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재로서 녹두(Phaseolus aureus L.)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as Biohealth Functional Substanc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096 - 1107  

이영근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시우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한수 (부산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녹두의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한 결과, 일반성분 중 탄수화물 함량은 57.20±0.29%로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6.40±0.69%, 수분 9.90±0.16%, 조회분 3.54±0.43% 및 조지방 2.96±0.26%로 확인되었다. 녹두의 비타민 성분 중 vitamin B5가 0.62±0.013 mg/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A의 전구체인 β-carotene이 87.37±0.754 ㎍ RE/100 g으로 동정되었다. 칼륨(K) 함량은 12,428.55±147.55 mg kg-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은 2,053.32±14.13 mg kg-1, 칼슘(Ca) 1,966.40±14.53 mg kg-1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녹두의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은 29.23±0.03%의 함유량을 보였으며, 단불포화지방산은 20.30±0.04%, 다불포화지방산은 50.46±0.06%의 비율로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ω-6계 linoleic acid가 41.19±0.02%, ω-9계 oleic acid 19.98±0.03%를 함유하고 있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21.75±0.24 g%이며, glutamic acid 3.93±0.03 g%, aspartic acid 2.68±0.03 g% 등을 함유하고 있었고,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18.07%, 12.32%를 차지하였으며, 구성 아미노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두 중,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336.77±8.66 mg%로 확인되었고, arginine이 81.97±1.31 mg%로 유리 아미노산의 24.3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lutamic acid, asparagine 및 aspartic acid 순으로 각각, 41.97±0.29, 28.47±0.15 및 26.97±0.12 mg%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of physiological activity substance in mung bean (Phaseolus aureus L.) was performed for the use as an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The proximate composition in the vacuum freeze dried mung bean was carbohydrate 57.20±0.29%, crude protein 26.40&#...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은 녹두의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일반성분, 비타민, 무기질함량,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 등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다양한 활용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성 식품의 장점은 무엇인가? 한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동물성 식품 섭취 증가와 각종 만성퇴행성 질환 및 생활습관병(life style related disease) 등이 증가하고, 이에 따른 기능성 건강 식품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5]. 식물성 식품에는 비타민, 무기질, 폴리페놀(polyphenol) 등 생리활성 물질인 2차 대사산물(secondary metabolite)들이 함유되어 있으며[6], 이러한 대사산물들은 생체 내에서 라디칼(radical)의 연쇄 반응을 차단해 주거나 파괴시켜, 생체 내 활성산소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산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항산화 방어 체계에 의하여 대부분 소멸되지만, 면역 체계의 균형이 깨지면 세포와 조직에 비가역적 손상, 돌연변이, 세포독성, 발암 등을 유발하게 된다[8].
녹두란 무엇인가? 녹두(Phaseolus aureus L.)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작물로서 인도와 미얀마 등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주로 아열대 기후에서 생육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위도에 따라 기능성 성분의 함량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일반성분은 당질 45~62%, 조단백질 20~28%, 조지방이 1% 내외로 함유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leucine, lysine, valine은 풍부하며 methionine, tryptophane, cystine 등은 소량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3].
녹두의 성분은 어떠한가? )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1년생 작물로서 인도와 미얀마 등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주로 아열대 기후에서 생육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위도에 따라 기능성 성분의 함량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일반성분은 당질 45~62%, 조단백질 20~28%, 조지방이 1% 내외로 함유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leucine, lysine, valine은 풍부하며 methionine, tryptophane, cystine 등은 소량 존재하고 있다고 한다[3]. 또한, 녹두는 대두나 강낭콩 등에 비하여 무기질, 비타민 및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플라보노이드, 페놀성 화합물 등의 기능성 성분이 특정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Y. A. Gu, S. Y. Jang, N. Y. Park, C. R. Mun, O. M. Kim, Y. J. Jeong, "Property changes of mung bean depending on hydrolysis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Vol.13, No.5 pp. 563-568, (2006). 

  2. D. K. Kim, S. U. Chon, K. D. Lee, K. H. Kim, Y. S. Rim, "Effect of seeding times on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Vol.53, No.3 pp. 273-278, (2008). 

  3. J. C. Song, Food material science. Kyomoon Publishing Co., pp. 248-249, (1994). 

  4. F. Lai, Q. Wen, L. Li, H. Wu, X. Li,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soluble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mung bean (Vigna radiata L.) hull with ultrasonic assisted treatment", Carbohy. Polym., Vol.81, No.2 pp. 323-329, (2010). 

  5. Y. T. Kim, M. S. Lee, A. J. Kim, "Changes i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general composition of mung beans according to roasting temperatu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Vol.24, No.2 pp. 217-223, (2014). 

  6. Y. H. Kang, Y. K. Park, S. R. Oh, K. D. Moon,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Vol.27, No.6, pp. 978-984, (1995). 

  7. V. Pandhair, B. S. Sekhon,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in plants: an overview", J. Plant Biochem. Biotechnol., Vol.15, No.2 pp. 71-78, (2006). 

  8. Y. J. Cho, I. S. Ju, O. J. Kwon, S. S. Chun, B. J. An, J. H. Kim,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Vol.51, No.1 pp. 49-54, (2008). 

  9. D. Y. Oh, H. S. Kim, "Evaluation of oxidation inhibition and nitrogen oxide scavenging activity from Curcuma longa L. extract", J. Korean Appl. Sci. Technol., Vol.36, No.1 pp. 13-22, (2019). 

  10. H. S. Oh, J. H. Kim, M. H. Lee, "Isoflavone content,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red bean and mung bean", Korean J. Food Cook Sci., Vol.19, No.3 pp. 263-270, (2003). 

  11. D. K. Kim, S. U. Chon, K. D. Lee, J. B. Kim, Y. S. Rim,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Vol.53, No.3 pp. 279-284, (2008). 

  12. D. K. Kim, D. M. Son, J. K. Choi, S. U. Chon, K. D. Lee, Y. S. Rim, "Growth property and seed quality of mungbean cultivars appropriate for labor saving cultivation", Korean J. Crop Sci., Vol.55, No.3, pp. 239-244, (2010). 

  13. J. Y. Imm, S. J. Kim,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ung bean and soybea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2, No.6 pp. 755-761, (2010). 

  14. H. R. Wi, M. J. Choi, S. L. Choi, A. J. Kim, M. S. Lee, "Effects of vitexin from mung bean on 3T3-L1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regulation according to adipocytokine secre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No.8 pp. 1079-1085, (2012). 

  1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Washington, DC: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16. H. S. Kim,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bidiana Max)", J. Life Sci., Vol.17, No.1 pp. 125-131, (2007). 

  17. KFDA,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Osong, Korea, pp. 365-392, (2005). 

  18. D. Y. Oh, H. S. Kim,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turmeric (Curcuma longa L.) in Jindo korea", J. Environ. Sci. Int., Vol.28, No.4 pp. 403-412, (2019). 

  19. H. S. Kim, M. A. Kim, Y. Duan, S. H. Jang, D. S. Kang, W. K. Lee, J. Y. Ryu, "Fatty acid compositions, mineral and vitamin contents of the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J. Environ. Sci. Int., Vol.23, No.1 pp. 47-52, (2014). 

  20. E. G. Bligh, W. J. Dyer,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ada J. Biochem. Physiol., Vol.37, No.8 pp. 911-917, (1959). 

  21. O. M. Kim, Y. A. Gu, Y. J. Jeong,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powders after various hydrolysis protocols", Korean J. Food Preserv., Vol.14, No.3 pp. 301-307, (2007). 

  22. S. Jung, M. K. Kim, B. Y. Choi, "The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antothenic acid (vitamin B5) intake and C-reactive preotein concentration in adults aged 40 years and older", Nutr. Metab. Cardiovasc Dis., Vol.27, No.9 pp. 806-816, (2017). 

  23. D. S. Kim, H. S. Kim, S. J. Hong, J. J. Cho, J. Lee, E. C. Shin, "Comparison of the retention rates of thiamin, riboflavin, and niacin between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after roasting", Appl. Biol. Chem., Vol.61, No.4 pp. 449-458, (2018). 

  24. M. Nematy, A. Mehdizadeh, F. Razmpour, "A review on nutrition and skin aging", Iranian J. Dermatol., Vol.18, No.1 pp. 20-24, (2015). 

  25. A. K. Kim, S. K. Kim, A. R. Lee, "Comparison of chemecal composition and gelatinization property of mungbean flour and starch", Korean J. Soc. Food Sci., Vol.11, No.5 pp. 472-478, (1995). 

  26. J. A. Hoeck, W. R. Fehr, P. A. Murphy, G. A. Welke, "Influence of genotype and environment on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Crop Sci., Vol.40, No.1 pp. 48-51, (2000). 

  27. M. J. Noh, J. H. Kwon, Y. J. Kwon, E. Y. Huh, Y. S. Kwon, M. W. Byun, "Comparativ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and methyl bromide fumigation on disinfest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30, No.3 pp. 444-449, (2001). 

  28. D. K. Kim, D. M. Son, J. G. Choi, H. R. Shin, S. U. Chon, K. D. Lee, K. Y. Jung, Y. S. Rim, "Comparison in seed and sprout quality under different cropping patterns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Vol.56, No.3 pp. 212-218, (2011). 

  29. R. B. Wolf, J. F. Cavins, R. Kleiman, L. T. Black, "Effect of temperature on soybean seed constituents: oil, protein, moisture, fatty acids, amino acids", J. Am. Oil Chem. Soc., Vol.59, No.5 pp. 230-232, (1982). 

  30. C. Tsukamoto, S. Shimada, K. Igita, S. Kudou, M. Kokubun, K. Okubo, K. Kitamura, "Factors affecting isoflavone content in soybean seeds: changes in isoflavones, saponins,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at different temperatures during seed development", J. Agric. Food Chem., Vol.43, No.5 pp. 1184-1192, (1995). 

  31. Y. I. Jin, S. Y. Hong, S. J. Kim, H. C. Ok, Y. J. Lee, J. H. Nam, Y. H. Yoon, J. C. Jeong, S. A. Lee,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Korean J. Environ. Agric., Vol.29, No.4 pp. 381-387,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