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쏙 차단 상자에서 양성한 바지락의 성장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anila clams (Tapes philippinarum) grown in boxes to block mud shrimp (Upogebia major)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5 no.4, 2019년, pp.310 - 319  

이건호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장수정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자원환경과) ,  조삼광 (국립수산과학원 연구협력과) ,  송재희 (서해수산연구소 갯벌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ud shrimp (Upogebia Major) provides benefits on the tidal flat ecosystem, it is causing the mass mortality of Manila clam (Tapes philippinarum) and large economic loss to the aquaculture farmer due to spreading in the entire coastal clam farm area of the West Sea of Korea. In this stud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갯벌의 일정 공간은 바지락 양성을 위해 할당하고 나머지는 쏙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쏙 차단 상자는 추후 현장 적용 시 상자 폭 만큼 간격을 두고 배치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쏙이 갯벌에 제공하는 유익한 효과는 살리면서 쏙이 서식하는 지역에 바지락 양성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쏙 차단식 바지락 양성 상자를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바지락과 쏙의 서식공간을 분리하는 상자를 갯벌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두 생물이 갯벌을 서식지로 공유하되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 본 연구는 쏙이 갯벌에 서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쏙이 만든 굴이 갯벌에 산소를 공급하고 미생물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쏙이 갯벌 생태계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이다(Coelhol et al.
  • 본 연구에서는 쏙 차단을 통한 바지락의 안정적 양성을 목적으로 고안한 쏙 차단 상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연상태의 갯벌에서 길러진 바지락과 상자 안에서 길러진 바지락의 성장 차이와 상자 내부의 쏙 서식 여부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뿐만 아니라 차단 상자의 측면과 밑면에 여러 개의 작은 홈이 있어 바지락 치패의 생존을 위협하는 큰 쏙을 제외한 어린 쏙과 크기가 작은 저서생물들이 통과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상자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연 상태의 갯벌에서 길러진 바지락과 상자 안에서 길러진 바지락의 생장 특성을 비교하였고 상자 내부의 쏙 서식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자 사용 시 상자 내부 토양의 질이 저하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자 내부 토양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고안한 쏙 차단용 상자는 Hong (2013)의 연구에서 제안한 그물 차단 방법과 비교된다. 이 연구에서는 Volkenborn N and Reise K (2006)이 수행한 연구에서 검은갯지렁이(Lugworm Arenicola marina)를 제거하기 위해 그물망을 사용한 것에 착안하여 쏙 제거 시에도 이와 유사한 그물을 쏙 서식지에 덮을 것을 제안하였다. Volkenborn N and Reise K (2006)의 연구에서는 모래 갯벌에 서식하는 검은갯지렁이를 제거하기 위해 망 목 크기가 1 mm인 PE 그물을 서식지에 깔고 그 위에 10 cm 깊이로 모래를 덮었다.
  • 그 결과 가장 성장률이 높았던 것은 단단한 플라스틱 그물을 덮은 경우였고 가장 낮았던 것은 울타리를 친 경우였다. 이 연구에서는 성장률 차이의 원인을 이끼 누적에 따른 해수 유통의 차이로 보았다. 그물 울타리의 경우 울타리가 차지하는 영역이 크기 때문에 울타리가 이끼로 인해 막힐 경우 해수 유통은 다른 시험 조건보다 더 많이 줄어 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쏙의 서식 습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쏙의 이러한 서식 습성은 갯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 으로 알려져 있다(Kinoshita et al, 2008; Simenstad and Fresh, 1995). 그러나 최근 쏙의 서식 범위가 우리나라 서해안의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양식장까지 확대됨으로써 바지락이 폐사하고 그 결과로 바지락 생산량이 급감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바지락 양식장을 살리기 위한 쏙 구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어왔다. 현재 국내에서는 경운을 통해 쏙 서식지를 파괴하는 방법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국외에는 카아바릴(carbaryl)이라는 약품으로 폐사시키는 방법 (Dumbauld et al.
쏙은 미생물에게 무엇을 제공하는가? 쏙(Upogebia Major)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갑각류로 생김새는 가재(Cambaroides similis) 와 유사하다. 쏙은 갯벌에 최소 몇 cm에서 최대 2 m가 넘는 깊이의 굴을 파서 생활하는데 쏙이 만든 굴은 갯벌에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며(Allanson et al., 1992; Coelhol et al.
쏙이란 무엇인가? 쏙(Upogebia Major)은 우리나라 서해안의 조간대에 서식하는 갑각류로 생김새는 가재(Cambaroides similis) 와 유사하다. 쏙은 갯벌에 최소 몇 cm에서 최대 2 m가 넘는 깊이의 굴을 파서 생활하는데 쏙이 만든 굴은 갯벌에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미생물들에게 서식처를 제공하며(Allan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HM, Ki HJ, Jeong HD, Lee HJ, Han HK, Park KJ and Song JH. 2016.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index and mortality rate between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spats originated from China (Liaoning Dandong) and Chungnam (Taean) in Gochang tidal flats.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32, 176-177. (DOI:10.9710/kjm. 2016.32.3.175). 

  2. Allanson BR, Skinner D and Imberger J. 1992. Flow in prawn burrow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35, 253-266. (DOI:10.1016/S0272-7714(05)80047-2). 

  3. Batang ZB and Suzuki H. 2003. Gill-cleaning mechanisms of the burrowing thalassinidean shrimps Nihonotrypaea japonica and Upogebia major (Crustacea: Decapoda).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printed in the United Kingdom 261, 69-77.(DOI:10.1017 /S0952836903003959). 

  4. Choi YH, Choi YS, Cho YS, Kim YT and Jeon SR. 2016. A Study on the habitait suitability considering survival, growth, environment for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Pado and Beop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22, 723-730. (DOI:10.7837/kosomes. 2016.22.6.723). 

  5. Coelhol VR, Cooper RA and Rodrigues SA. 2000. Burrow morphology and behavior of the mud shrimp Upogebia omissa (Decapoda: Thalassinidea: Upogebiidae).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00, 229-300. (DOI:10.3354/meps200229). 

  6. Dumbauld BR, Brooks KM and Posey MH. 2001. Response of an estuarine benthic community to application of the pesticide carbaryl and cultivation of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Willapa Bay, Washington. Marine pollution bulletin 43, 826-844.(DOI:10.1016/S0025-326X(00)00230-7). 

  7. Dumbauld BR, Booth S, Cheney D, Suhrbier A and Beltran H. 2006. An integrated pest management program for burrowing shrimp control in oyster aquaculture. Aquaculture 261, 976-992. (DOI:10.1016/j.aquaculture.2006.08.030). 

  8. Feldman KL, Armstrong DA, Dumbauld BR, Dewitt TH and Doty DC. 2000. Oysters, crabs, and burrowing shrimp: review of an environmental conflict over aquatic resources and pesticide in Washington State's (USA) coastal estuaries. Estuaries 23, 141-176. (DOI:10.2307/1352824). 

  9. Hong JS. 2013. Biology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est management for shrimp control in Manila clam b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earch 35, 323-349.(DOI:10.4217/OPR.2013.35.4.323). 

  10. Kim BH, Cho KC, Jee YJ, Byun SG, Kim MC. 2011. Growth and Survival by the Breeding Method of Early Young Spats of the Hard Clam, Meretrix petechiails. Korean J. Malacol. 27, 115-119. (DOI:10.9710/kjm.2011.27.2.115). 

  11. Kinoshita K. 2002. Burrow structure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Decapoda: Thalassinidea: Upogebiidae). Journal of Crustacean Biology 22, 474-480. (DOI:10.1651/0278-0372(2002)022[0474:BSOTMS] 2.0.CO;2). 

  12. Kinoshita K, Wada M, Kogure K and Furota T. 2008. Microbial activity and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burrow of the mud shrimp, Upogebia major (Crustacea: Thalassinidea). Research Article 153, 277-283. (DOI:10.1007/s00227-007-0802-1). 

  13. Lim HS. 2016. Growth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cultured in Gomso tidal flat, Korea. Korean J. Malacol. 32, 192-194. (DOI:10.9710/kjm.2016.32.3.189). 

  14.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2013. Standard for Marine Environment Test. 

  15. Munroe D and McKinley RS. 2007. Commercial Manila clam (Tapes philippinarum) culture in British. Columbia, Canada: The effects of predator netting on intertidal sediment characteristic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72, 319-328. (DOI:10.1016/ j.ecss.2006.10.025). 

  16. Serdar S, Lok A, Kose A, Yildiz H, Acarli S and Goulletquer P. 2007. Growth and survival rates of carpet shell clam (Tapes decussatus Linnaeus) using various culture methods in Sufa (Homa) Lagoon, Izmir, Turkey. Aquacultural Engineering 37, 92-93. (DOI:10.1016/j.aquaeng.2007.02.004). 

  17. Simenstad CA and Fresh KL. 1995. Influence of intertidal aquaculture on benthic communities in Pacific Northwest estuaries: scales of disturbance. Estuaries 18, 43-70. (DOI:10.2307/1352282). 

  18. Soudant P, Paillarda C, Choqueta G, Lamberta C, Reidb HI, Marhica A, Donaghya L and Birkbeckb TH. 2004. Impact of season and rearing site on the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of the Manila clam Venerupis (Tapes Ruditapes) philippinarum. Aquaculture 229, 401-408. (DOI:10.1016/S0044-8486(03)00352-1). 

  19. Volkenborn N and Reise K. 2006. Lugworm exclusion experiment: responses by deposit feeding worms to biogenic habitat transform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Marine Biology and Ecology. 330, 169-179. (DOI:10.1016/j.jembe.2005.12.025). 

  20. Yoon HS, An YK, Kim ST and Choi SD. 2011. Age and growth of the Short necked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Malacol. 27, 2. (DOI:10.9710/kjm.2011.27.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