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층붕괴 예측을 위한 체적함수비 적용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volumetric water content to predict shallow failur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2, 2019년, pp.737 - 746  

석재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  송효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  강효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  김호종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방재연구실)

초록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대부분 강우에 의해 유발된 표층붕괴 형태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체적함수비를 통한 붕괴 예측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 특성을 통해 붕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실내 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강우강도 30, 50 mm/hr 조건하에 표층의 포화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비탈면 상부, 중부, 하부 10, 20 cm 심도에 체적함수비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체적함수비를 사용한 붕괴 판단은 비탈면 경사에 따라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우 침투속도에 의한 유효누적강우량이 붕괴시간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를 활용한 붕괴 판단 시 체적함수비의 설치 위치 및 심도에 의해 결과가 달라지는데 실험데이터에 의하면 비탈면 하부 20 cm에서의 계측 값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체적함수비 분석 방법 및 설치위치 선정 방법은 향후 체적함수비를 활용한 계측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landslides in the country are shallow failures triggered by intense rainfall. Many researchers have revealed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shallow failure through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termine shallow failure using the gradient characteristics of the v...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의 증가 기울기를 활용한 계측 기준 설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11]의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측정 위치, 심도에 따른 체적함수비 증가기울기 특성 및 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실험결과를 추가하여 붕괴 유무에 따른 최적의 계측위치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표층붕괴를 재현하는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강우에 의해 발생하는 비탈면의 표층붕괴 특성을 고찰하기 위해 실내 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표층붕괴가 가장 빈번히 발생하는 화강암 풍화토를 이용하여 비탈면을 조성하고 30, 50 mm/hr의 인공강우를 재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의 증가 기울기를 활용한 계측 기준 설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11]의 연구에서 고려하지 않은 측정 위치, 심도에 따른 체적함수비 증가기울기 특성 및 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실험결과를 추가하여 붕괴 유무에 따른 최적의 계측위치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하였다.
  • 실험으로 획득한 자료를 통해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의 계측기준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에서 분석한 실험조건(표층붕괴가 발생한 경우, 이하 case 1)과의 비교를 위해 표층붕괴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하 case 2)에 대한 체적함수비 변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 앞 장에서 붕괴 시의 체적함수비, 붕괴시간, 침투속도, 유효누적강우량 분석을 통해 침투속도가 붕괴를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침투속도에 따라 붕괴를 유발하는 최대체적함수비까지 도달하는 체적함수비 변화량이 달라지는 것인데 본 연구에서는 [11]이 제안한 방법론을 기초로 붕괴시의 체적함수비 증가특성을 분석하였다. 최대체적함수비에 수렴하는 경우에는 최대값에 이르는 시간을 tmax로 하고, 수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체적함수비 30%에 이르는 시간을 tmax로 간주하였다.

가설 설정

  • 6(a), (b)). 따라서 붕괴 전 최대체적함수비에 수렴하지 않는 경우에는 체적함수비 30%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tmax로 가정하여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대부분 어떻게 유발된 것인가? 국내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는 대부분 강우에 의해 유발된 표층붕괴 형태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체적함수비를 통한 붕괴 예측 가능성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체적함수비 증가 기울기 특성을 통해 붕괴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산지의 토층 심도는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가? 우리나라 산지의 토층 심도는 평균 4 m 이하로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매년 6-9월 극한강우에 의해 산사태가 발생하는데 주로 비탈면과 평행하게 발달한 2 m 이하의 얕은 천층파괴(shallow failure)가 주로 발생한다[1,2]. 산사태지역의 지질별 특성을 보면 화강암 지역은 풍화상태가 고른 분포를 보이고 대부분 0.
비탈면의 붕괴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어떻게 했는가? 강우에 의한 표층붕괴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 중 붕괴 메커니즘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실내 모형실험을 통해 수행되어져 왔다. 이는 적용 인자를 고정한 동일 조건의 실험을 반복 수행할 수 있고 비탈면 내부의 변형상황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4]. 실제 강우에 의한 불포화토 거동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내실험의 경우 대부분 강우강도 100 mm/hr 이상의 극한강우 조건에서 실험이 수행되어져 왔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 H. Kim, S. S. Jeong, S. W. Park, J. Sharma, "Influence of rainfall-induced wetting on the stability of slopes in weathered soils", Engineering Geology, Vo.75, pp.251-262, 2004. DOI: https://doi.org/10.1016/j.enggeo.2004.06.017 

  2. K. S. Kim, "Soi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eological condition of soil slopes in landslides a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6, No.4, pp.359-371, 2006. 

  3. W. Y. Kim, B. G. Cha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geology and failure geometry of the landslide areas on natural terrains,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9, No.3, pp.331-344, 2009. 

  4. B. G. Chae, "Development of landslide prediction technology and damage mitigation countermeasures", R&D repor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orea, pp. 123 

  5. W. G. Seo, J. H. Choi, B. G. Chae, and Y. S. Song,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Occurrence and Change in the Matric Suction and Volumetric Water Content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7, No.4, pp.475-487, 2017. DOI: https://doi.org/10.9720/kseg.2017.4.475 

  6. G. Wang, K. Sassa "Pore-pressure generation and movement of rainfall-induced landslides: effects of grain size and fine-particle content", Engineering Geology, Vol.69, pp.109-125, 2003. DOI: https://doi.org/10.1016/S0013-7952(02)00268-5 

  7. Y. Okura, H. Kitahara, H. Ochiai, T. Sammorii, A. Kawanami, "Landslide fluidization process by flume experiments", Engineering Geology, Vol.66, pp.65-78, 2002. DOI: https://doi.org/10.1016/S0013-7952(02)00032-7 

  8. J. W. Suk, S. Y. Park, G. H. Na and H. S. Kang, "A Study for characterization on shallow behavior of soil slope by flume experiment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 28, No.3, pp.489-499, 2018. DOI: https://doi.org/10.9720/kseg.2018.3.489 

  9. M. I. Kim, B. G. Chae, Y. C. Cho, Y. S. Seo, "Study on rainfall infiltration characteristics for weather soils: Analysis of soil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its application",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8, No.1, pp.83-92, 2008. 

  10. M. I. Kim and M. Nishigaki, "Slope failure predicting method using the monitoring of volumetric water content in soil slope",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16, No.2, pp.135-143, 2006. 

  11. B. G. Chae, and M. I. Kim, "Suggestion of a method for landslide early warning using the change in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gradient due to rainfall infiltratio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66, No.7, pp.1973-1986, 2012 DOI: https://doi.org/10.1007/s12665-011-1423-z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