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obiotics의 병원성미생물에 대한 길항적 억제효과
Antagonistic inhibitory effects of probiotics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vitro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110 - 116  

육영삼 (단국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영기 (단국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가연 (단국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biotics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 김치로부터 다양한 probiotics 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sequencing을 통한 계통학적 분석을 통해 140주의 프로바이오틱스를 동정하였다. 이중 항균력이 우수한 probiotics 4종(Enterococcus faecali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reuteri )과 병원성 미생물 6종 (Candida albicans,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O157:H7, Shigella flexneri, Staphylococcus aureus, and Pseudomonas aeruginosa)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시험에서 probiotics 균주들은 대부분 배양 후에 균수가 정상적으로 크게 증가했지만 C. albicans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병원성미생물들은 S. Enteritidis 를 제외하고 거의 완전하게 성장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in vitro 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는 생성된 젖산과 유기산등의 낮은 pH에 의한 효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 김치에서 분리된 probiotics 균주 4종은 여성질염, 대장 및 피부관리 관련 치료제로써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큰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치료제는 probiotics 관련 국민건강 및 보건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antagonistic inhibitory effects in a mixed culture between probiotics and various pathogenic microorganisms, 140 probiotics were identified using a 16 rRNA sequencing phylogenetic analysis method, and various probiotics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kimchi from January to Dec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실험의 선행연구에서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내 유통중인 김치로부터 probiotics 140주를 분리하였고 16S rRNA sequencing을 통한 계통학적 균 동정과 18종의 항균제에 대한 내성 패턴을 조사하였다[16]. 본 연구는 김치에서 분리한 probiotics와 다양한 병원성 미생물간의 혼합배양에서의 길항적 억제효과를 조사하여 향후 여성질염 및 장 질환, 그리고 각종 피부질환의 치료체로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Enterococcus faecali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rhamnosus 및 Lactobacillus reuteri 4종[16,17]을 선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obiotics의 기능성은? Probiotics는 아동의 아토피, 습진, 피부염과 설사 예방 및 치료, 염증성 장염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건강한 여성의 질내에는 많은 종류의 유산균이 있어 건강한 질내 환경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probiotics 가 항균효과를 가진 이유는 무엇인가? 건강한 여성의 질내에는 많은 종류의 유산균이 있어 건강한 질내 환경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5]. 발효야채와 유제품에서 분리된 많은 종의 pobiotics는 박테리오신, 니신과 같은 항균물질을 생산함으로써 항미생물 작용을 갖고 있으며[6-11] 특히 김치에서 분리된 probiotics는 리스테리아,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한 강력한 항미생물 작용을 보인다[12]. 과거에는 유제품에서 기원한 probiotics의 관심이 높았지만 현재는 유당 불내증과 우유 알레르기증 같은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대안으로 과일, 채소 및 곡물을 기본으로 하는 기능성 probiotics 제품이 점증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과일/채소/곡물을 기본으로 하는 기능성 probiotics 제품 요구가 늘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발효야채와 유제품에서 분리된 많은 종의 pobiotics는 박테리오신, 니신과 같은 항균물질을 생산함으로써 항미생물 작용을 갖고 있으며[6-11] 특히 김치에서 분리된 probiotics는 리스테리아,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및 살모넬라균에 대한 강력한 항미생물 작용을 보인다[12]. 과거에는 유제품에서 기원한 probiotics의 관심이 높았지만 현재는 유당 불내증과 우유 알레르기증 같은 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대안으로 과일, 채소 및 곡물을 기본으로 하는 기능성 probiotics 제품이 점증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김치는 100여종 이상의 probiotics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중 일부만이 항균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I. A. Rather, V. K. Bajpai, S. Kumar, J. Lim, W. K. Paek, Y. H. Park, "Probiotics and atopic dermatitis: an overview", Fronties in Microbiology, Vol.12, No.7, pp.507, Apr. 2016. DOI: https://doi.org/10.3389/fmicb.2016.00507 

  2. E. M. Quigley, "Gut microbiota and the role of probiotics in therapy", Current Opionion in Pharmacology, Vol.11, No.6, pp.593-603, Dec, 2011. DOI: https://doi.org/10.1016/j.coph.2011.09.010 

  3. J. A. Drisko, C. K. Giles, B. J. Bischof, "Probiotics in health maintenance and disease prevention", Alternative Medicine Review, Vol.8, No.2, pp.143-155, May, 2003. 

  4. Y. J. Jung, C. H. Kang, Y. J. Shin, J. S. So, "Characterization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of Vaginal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Korean Women",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Vol.32, No.2, pp.146-152, 2017. DOI: https://doi.org/10.7841/ksbbj.2017.32.2.146 

  5. F. Nomanbhoy, C. Steele, J. Yano, P. L. Fidel, "Vaginal and oral epithelial cell anti-Candida activity", Infection and. Immunity, Vol.70, No.12, pp.7081-7088, Dec. 2002. DOI: https://doi.org/10.1128/iai.70.12.7081-7088.2002 

  6. J. P. Tamang, B. Tamang, U. Schillinger, C. Guigas, W. H. Holzapfel,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ethnic fermented vegetables of the Himalayas",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135, No.1, pp.28-33, Sep. 2009. DOI: https://doi.org/10.1023/A:1008867511369 

  7. H. Khan, S. Flint, P. L. Yu, "Enterocins in food preser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Vol.141, No.1, pp.1-10, Jun. 2010. DOI: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10.03.005 

  8. F. Gaggia, D. D. Gioia, R. Baffoni, B. Biavati, "The role of protective and probiotic cultures in food and feed and their impact in food safety",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Vol.22, No.1, pp.58-66, Nov. 2011. DOI: https://doi.org/10.1016/j.tifs.2011.03.003 

  9. J. Jiang, B. Shi, D. Zhu, Q. Cai, Y. Chen, J. Li, M. Zhang, "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sakei LSJ618 isolated from traditional chinese fermented radish", Food Control, Vo.23, No.1, pp.338-344, 2012. 

  10. S. S. Grosu-Tudor, M. Zamfir, " Functional properties of LAB isolated from romanian fermented vegetables", Food Biotechnology, Vol.27, No.3, pp.235-248, Aug. 2013. DOI: https://doi.org/10.1080/08905436.2013.811082 

  11. J. L. Patterson, A. Stull-Lane, P. H. Girerd, K. K. Jefferson, "Analysis of adherence, biofilm formation and cytotoxicity suggests a greater virulence potential of Gardnerella vaginalis relative to other bacterial-vaginosis-associated anaerobes", Microbiology. Vol.156, No.2, pp.392-399, Feb. 2010. DOI: https://doi.org/10.1099/mic.0.034280-0 

  12. F. Gaggia, D. D. Gioia, R. Baffoni, B. Biavati, "The role of protective and probiotic cultures in food and feed and their impact in food safety",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Vol.22, No.1, pp.58-66, Nov. 2011. DOI: https://doi.org/10.1016/j.tifs.2011.03.003 

  13. C. M. Peres, C. Peres, H. M. Adrian, F. X. Malcata, "Review on fermented plant materials as carriers and sources of potentiall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With an emphasis on table olives",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Vol.26, No.1, pp.31-42, Jul. 2012. DOI: https://doi.org/10.1016/j.tifs.2012.01.006 

  14. S. Pairat, P. Sudthidol, "Probiotic isolates from unconventional sources: a review", T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58, No.26, pp.1-11, Jul. 2016. DOI: https://doi.org/10.1186/s40781-016-0108-2 

  15. A. R. Choi, J. K. Patra, W. J. Kim, S. S. Kang, "Antagonistic Activities and Probiotic Potential of Lactic Acid Bacteria Derived From a Plant-Based Fermented Food", Frontiers in Microbiology, Vol.9, No.1, pp.1-12, Aug. 2018. DOI: https://doi.org/10.3389/fmicb.2018.01963 

  16. J. S. Kim, Y. S. Yuk, G. Y. Kim, "Inhibition Effect on Pathogenic Microbes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of Probiotics",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Vol.51, No.3, pp.294-300, Sep. 2019. DOI: https://doi.org/10.15324/kjcls.2019.51.3.294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health functional foods. Cheongju, KOR: MFDS; Notice 2014-204. https://mfds.go.kr/brd/m_211/view.do?seq8712 

  18. R. Denkova, V. Yanakieva, Z. Denkova, V. Nikolova, V. Radeva, "In vitro inhibitory activity of bifidobacterium and lactobacillus strains against Candida albicans", Bulgarian Journal of Veterinary Medicine, Vol.16, No.3, pp.186-197, Sep. 2013. 

  19. A. F. Cunha, L. B. Acurcio, B. S. Assis, D. L. Oliveira, M. O. Leite, M. M. Cerqueira, M. R. Souza, "In vitro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spp. isolated from fermented milks", Arquivo Brasileiro de Medicina. Veterinaria e Zootecnia, Vol.65, No.6, pp.1876-1882, Dec. 2013. 

  20. V. S. Ocana, A. A. Holgado, M. E. Nader-Macias, "Selection of vaginal H2O2-generating Lactobacillus species for probiotics use", Current Microbiology, Vol.38, No.5, pp.279-284, May. 1999. DOI: https://doi.org/10.1007/PL00006802 

  21. A. Alok, D. Singh, S. Singh, M. Kishore, P. C. Jha, M. S. Iqubal, "Probiotics:A new era of biotherapy", Advanced Biomedical Research, Vol.6, No.1, pp.31, Mar. 2017. DOI: https://doi.org/10.4103/2277-9175.192625 

  22. L. Peran, D. Camesco, M. Comalada, A. Nieto, A. Concha, M. P. Diaz-Ropero, M. Olivares, J. Xau, A. Zarzuelo, J. Galvez, "Preventative effects of a probiotic, Lactobacillus salivarious ssp. salivarius, in the TNBS model of rat colitis", World Journal of Gastrroenterology, Vol.11, No.33, pp.5185-5192, Sep. 2005. DOI: https://doi.org/10.3748/wjg.v11.i33.5185 

  23. N. A. Soleimani1, R. K. Kermanshahi, B. Y.akhchali, T. N. Sattari, "Antagonistic activity of probiotic lactobacilli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s", African Jorunal of Microbiology Research, Vol..4, No.20, pp.2169-2173, Oct. 2010. 

  24. S. Fijan, Antimicrobial Effect of Probiotics against Common Pathogens, In: Rao V, Rao LG(des) Probiotics and prebiotics in Human Nutrition and Health. InTech, 2016, pp.191-221. 

  25. M. R. Hesari, R. K. Darsanaki, A. Salehzadeh, "Antagonistic Activity of Probiotic Bacteria Isolated from Traditional Dairy Products against E. coli O157:H7", Journal of Medical Bacteriology, Vol.6, No.3-4, pp.23-30, 2017. 

  26. C. Prabhurajeshwar, R. K. Chandrakanth,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i with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pathogenic strains: An in vitro validation for the production of inhibitory substances", Biomedical Journal, Vol.40, No.5, pp.270-283, Oct. 2017. DOI: https://doi.org/10.1016/j.bj.2017.06.008 

  27. T. P. Singh1, G. Kaur, S. Kapila, R. K. Malik, "Antagonistic Activity of Lactobacillus reuteri Strains on the Adhesion Characteristics of Selected Pathogens", Frontiers in Microbiology, Vol.21, No.8, pp.1-8, Mar. 2017. DOI: https://doi.org/10.3389/fmicb.2017.00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