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수도관망 수원-절점 최소거리와 에너지 지표 상관성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nergy indices and source-to-node shortest pathway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1 no.11, 2018년, pp.989 - 998  

이승엽 (유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정동휘 (계명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원과 수용가 간 연결성은 비정상상황 시 상수도관망의 기능 유지 정도를 나타내는 시스템 특성 중 하나이다. 상수도관망은 점과 선으로 구성된 그래프로 간략화 될 수 있기 때문에, 연결성 평가를 위해 주로 그래프 이론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상수도관망에 적합하지 않은 무향-비가중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을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복잡한 수리해석 없이 상수도관망 연결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 SNSP (Source to Node Shortest Pathway)와 이의 역수인 SNSP-Degree (SNSP-D)를 제안하였다. 국내 J시 42개의 상수도관망을 이용하여 개발된 SNSP와 기존 상수도관망 성능평가지표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 및 검증하였다. 기존 상수도관망 성능평가지표는 수리해석 결과를 지표 계산에 이용하는 3개의 회복력(Resilience) 지표와 에너지 효율 지표이다. 분석 결과, SNSP의 역수인 SNSP-D의 합과 기존 상수도관망 성능지표 사이에 평균적으로 0.87 이상의 높은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PCC) 값이 도출되었다. 특히, 회복력 지표 중 하나인 Modified Resilience Index (MRI)와 에너지 효율 지표의 경우 PCC 0.93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SNSP-D와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간의 상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학적 변인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SNSP 지표가 상수도관망의 대략적인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수준을 알려줄 수 있는 지표로 실무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nectivity between water source and demand node can be served as a critical system performance indicator of the degree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WDN)' failure severity under abnormal conditions. Graph theory-based approaches have been widely applied to quantify the connectivity due to WDN's 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SNSP 및 SNSP-D 산정 시 수리해석이 진행되지 않기에, 실제 수리 거동에 따른 에너지 손실과 경향이 같은지 알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NSP 및 SNSP-D의 상수도관망 수리 거동 반영 정도를 평가를 위해 사용된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을 정리한다.
  • 42개 상수도관망은 관의 개수와 수용가의 개수 그리고 형태가 모두 다르나 모두 단일 수원에서 물을 공급 받는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변중 오직 관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처음 소개되는 SNSP개념의 효용성 검증하기 위함으로, 선택된 42개의 상수도관망은 모두 펌프와 밸브가 없는 관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모든 관의 정보는 실제 정보를 사용하였으나, 관들의 노후도 정보의 경우 모든 관들을 매설 직후 상태인 신관으로 가정하고 모의하였다.
  • 본 연구는 아직 상수도관망에는 적용이 활발히 되지 않았던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의 적용 예시를 SNSP의 개념을 통해 소개하였으며, 이의 역수인 SNSP-D를 통한 수리거동 예측 정도를 분석했다. SNSP의 장점은 복잡한 수리해석이 필요하지 않아, 수리해석이 불가하거나 오래 걸리는 경우에 적용이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다는 점이다.
  • 또한 SNSP가 상수도관망에서 분리된 수용가에서 그 값이 0이 되어 에너지 손실 면에서 이익을 갖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SNSP의 역수 값인 SNSP-Degree (SNSP-D)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NSP-D는 42개의 J시 소재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여 총 네 가지 수리해석 기반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지표와 그 상관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SNSP-D 분석 결과가 상수도관망의 다른 구조적 위상에서 오직 구조해석 만으로 수리 거동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42개 상수도관망 각각에서 구조적 위상을 바꾸어가며 SNSP 분석(SNSP 산정과 SNSP-D 산정을 일컬음)을 할 때 이러한 변화로 인한 수리 거동 예측이 수리해석과 별개로 가능한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구조적 위상의 변화는 단일 관 파괴 모의를 통해 모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상수도관망에 적용된 무향-비가중 그래프 이론을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으로 확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원-절점 최소 거리(Source-to-Node Shortest Pathway; SNSP)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SNSP는 수원과 각 수용가까지의 최소 거리를 산정하는 정량화법으로 정의하며, 수원과 수용가까지의 총 거리가 길어질수록 상수도관망의 전반적인 에너지 손실 및 회복력과 연관된 특성이 변동하는 것에서 기인한 개념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무향-비가중 그래프 이론을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으로 확장하고 SNSP의 개념을 소개하여 이와 수리해석에 기반한 다양한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절에서는 먼저 그래프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 소개, SNSP 정량법 소개, 마지막으로 기존 상수도관망의 수리해석 기반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정량법들을 소개한다.
  • 본 절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NSP의 정의 및 정량법을 소개한다. SNSP는 수원에서 각 수용가까지의 최소거리를 산정하는 정량법으로, 해당 값이 커질수록 에너지 손실이 증가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SNSP-D는 42개의 J시 소재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여 총 네 가지 수리해석 기반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지표와 그 상관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SNSP-D 분석 결과가 상수도관망의 다른 구조적 위상에서 오직 구조해석 만으로 수리 거동 예측이 어느 정도 가능한지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SNSP-D와 회복력 및 에너지 효율 간의 상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학적 변인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수용가 수준에서의 SNSP-D와 수용가의 압력 및 수두 간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변중 오직 관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처음 소개되는 SNSP개념의 효용성 검증하기 위함으로, 선택된 42개의 상수도관망은 모두 펌프와 밸브가 없는 관으로만 이루어져 있다. 모든 관의 정보는 실제 정보를 사용하였으나, 관들의 노후도 정보의 경우 모든 관들을 매설 직후 상태인 신관으로 가정하고 모의하였다.
  • 만약 상수도관망이 단일 수원이 아닌 다중 수원인 경우 여러 개의 수원 중 각 수용가에 이르는 SNSP가 더 짧은 것을 선택한다. 상수도관망의 에너지 손실는 SNSP 역수의 총 합에 반비례한다고 가정한다. 역수를 취한 것은 SNSP의 경우 수원에서 분리된 수용가의경우 경로가 존재하지 않기에 0으로 산정되어 수원에서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산정되어 더 유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며 SNSP의 역수를 SNSP-Degree (SNSP-D)로 정의한다.
  • (8)이다. 총 세 가지 회복력 계수들은 모두 여분 에너지(surplus energy) 기반으로 회복력을 산정하는 방법들로, 여분 에너지가 많을수록 상수도관망의 회복력이 높다고 가정한다. 여분 에너지를 높이는 방법은 크게 공급 에너지를 높이거나 소산되는 에너지(에너지 손실)를 줄이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수도관망은 무엇인가? 상수도관망은 수원에서 취수, 정수 처리장에서 정수 처리된 물을 각 수용가에 일정 압력 및 수질을 유지하며 공급 및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사회기반시설물 중 하나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0). 안정적인 물 공급을 위해 상수도관망은 관, 펌프, 터빈, 밸브와 같이 흐름을 제어하는 요소와 탱크와 같이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요소들로 구성된다.
상수도관망이 평면 그래프로 취급될 수 있는 이유는? 1에서 상수도 관망을 나타낸 화면을 보면, 좌측 끝의 수원(Reservoir), 수용가(Node), 그리고 가운데 상단 탱크(Tank)와 같은 지점 요소들은 점으로, 각 점을 이어주는 관(Pipe)과 좌측 수원에서 수용가를 이어주는 펌프(Pumps) 같은 연결 요소들은 변으로 표현한다. 이와 같이 점과 변으로 구성되는 그래프와 같은 기하적 구조로 인해 상수도관망은 종종 평면 그래프(planar graph)로 간주되며, 이런 이유로 그래프의 구조해석을 하는 연구인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이 상수도관망에도 적용되었다(Yazdani and Jeffrey, 2011).
상수도관망에는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이 더 적합한 이유는? 다만, 상수도관망에 그래프 이론을 적용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무향-비가중 그래프이론을 사용하였다. 그래프 이론의 종류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기술할 것이나 총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중 무향-비가중 그래프 이론은, 모든 변이 양방향임을 가정하고 해당 변 혹은 점의 존재가 중요한 것으로 단순히 개수를 세어서 다양한 정량화법을 측정하는 그래프 이론의 종류를 일컫는다. 그러나 상수도관망의 경우 관, 펌프, 그리고 밸브에서의 유량 흐름의 방향은 양방향이 아닌 단방향이며 관의 통수능 역시 관경, 관의 길이, 노후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이하다. 이에 상수도관망은 무향-비가중 그래프 이론이 아닌 유향-가중 그래프 이론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enazi, M. J., and Sterbenz, J. P. (2015), "Comprehensive comparison and accuracy of graph metrics in predicting network resilience.", 1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esign of Reliable Communication Networks (DRCN2015), IEEE, pp. 157-164. 

  2. Bruneau, M., Chang, S. E., Eguchi, R. T., Lee, G. C., O'Rourke, T. D., Reinhorn, A. M., Shinozuka, M., Tierney, K., Wallace, W. A., and von Winterfeldt, D. (2003).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Vol. 19, No. 4, pp. 733-752. 

  3. Davidson, J., Bouchart, F., Cavill, S., and Jowitt, P. (2005). "Realtime connectivity modeling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to predict contamination spread."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 19, No. 4, pp. 377-386. 

  4. Di Nardo, A., Di Natale, M., Giudicianni, C., Greco, R., and Santonastaso, G. F. (2017). "Complex network and fractal theory for the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 resilience to pipe failure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Water Supply, ws2017124. 

  5. Dijkstra, E. W. (1959).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PDF). Numerische Mathematik. Vol. 1, pp. 269-271, doi: 10.1007/BF01386390. 

  6. Herrera, M., Abraham, E., and Stoianov, I. (2016). "A graph-theoretic framework for assessing the resilience of sectoris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30, No. 5, pp. 1685-1699. 

  7. Jun, H. (2006). "An evaluation of the pipe failure impact in a water distribution system considering subsystem isolation."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39, No. 2, pp. 89-98. 

  8. Jung, D., and Kim, J. (2018). "Water Distribution System Design to Minimize Costs and Maximize Topological and Hydraulic Reliability."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44, No. 9, p. 06018005. 

  9. Kessler, A., Ormsbee, L., and Shamir, U., (1990). "A methodology for least-cost design of invulnerable water distribution networks." Civil Engineering Systems, Vol. 7, No. 1, pp. 20-28.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Water distribution system stadards. 

  11. Park, J. H., Han, K. Y., (1998). "Application of Graph Theory for the Pipe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31, No. 4, pp. 439-448. 

  12. Prasad, T. D., and Park, N. S. (2004).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s for design of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0, No. 1, pp. 73-82. 

  13. Price, E., and Ostfeld, A. (2015). "Graph theory modeling approach for optimal operation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42, No. 3, p. 04015061. 

  14. Rhee, K. H., Oh, C. J., and Kang, Y. D. (2001). "Valve Searching Algorithm for Pipeline Contro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 Wastewater, Vol. 15, No. 3, pp. 222-228. 

  15. Rossman, L. A. (2000). "EPANET 2: users manual." 

  16. Sonak, V. V., and Bhave, P. R. (1993). "Global optimum tree solution for single-source loop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subjected to a single loading patter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9, No. 7, pp. 2437-2443. 

  17. Todini, E. (2000). "Loop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design using a resilience index based heuristic approach." Urban water, Vol. 2, No. 2, pp. 115-122. 

  18. Yazdani, A., and Jeffrey, P. (2012). "Water distribution system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weighted and directed network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48, No. 6. 

  19. Yazdani, A., and Jeffrey, P. (2010). "A complex network approach to robustness and vulnerability of spatially organized water distribution networks." In 12th annual Water Distribution Systems Analysis conference, WDSA2010, Tucson, USA. pp. 129-130. 

  20. Yazdani, A., and Jeffrey, P. (2011). "Applying network theory to quantify the redundancy and structural robustness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Journal of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8, No. 2, pp. 153-161. 

  21. Yazdani, A., Otoo, R. A., and Jeffrey, P. (2011). "Resilience enhancing expansion strategies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s: A network theory approach."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Vol. 26, No. 12, pp. 1574-1582. 

  22. Yoo, D. G., Chung, G., Sadollah, A., and Kim, J. H. (2015). "Applications of network analysis and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for selecting optimal water quality sensor location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19, No. 7, pp. 2333-23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