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내 치료 논거 세부 분석
Therapeutic Rationale for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Older Adults: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2, 2019년, pp.53 - 77  

김지현 (아트기버 사회적 협동조합)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내용 구성과 음악사용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여 향후 연구에 필요한 자료와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전반적 특성, 중재내용의 특징, 치료 논거 기술 특징 및 적절성 등으로 구분된 기준을 통해 연구 자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KCI등재(후보)학술지 게재논문 33편이 1차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 중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23편을 선정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편을 선별하여 기술된 치료 논거의 적절성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거 기술에 대상자의 진단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음악 활동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중재의 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되기 어려운 연구들이 많았다. 또한 음악의 선곡 기준이 목표활동에 대한 음악 요소의 사용논거보다는 대상자의 선호도나 친숙도를 근거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시 중재기술의 구체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치료적, 음악적 논거가 보완되어야 하고 중재 목표에 따른 타당한 이론적 근거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치료적 논거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중재의 임상적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요구되는 연구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music interventions with older adults and to analyze the rationale for the type of intervention and type of music selected. A search of KCI journals for research including older adults and music-based interventions identified 33 published ar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악장르를 활용한 Kim & Jung(2013)의 연구에서는 대상자인 노인세대들은 서양음악에 대한 교육의 기회가 흔치 않았기 때문에, 우리 정서에 맞는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국악을 중재에 활용해야 함을 서론에서 기술하고 있으며, 각 회기에서 사용한 국악음악의 템포, 강약, 악기음색의 특징에 따라 유도되는 신체적, 심리적 반응을 기술하고 이에 따른 목표의 연결성을 함께 기술하였다. 또한 사용한 국악악기의 음색적 특징에 따른 논거를 기술하였다. 대중가요장르를 활용한 Jung(2015)의 연구에서는 노인 대상 선호음악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자 집단이 20대였던 시절의 대중가요를 선정하였다고 하였다.
  • 특히 평가기준을 설정하여 판단한 부분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향후 평가자간 신뢰도 및 주제전문성을 반영한 평가자 참여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학문발전과 노인대상 음악치료 임상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중재연구의 실행과 분석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본 연구에서 논거의 적절성이란 음악중재 내 치료적 논거가 목표영역과 대상군의 진단명, 선곡된 음악장르에 따라 기술되었는지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차 분석대상 연구에 기술된 논거의 특징 및 치료적 논거 기술이 적절한 연구를 선별하고자 평가 기준을 고려하였다. 선별기준은 Lee(2019), Robb 등(2011)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평가기준, Chong(2015) 의 음악치료 중재의 핵심 내용, 노인 대상 연구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논거기술 내용을 종합하여 연구자가 수정 및 보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내 치료논거 기술 내용을 단계별로 분석하여 중재내용의 특징과 제시된 논거의 적절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노인 음악치료연구가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추후 연구를 위해 제시되어야 할 개선 방향과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노인 음악치료연구가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추후 연구를 위해 제시되어야 할 개선 방향과 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고령사회에 대처할 수 있는 노인 음악중재 방안과 중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추가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치료논거 기술 내용 평가에서 평가 상위 연구로 선정된 연구를 대상으로 목표영역에 따른 논거 기술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인지, 언어, 정서, 사회, 신체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언어영역, 인지영역, 사회영역을 제외한 정서영역 연구 5편, 신체영역 연구 1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의 노인대상 고찰연구는 어떠한가? 최근의 노인대상 고찰연구들을 살펴보면 연구 수의 양적증가와 함께 다양한 음악할동이 시도되고 있으며 치료효과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고자 수치화된 연구도구의 사용하는 중재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Kim, 2014; Kwon, 2009; Lee & Kim, 2016). 이러한 양적 보고의 증가 이 중 많은 연구들이 목표가 명확하게 설정되지 않고 활동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중재에 대한 세부적 분석이 요구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연구 결과의 분석에 있어서도 치료도구로서의 음악이 갖는 고유한 효과성을 규명하고 중재 방법 분석을 통해 중재 개입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다. 노인 대상 음악중재 고찰연구들의 경우 전반적 연구 동향을 다루거나 음악중재의 효과성 유무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적용된 음악중 재의 치료적 논거 및 원리와 같은 중재효과의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는 연구가 미비하여(Kim, 2014; Kwon, 2009; Lee & Kim, 2016), 중재연구의 전문성과 학문적 성장을 위해 음악중재에 대한 세부적 분석이 요구되는 시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연구에 제시된 음악 및 중재방법의 논거와 중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통해 중재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은 향후 노인 대상 음악중 재연구의 내용적 분석뿐만 아니라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노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많은 시도가 증가됨에 따라 어떤 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가?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 전반적으로 대두되는 노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많은 시도 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Statistics Korea, 2018), 노화에 따른 기능 변화에 대응하는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의 필요성도 함께 강조되고 있다. 이에 노인관련 학문분야들에서 다각적인 접근방안들이 제시되고 있으며(Choi, 2016), 국내 음악치료 분야에서도 노인대상 음악 치료연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H. K. (2016). Social welfare for older persons. Seoul: Hakjisa. 

  2.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 Chong, H. J., Lim, J. H., & Hwang, S. Y. (2018).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the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Journal of Music and Hunan Behavior, 15(1), 95-118. 

  4. Jung, Y. R. (2015). Effects of song discussion on depression and rehabilitation motiv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43-64. 

  5. Kim, H. J. (2014). A meta 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adults and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6. Kim, H. J., & Jung, J. W.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9(3), 19-38. 

  7. Kim, H. Y., & Kang, Y. J. (2019).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music therapy program through song autobiography for elderly christians. Korean Journal of Christian Counseling, 30(1), 105-129. 

  8. Kwon, J. I. (2009). Analysis of the tendency of research of Korean master's thesis about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1998-2009)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9. Kim, H. J., & Jung, J. W. (2013). A study on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Arts Psychotherapy, 9(3), 19-38. 

  10. Lee, S. E. (2019). An analysi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Music and Hunan Behavior, 16(1), 1-24. 

  11. Lee, Y. B. N., & Kim, S. J. (2016). The use of music for healthy elderly: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4), 335-346. 

  12. McDermott, O., Crellin, N., Ridder, H. M., & Orrell, M. (2013). Music therapy in dementia: A narrative synthesis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8(8), 781-794. 

  13. Robb, S. L., Carpenter, J. S., & Burns, D. S. (2011). Reporting guidelines for music-based intervention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 342-352. 

  14. Shin, M. H., & Kang, K. S. (2016). The effect of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with MIDI keyboard on hand func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stroke hemiplegia.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3(1), 123-136. 

  15. Statistics Korea (2018). Statistics for the aged in 2018. Retrieved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0779 

  16. Wang, Y. J. (2017).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 systematic review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