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에 매몰 방제된 화상병 감염 사과와 배 나무로부터 화상병균 생존 조사

Investigating Survival of Erwinia amylovora from Fire Blight-Diseased Apple and Pear Trees Buried in Soil as Control Measure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8 no.4, 2019년, pp.269 - 272  

김예은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준영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노형진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이동형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수산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  김성환 (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및 생물다양성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ince 2015, fire blight disease caused by Erwinia amylovora has been devastating apple and pear orchards every year. To quickly block the disease spreading, infected apple and pear trees have been buried in soil. However, concern on the possibility of the pathogen survival urgently requ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매몰 처리된 감염기주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료가 부재한 바, 발병지의 병 방제에 대한 신뢰성을 얻기 위해 매몰 방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자료의 확보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화상병 감염으로 토양에 매몰된 사과와 배 나무를 다시 발굴하여 식물체의 상태와 화상병균의 생존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상병이란? 고위험 식물병해인 사과⋅배 화상병(Fire blight disease)은 세균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사과, 배를 비롯하여 장미과에 속하는 180여 기주에 피해를 주는 병해이다(Zwet and Keil, 1979). 1780년 미국 동부지역에서 최초로 발생 보고된 후 북미, 유럽국가, 아프리카 그리고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Drenova et al.
화상병이 식물검역에 있어서 금지급 병해로 관리되는 이유는? 화상병은 이처럼 단시간에 멀리 퍼질 수 있고 상당한 피해를 주는 매우 위험한 병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많은 나라들이 식물검역에 있어서 금지급 병해로서 관리하고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병 발생 시점 초기에 즉시 발생과원을 비롯하여 주변 반경 100 m 이내의 모든 기주식물을 제거한 뒤 2 m정도의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식물을 매몰하는 공적 방제를 하여 왔다(농촌진흥청, 농작물 병해충 예찰 방제에 관한 규정 전문 제2017-36호, 2017).
화상병에 의한 국제적인 피해 현황은? 고위험 식물병해인 사과⋅배 화상병(Fire blight disease)은 세균 Erwinia amylovora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사과, 배를 비롯하여 장미과에 속하는 180여 기주에 피해를 주는 병해이다(Zwet and Keil, 1979). 1780년 미국 동부지역에서 최초로 발생 보고된 후 북미, 유럽국가, 아프리카 그리고 오세아니아 지역에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Drenova et al., 2012). 국내에서는 2015년 경기도 안성, 천안, 제천지역에서 배와 사과에서 최초 발생하였고 (My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ohen, S. N., Chang, A. C., & Hsu, L. (1972). Nonchromosomal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genetic transformation of Escherichia coli by R-factor D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69(8), 2110-2114. 

  2. Crosse, J. E., & Goodman, R. N. (1973). A selective medium for and a definitive colony characteristic of Erwinia amylovora. Phytopathology, 63(11), 1425-1426. 

  3. Drenova, N. V., Isin, M. M., Dzhaimurzina, A. A., Zharmukhamedova, G. A., & Aitkulov, A. K. (2012). Bacterial fire blight in the Republic of Kazakhstan. Plant Health Research and Practice, 1, 44-48. 

  4. Kim, W. S., Hildebrand, M., Jock, S., & Geider, K. (2001a). Molecular comparison of pathogenic bacteria from pear trees in Japan and the fire blight pathogen Erwinia amylovora . Microbiology, 147(Pt 11), 2951-2959. 

  5. Myung, I. S., Yun, M. J., Lee, Y. H., Kim, G. D., & Lee, Y. K. (2016). First report of fire blight caused by Erwinia amylovora on Chinese quince in South Korea. Plant Disease, 100(12), 2521. 

  6. Park, D. H., Yu, J. G., Oh, E. J., Han, K. S., Yea, M. C., Lee, S. J., Myung, I. S., Shim, H. S., & Oh, C. S. (2016). First report of fire blight disease on Asian pear caused by Erwinia amylovora in Korea. Plant Disease, 100(9), p. 1946. 

  7. Gagelidzea, N. L., Amiranashvilia, L. L., Sadunishvilia, T. A., Kvesitadzea, G. I., Urushadzeb, T. F., & Tamar O. K. (2018). Bacterial composition of different types of soils of Georgia. Annals of Agrarian Science, 16, 17-21. 

  8. Gusberti, M., Klemm, U., Meier, M., Maurhofer, M., & Hunger-Glaser, I. (2015). Fire blight control: the struggle goes on. A comparison of different fire blight control methods in Switzerland with respect to biosafety, efficacy and dur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2(9), 11422-11447. 

  9. Yoon, S. H., Ha, S. M., Kwon, S., Lim, J., Kim, Y., Seo, H., & Chun, J. (2017). Introducing EzBioCloud: A taxonomically united database of 16S rRNA and whole genome assembl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7(5), 1613-1617. 

  10. Zwet, T., & Keil, H. L. (1979). Fire blight, a bacterial disease of Rosaceous plants. Agriculture Handbook No. 510. (pp. 2-18), USDA, Washington,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