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협진체계의 효과 검증
Effect of Multidisciplinary Emergency Consultation System for Drug Intoxicated Patient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7 no.2, 2019년, pp.130 - 137  

강진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혜리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민경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나령 (중앙대학교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  허윤경 (중앙대학교병원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  김선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자살시도로 음독을 시도한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응급의학과, 내과, 정신건강의학과가 서로 의사소통을 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처치를 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협진체계(이하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구축을 위해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의학과, 내과의 전문의가 협의체를 구성하여, 응급실 내원 당시 복용 약물의 종류와 의식 수준에 따른 담당 진료과 및 협진의뢰과 배정, 각 과별 약물중독 환자 전담 교수 배정, 정기회의, 협진 응답 소요시간 제한, 원내 생명사랑위기대응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을 모두 프로토콜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가 시행되기 전인 2017년 7월부터 2018년 5월까지의 기간과, 시행 이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5월까지의 의무기록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통계분석하여, 약물 중독 응급협진체계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 과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시행 후, 시행 전에 비해 중환자실보다 개방병동으로의 입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χ2=8.567, p=0.014). 또한 타과로 입원한 환자 중 정신건강의학과로의 협진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χ2=4.202, p=0.053), 협진 응답 소요시간은 감소하였다(Z=-2.031, p=0.042). 한편, 협진 결과 전과된 환자의 비율이 증가였하고(χ2=4.692, p=0.043), 전과까지 소요된 시간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Z=-1.941, p=0.052). 결 론 약물중독 응급협진체계 시행 후 불필요한 중환자실 입원, 협진 응답 소요시간, 전과 소요시간이 감소하였으며, 협진 의뢰 비율 및 전과 비율은 증가하였다. 이는 다학제 협진체계가 환자에게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를 보다 적은 의료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공하였음을 의미한다. 향후 약물중독 이외의 자살시도에 대해서도 응급협진체계를 구축하여, 각 과 간 명확하고 책임있는 의학적 권고를 신속하게 공유한다면, 환자의 치료 및 의료비용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hen a patient who attempts suicide visits the emergency room, it is important that the departments of emergency medicine, internal medicine, and psychiatr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rioritize treat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disciplina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물중독 응급 협진체계의 우선적인 목적은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신속하고 밀접한 다학제적 처치를 통하여 전과·퇴원 결정 시간 및 수속 시간 단축, 자살 재시도 위험성이나 내과적 상태에 대한 각과 간보다 명확하고 책임 있는 의학적 권고 전달 등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다학제 협진체계를 통하여 환자에게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를 보다 적은 의료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서울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 협진체계를 운영하였으며, 본 연구는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된 후향적 연구이다. 즉, 해당 병원에서 약물중독에 대한 다학제 응급 협진체계가 시행되기 전과 후의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서울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응급실을 내원한 약물중독 환자에 대한 다학제 응급 협진체계를 운영하였으며, 본 연구는 그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된 후향적 연구이다. 즉, 해당 병원에서 약물중독에 대한 다학제 응급 협진체계가 시행되기 전과 후의 응급실 내원 자살시도자의 데이터를 비교분석하여, 그 효과를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자살률은? 한국의 자살률은 2016년 기준 10만 명 당 24.6명으로, 2003년부터 2015년까지 13년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를 기록할 정도로 한국에서 자살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1,2) 2017년 한국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자살이 모든 사망 원인 중 암, 사고 등과 함께 10대 이전과 70대 이후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5위 안에 들 만큼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자살시도자추적연구가 관심은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3) 자살로 사망하기 전까지 평균 25회의 자살을 시도한다는 기존 보고가 있을 만큼,4) 자살 시도율은 보통 국가 통계자료에서 집계되는 자살률보다 매우 높다.5) 충동적으로, 음주 후에, 혹은 정신건강의학과적 질환의 일시적 악화로 인해 자살 시도를 하는 사람들의 경우, 시도에 성공하지 못했을 때 사후관리를 통해 다시 일상으로 복귀하게 도와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며, 그 사후관리에 따라 자살 관련 지표는 달라질 수 있다.6) 이에 한국에서도 다양한 자살시도자추적연구가 시행되고 있고,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사업 등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은 어떻게 진행되는가? 6) 이에 한국에서도 다양한 자살시도자추적연구가 시행되고 있고, 자살시도자의 사후관리사업 등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7-9) 실제로 한국에서는 현재 응급실 기반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사업을 통하여, 자살시도자의 사례관리와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가 시도되고 있고,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다.9-11) 외국에서도 정신건강의학과-내과 공동 병실을 만들고, 자살시도자들을 위한 특수 응급실을 운영하는 등 여러 시도가 있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Tandon R, Nathani MK. Increasing suicide rates across Asiaa public health crisis. Asian J Psychiatr 2018;36:A2-A4. 

  2. Hong JS, Kim SM, Jung JW, Kim SY, Chung US, Han DH. A Comparison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Excessive Internet Game Play between Koreans in Korea and Immigrant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J Korean Med Sci 2019;34:e162. 

  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Cause of Death Statistics;2017. 

  4. McIntosh JL. USA suicide 2006: Official final data.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f Suicidology;2009. 

  5. Seo DW. Current Situation and Trends of Suicidal Deaths, Ideas and Attempts in Korea. Health Soc Welf Rev 2001;21:106-125. 

  6. Suokas J, Lonnqvist J. Outcome of attempted suicide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risk factors and suicide mortality during a five-year follow-up. Acta Psychiatr. Scand. 1991;84:545-549. 

  7. Park JY.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of elderly suicide survivals. Mental Health Social Work 2007;27:295-330. 

  8. Lee YS, Jung SH, Kang MH, Lee JS, Bae JN, Kim CE. A Study for the progress after psychiatric intervention for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room due to suicidal attempt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1;50:310-315. 

  9. Kim D, Chun BJ, Moon JM, Cho YS, Bae K, Kim HJ, Kim MJ. Contributing factors for the registration rates within emergency department based post-suicidal care program.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6;14:54-59. 

  10. In SH, Jang SJ. A study on improving effectiveness of emergency room-based suicide attempt management project. Proceedings of the Korea Academy of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4 Academic Conference 2014:449-451. 

  11. Jang N, Kim J, Park WB, Cho JS, Hyun SY, Lim YS, Yang HJ, Lee C, Lee Y. Efficacy of a program associated with a local community of suicide attempters who visited a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J Society Emerg Med 2012;23:696-704. 

  12. Fogel BS. A psychiatric unit becomes a psychiatric-medical unit: administrative and clinical implications. Gen Hosp Psychiatry 1985;7:26-35. 

  13. Rotheram-Borus MJ, Piacentini J, Van Rossem R, Graae F, Cantwell C, Castro-Blanco D, Miller S, Feldman J. Enhancing treatment adherence with a specialized emergency room program for adolescent suicide attempter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6;35:654-663. 

  14. Cho JK, Park IC, Yoon YS, Kim SH, Lee KR. Psychiatric follo-up after ED discharge in cases of intentional poisoning. J Soc Emerg Med 2005;16:158-163. 

  15. Han JS, Yun SW, Choi SS. A Study on th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with drug intoxication.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2013;14:1863-1870. 

  16. Lee TY, Kim SR, Cho BJ, Park JH. The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in emergency medical center.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 2010;11:750-757. 

  17. Shaw S, Rosen R, Rumbold B. What is integrated care. London: Nuffield Trust;2011. p.7. 

  18. Bongar BME. Suicide: guidelines for assessment, management, and treatment: Oxford University Press;1992. 

  19. Brooker C, Ricketts T, Bennett S, Lemme F. Admission decisions following contact with an emergency mental heal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ervice. J Clin Nurs 2007;16:1313-1322. 

  20. Rabinowitz J, Mark M, Slyuzberg M. How individual clinicians make admission decisions in psychiatric emergency rooms. J Psychiatr Res 1994;28:475-482. 

  21. Gregory RJ, Nihalani ND, Rodriguez E. Medical screening in the emergency department for psychiatric admissions: a procedural analysis. Gen Hosp Psychiatry 2004;26:405-410. 

  22. Lee DH. Multidisciplinary care service: issues raised so far and possible solutions suggested. J Korean Med Assoc 2016;59:95-102. 

  23. Lee JH, Yang SJ, Eun SW, Jin SC, Choi WI, Jung SW. Limitation of Psychiatric Intervention for Suicidal Drug Intoxication Patients in Emergency Room. J Korean Soc Clin Toxicol 2016;14:37-46. 

  24. Cho J, Chung SP, Lee MS, Seo YM. Survey of the management systems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emergency medicine and psychiatry for patients attempting suicide. J Soc Emerg Med 2008;19:535-540. 

  25. Clarke DM, Smith GC.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y in general medical units. Aust N Z J Psychiatry 1995;29:424-432. 

  26. Leue C, Driessen G, Strik JJ, Drukker M, Stockbrugger RW, Kuijpers PM, Masclee AA, van Os J. Managing complex patients on a medical psychiatric unit: an observational study of university hospital costs associated with medical service use, length of stay, and psychiatric intervention. J Psychosom Res 2010;68:295-302. 

  27. Asarnow JR, Hughes JL, Babeva KN, Sugar CA. Cognitivebehavioral family treatment for suicide attempt preven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2017;56:506-514. 

  28. Turner P, Turner T. Validation of the crisis triage rating scale for psychiatric emergencies. Can J Psychiatry 1991;36:651-654. 

  29. Feinstein R, Plutchik R. Violence and suicide risk assessment in the psychiatric emergency room. Compr Psychiatry 1990;31:337-34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