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모의 비만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 발생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Occurrence Factors of High-Risk Diseases of Pregnant Women by the Degree of Obesity 원문보기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v.19 no.3, 2018년, pp.118 - 124  

김수민 (이화여성아동병원 영상의학과) ,  예수영 (부산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신 중 비만은 다양한 합병증을 증가시키고, 출산 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인 산모가 임신중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요인들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모의 신체질량지수를 이용하여 비만 정도에 따른 고위험 질환의 일곱 가지 발생요인들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임신 중 정기검진을 받은 산모 279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비만정도를 신체질량지수로 분류하고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자극호르몬과의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해 차이분석을 실행하였다. 또한 산모의 나이, 신장기능,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산모의 비만정도가 높을수록 고혈압 산모, 당뇨산모, 이상갑상선수치를 가진 산모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모의 신체질량지수와 나이, 총콜레스테롤, 신생아몸무게와는 양의 상관관계, 신장기능수치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ecity in pregnancy causes many problems and increases risk of pregnancy complications at the time of childbirth. But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analysis of factors that are negatively affected during pregnanc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seven factors of high-risk mater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산모의 비만정도에 대한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기능이상, 노령 산모, 신장기능이상, 고콜레스테롤과 과도한 신생아몸무게의 증가 등 산모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의 종합적인 분석을 보고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질량지수에 따라 비만 정도를 분류한 산모들을 대상으로 임신성 고혈압(Gestational Hypertension; GH),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갑상선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산모의 나이, 신장기능(Blood Urea Nitrogen; BUN), 총콜레스테롤(Total-Cholesterol; T-C), 신생아몸무게(Newborn Weight)의 변화 및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므로 임신을 준비하고 있는 여성이나 임신한 여성에서도 적절한 체중 조절이 중요하다[12]. 산모가 비만이면 임신성 당뇨병과 임신중독증이 증가하며 태아는 자궁 내 사망률과 선천성 기형의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임신 중 체중이 급격하게 늘어난 산모의 경우 출산 후에도 비만, 당뇨, 고혈압, 심질환의 발생이 늘어나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중 과도한 체중의 증가의 문제점은? 이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심부전증, 허혈성 뇌졸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1]. 특히 임신 중 과도한 체중의 증가는 산모의 지방 증가, 임신 합병증의 증가, 출산 시 모체와 태아에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또한 임신 중 비만은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갑상선호르몬의 변화 등 대사성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2].
비만의 합병증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비만은 과거와는 달리 고칼로리 고지방 식품이 늘어나고 에너지 소모활동은 오히려 줄어들면서 전세계적으로 증가추세에 있다. 이는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심부전증, 허혈성 뇌졸중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1]. 특히 임신 중 과도한 체중의 증가는 산모의 지방 증가, 임신 합병증의 증가, 출산 시 모체와 태아에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임신성 당뇨란?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는 정도에 관계없이 임신 중에 발견되거나 처음 시작된 당불내성으로 정의되며 임신 중 발생하는 내과적 합병증 중 가장 흔한 질환이다. 산모에게서 임신성 당뇨는 전자간증 등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Yune Y, Obesity of women, J Korean Acad Fam Med Vol. 23, No. 5 May, 2002. 

  2. J.C. Rhodes, K. C. Schoendof, J.D. Parker, "Contribution of Exocess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and Macrosomia to the Cesarean Delivery Rate," pp. 1990-2000, Vol. 111, No. 1181-5, 2003. 

  3. E.Y. Ki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evels of Adiponectin and Resistinin Human Cord Blood of Fetuses of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and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Annals of Pediatirc Endocrinology & Metabolism", pp. 64-70, Vol. 15 No. 1, 2010. 

  4. E.C. Kieffer, J.A. Martin, W.H. Herman, "Impact of Maternal Nativity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during Pregnancy among U.S. Ehnic Groups", Diabetes Care, Vol. 22, No. 729-35, 1999. 

  5. C. Kim, S.H. Yang, J.H. Kim, "Evaluation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Risk Factors Using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for Early Pregnancy in the US Imaging," Korea Society of Radiological Science, Vol. 40, No.1, 2017. 

  6. K.H. Yi, K.W. Kim, C.H. Yim, E.U. Jung, J.H. Chung, H.K. Chung, S.C. Hong and J.H. Chung,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yroid Disease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J Korean Thyroid Assoc., pp. 7-39, Vol. 7, No. 1, May 2014. 

  7. K.W. Kim, "Management of Thyroid Dysfunction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Korean J Med, pp. 154-156, Vol.85, No. 2, 2013 

  8. J.E. Park, "Influence of Pregnancy on Renal Function and Feturs in Women with Underlying Renal Disease", Ph.D. dissertation, Dept. Medical Sciences, Ajou Univ., 2006. 

  9. C.I. Rhyu, D.K. Kim, "A study on the Values of Total km Cholesterol in Healthy Non-Pregnant and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pp.167-177, Vol.23 No.2, 1990. 

  10. Nutrition During Pregnancy: Part 1, Weight Gain: Part 2, Nutrient Supplements,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Nutritional Statu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Washington D.C. : National Academies Press, 1990, pp. 130-165. 

  11.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pp. 50-55. 

  12. Maternal Obesity Management Guide, Korea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6, pp. 4-8. 

  13. J.H. Ihm, H.W. Kim, Y.S. Kin, H.Y. La, C.S. Kang, S.C. Park, et al., "A Study of the Monthly Weight Gains of Noncomplicated Pregnancie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pp. 135-140, Vol. 13 No. 2, 2002. 

  14. A.S. Khashan, L.C. Kenny, "The effects of maternal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 24, No. 11, PP. 697-705, 2009. 

  15. H.A. Park, "Nutritional counseling for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PP. 688-705, Vol. 23 No. 6, 2002 

  16. H.M. Choi, "Perinatal outcomes associated with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weight gain during pregnancy"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p. 981-987, Vol. 53 No. 11, 2010. 

  17. C.H. Park, K.S. Koh,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Body Mass Index, Gestational Weight Gain Patterns and Preterm Birth",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pp. 2168-2177, Vol. 40 No. 10, 1997. 

  18. J.Y. Kim, S.J. Ko, "Comparison of DICOM images and various types of images",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Signal Processing and Systems, pp. 76-83, Vol. 18, No. 2,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