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용매에 따른 복령(Poria cocos Wolf)과 산수유(Corni fructus)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비교

Biological Activitie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s based on their extraction solvent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4, 2019년, pp.1303 - 1311  

오희경 (장안대학교 건강과학부 바이오동물보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능은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산수유 열수 추출물은 모든 추출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복령 열수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복령과 산수유에 함유된 총 polyphenol과 항산화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에탄올 추출방법 보다는 열수 추출방법이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복령추출물이 산수유 추출물에 비해 NO 생성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MPP+에 의해 유도된 SH-SY5Y 신경세포에 복령 열수 추출물은 산수유 열수 추출물에 비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복령과 산수유 추출방법에 따른 항산화, 항염 및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갖는 기능성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Poria cocos Wolf and Corni fructus extracted by water and 70% ethanol. Total polyphenol content in water extract of Poria cocos Wolf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extracts. DPPH an...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내 활성산소 종 제거 능력이 우수하다고 규명된 복령과 산수유를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서 추출한 복령 추출물과 산수유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염증 활성 및 산화 적 스트레스에 의한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추출용매 조건에 따라 복령과 산수유를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는 열수와 에탄올 용매에 따른 복령 및 산수유 추출물의 농도별로 항산화 활성, 항염증 효과 및 신경세포 보호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진행하였다. 추출물들의 총 polyphenol 함량은 복령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고, 복령 에탄올 추출물, 산수유 열수 추출물,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복령과 산수유에 포함된 총 polyphenol 함량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는 에탄올 추출보다는 열수 추출법이 더 효율적 추출법이라고 사료된다.
복령의 기능은? 복령(Poria cocos Wolf)은 소나무의 뿌리에 기생하며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버섯의 일종으로 이뇨작용, 진정작용, 심신수축 강화작용이 있으며 항암, 항종양, 항염증 등 각종 효능도 잘 알려져 있다[5]. 복령 중에 함유되어 있는 U-pachymaran, pachymaran, carboxymethyl 등은 강력한 항암효과를 나타내고[5], (1,3)-(1,6)- β-D-glucan은 항종양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고한 바 있다[6].
활성산소의 문제점은? 생명유지에 필요한 에너지 생성을 위해 호흡과정에 흡입한 산소 일부는 체내에서 산화 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활성산소 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로 전환되는데 각종 항산화 효소와 항산화 물질은 활성산소 종을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다량의 활성산소종이 생성되며 이것의 높은 산화력과 불안정성으로 체내에서 단백질, 지질, DNA와 반응하여 염증반응을 촉진시켜 세포 사멸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염증반응은 점막손상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다[1]. 인체 내에서 선천적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면역세포인 대식세포는 외부의 자극으로 인해 활성화가 일어나며 염증유발물질 분비 자극을 통해 염증반응을 유발함으로써 천식, 기관지염, 동맥경화, 뇌졸중,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질환을 유발하고 질환을 악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J. P. Kehrer, L. O. Klotz, "Free radicals and related reactive species as mediators of tissue injury and disease: implications for health", Crit. Rev. Toxico., Vol.45, pp. 765-798, (2015). 

  2. W. J. Yoon, J. A. Lee, K. N. Kim, J. Y. Kim, S. Y. Park,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9, pp. 464-469, (2007). 

  3. V. N. Talesa, "Acetylcholine 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Ageing Dev, Vol.122, pp. 1961-1969, (2001). 

  4. H. R. Jeong, J. H. Kwark, J. H. Kim, G. N. Choi, C. H. Jeong, H. J. Heo,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an extract of Houttuynia cordata Thumb(a culinary herb)", Korean J. Food Preserv., Vol. 17, pp. 720-726, (2010). 

  5. M.S. Kwom, S. K. Chung, J. U. Choi, K. S. Song, W. W. Kang.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ultivated Hoelen(Poria cocos Wolf) under the picking d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27, pp. 1034-1040, (1998). 

  6. N. Takao, N. Takahashi, M. Kobayash, S. Shoji. "A polysaccharide by laboratory cultivation of Poria cocos Wolf", Carbohydrate Research Vol. 87, pp. 161-164, (1980). 

  7. H. Kanayama, N. Adachi, M. Togami, "A new antitumor polysaccharide from the mycelia of Poria cocos Wolf", Chem Pharm Bull Vol. 31, pp. 1115-1119, (1993). 

  8. H. Nukaya, H. Yamashiro, H. Fukazawa, H. Ishida, K. Tsuji, "Isolation of inhibitors of TPA-induced mouse ear edema from Hoelen, Poria cocos". Chem Pharm Bull Vol. 44, pp. 847-850, (1996). 

  9. S. R. Chung, K..H. Jeune, S. Y. Park, S. J. Jang, "Toxicity and lectins Constituents from the seed of Cornus officianalis". Korean J. Pharmacogn, Vol. 24, pp. 177-183, (1993). 

  10. O. K. Kim, "Antidiabetic and actioxidative effects of Corni fructu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Oil Chemists' Soc, Vol. 22, pp. 157-167, (2005). 

  11. H. K. Joo, D. J. Jang, "Effects of shanshuyu(Cornus officinalis Sieb) tea and market of rat". Korean J Dietary Culture, Vol. 4, pp. 257-264, (1989). 

  12. K. I. Seo, S. W. Lee, K. H. Yang,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orni fructu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Vol. 6, pp. 99-103. (1999). 

  13. Y. B. Seo, G. J. Kil, Y. K. Lee, Y. C. Lee, "Study on the effects of Corni fructus about the anti-allergic action". Korean J Herboogy Vol. 1 pp. 1-17, (2002). 

  14. Y. J. Kim, D. Y. Son, "Antioxidant activity and suppression of pro-inflammatory mediator of Corni fructus extracts in activated RAW 264.7 macrophage", Korean J. Food preserv., Vol.26, pp. 876-882, (2016). 

  15. O. Folin, W. Denis, "On phosphotungastic phosphomolyblic compounds as color regents", J Biol Chem, Vol.12, pp. 239-249 (1912). 

  16.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e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No. 181, pp. 1199-1200 (1958). 

  17. R. Roberta, P. Nicoletta, P. Anna, Y. Min, R. E. Catherin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No. 26, pp. 1231-1237 (1999). 

  18. K. H. Sohn, J. S. Kim, "Anti-dementia effects of Cornus officinalis S. et Z. extract on the scopolamine Induced dementia in mouse", Kor. J. Pharmacogn. Vol.48, pp 304-313,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