts of movement practice provided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90(10), 1692-1698. doi:10.1016/j.apmr.2009.04.005 

  13. Langhorne, P., Coupar, F., & Pollock, A. (2009).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The Lancet Neurology, 8(8), 741-754. doi:10.1016/S1474-4422(09)70150-4 

  14. Laver, K. E., Schoene, D., Crotty, M., George, S., Lannin, N. A., & Sherrington, C. (2013). Telerehabilitation services for strok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12). doi:10.1002/14651858.CD010255.pub2 

  15. Law, M. C., & MacDermid, J. (2008). Evidence-based rehabilitation: A guide to practice. Minnesota: Slack Incorporated. 

  16. Lee, H. Y., Kim, H., Kwon, H. C., Cho, Y. N., & Lee, S.W. (2016). Effects of the distant action-observation training program on function restorations of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4(1), 1-13. doi:10.14519/jksot.2016.24.1.01 

  17. Lim, Y. M., Lee, j. Y., Jo, S. J., Ahn, Y. S., & Yoo, D. H. (2017). A systematic review on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for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7(1), 59-70. doi:10.18598/kcbot.2017.07.01.07 

  18. Lin, K. H., Chen, C. H., Chen, Y. Y., Huang, W. T., Lai, J. S., Yu, S. M., & Chang, Y. J. (2014). Bidirectional and multi-user telerehabilitation system: Clinical effecton balance, functional activity, and satisfa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living in long-term care facilities. Sensors, 14(7), 12451-12466. doi:10.3390/s140 712451 

  19. Linder, S. M., Rosenfeldt, A. B., Bay, R. C., Sahu, K., Wolf, S. L., & Alberts, J. L. (2015).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after stroke through telerehabilit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9(2), 6902290020p6902290021-6902290020p6902290010. doi:10.1016/j.apmr.2014.10.019 

  20. Llorens, R., Noe, E., Colomer, C., & Alcaniz, M. (2015). Effectiveness, usability, and cost-benefit of a virtual reality-based telerehabilitation program for balance recovery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6(3), 418-425 e412. doi:10.1016/j.apmr.2014.10.019 

  21. McCue, M., Fairman, A., & Pramuka, M. (2010). Enhancing quality of life through telerehabilitation.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Clinics, 21(1), 195-205. doi:10.1016/j.pmr.2009.07.005 

  22. Park, J. H., Choi, S. M., Ahn, E. M., Kang, S. H., & Lee, K. H. (2018). Stroke risk factors and primary prevention. Weekley Health and Disease, 11(37), 1224-1230. 

  23. Piron, L., Turolla, A., Agostini, M., Zucconi, C., Cortese, F., Zampolini, M., . . . Tonin, P. (2009). Exercises for paretic upper limb after stroke: A combined virtual-reality and telemedicine approach.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41(12), 1016-1102. doi:10. 2340/16501977-0459 

  24. Piron, L., Turolla, A., Tonin, P., Piccione, F., Lain, L., & Dam, M. (2008). Satisfaction with care in post-stroke patients undergoing a telerehabilitation programme at home. Journal of Telemedicine and Telecare, 14(5), 257-260. doi:10.1258/jtt.2008.080304 

  25. Pyun, S. B., Kim, S. H., Hahn, M. S., Kwon, H. K., & Lee, H. J. (1999).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2), 233-239. 

  26. Shim, M. S. (1999). A study of the home care needs between inpatients and home patients. [A study of the homecare needs between inpatients and home patients]. Journal of Konyang University, -(7), 291-304. 

  27. Werner, R. A., & Kessler, S. (1996). Effectiveness of anintensive outpatient rehabilitation program for postacute stroke patients1.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Rehabilitation, 75(2), 114-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