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umbar Mobilization Combined with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2, 2019년, pp.264 - 270  

김태영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과 대학원) ,  이상빈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유병호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지홍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성인 30명을 이중과제훈련 군, 허리뼈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한 이중과제훈련 군, 각 15명씩 나누어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2개월간 1일 30분씩, 주 3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임상적 균형 평가 지수로는 한글판 버그균형척도(K-BBS)를 측정하였고, Bioresque를 이용하여 동요면적, 동요길이, 동요속도를 측정하였다. K-BBS에서는 모든 군에서 점수가 증가하였고, Bioresque를 이용한 동요 면적, 동요 길이, 동요 속도에서도 균형능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umbar mobilization combined with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 this study, 30 adul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troke were divided into 15 groups, each with a dual task training group, a dual task t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과제를 결합한 허리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하였을 때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위한 중재의 기여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는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 30명에게 한글판 버그균형척도, 동요면적, 동요길이, 동요속도를 각 군간 기간에 따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확인하였고, 이중과제훈련군과 허리뼈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한 이중과제훈련 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균형 평가 지수에서 K-BBS는 두 군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눈 뜬 상태에서의 동요면적과 동요속도에서는 두 군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동요속도에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후검정결과 허리뼈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한 군에서 보다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는 허리뼈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하여 제한된 가동성을 증진시켜주고 이중과제 훈련을 결합하여 운동조절력을 회복시켜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특징은? 뇌졸중 환자는 뇌 병변 부위에 따라 신경학적 손상 을 동반하며 마비형태는 보통 편마비 유형으로 나타낸 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대표적인 특징은 근력 약화와 감각 변화로 균형의 불안정, 보행능력 저 하, 몸통조절 어려움과 같은 신체적 및 기능적 장애가 발생하는 것으로. 이에 따른 운동기능 저하는 동적균형 과 정적균형의 저하 및 낙상 위험의 증가를 비롯하여 몸통의 안정성 저하를 유발한다[1]. 균형은 동적균형과 정적균형으로 나뉘고 동적균형은 지지면이 움직이거나 신체가 움직이는 동안 중력 중심 을 지지면내에 두어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고, 정적균 형은 흔들리지 않는 지지면에서 신체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2].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는? K-BBS는 기립 상태에서 눈 감기, 발 모으고 서기, 물건 집어 올리기 같은 과제가 포함된 균형능력을 정량 화하여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이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 으로 높은 검사자내 신뢰도 r = .
동적균형과 정적균형의 특징은? 이에 따른 운동기능 저하는 동적균형 과 정적균형의 저하 및 낙상 위험의 증가를 비롯하여 몸통의 안정성 저하를 유발한다[1]. 균형은 동적균형과 정적균형으로 나뉘고 동적균형은 지지면이 움직이거나 신체가 움직이는 동안 중력 중심 을 지지면내에 두어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고, 정적균 형은 흔들리지 않는 지지면에서 신체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2].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체 중 이동 능력 및 균형은 재활에서 강조되어 왔고, 체중 이동의 감소는 정적균형 뿐만 아니라 동적균형능력의 문제로 이어지며 낙상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낙상 의 위험과 두려움을 느끼는 뇌졸중 환자들은 균형능력 의 개선을 위한 치료적 중재가 개발되어야 하며 뇌졸중 환자의 재활에 있어서 중요한 쟁점이라 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F. Tyson, M.. Hanley, J. Chillala, A. Selley & R. C. Tallis. (2006).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ical Therapy, 86(1), 30-38. 

  2. J. J. Eng & K. S. Chu. (2002). Reliability and comparison of weigh-bearing ability during standing tasks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3(8), 1138-44. 

  3. A. Shumway-Cook, W. Gruber, M. Baldwin & S. Liao. 1997. The effect of multidimensional exercises on balance, mobility, and fall risk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Physical therapy, 77(1), 46-57. 

  4. K. I. Erickson, S. J. Colcombe, R. Wadhwa, L. Bherer, M. S. Peterson, P. E. Scalf, J. S. Kim & M. Alvarado. (2006). Training-induced functional activation changes in dual-task processing: an FMRI study. Cerebral Cortex, 17(1), 192-204. 

  5. P. Plummer-D'Amato, A. Kyvelidou, D. Sternad, B. Najafi, R. M. Villalobos, & D. Zurakowski. (2012). Training dual-task walking in community-dwelling adults within 1 year of stroke: a protocol for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ogy, 12(1), 129. 

  6. Y. R. Yang, R. Y Wang, Y. C. Chen & M. J. Kao. (2007). Dual-task exercise improves walking ability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8(10), 1236-1240. 

  7. M. C. N. Rosa, A. Marques, S. Demain & C. D. Metcalf. (2014). Lower limb co-contraction during walking in subjects with strok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4(1), 1-10. 

  8. S. B. O'Sullivan, T. J. Schmitz & G. Fulk. (2019). Physical rehabilitation. FA Davis. 

  9. F. Smedes, A. van der Salm & G. Koel. (2014). Manual mobilization of the wrist: a pilot study in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a chronic hemiplegic hand post-stroke. Journal of Hand Therapy, 27(3), 209-216. 

  10. S. J. Park. (2018). The Immediate Effect of Maitland Cervical Spine Mobilization on Tone and Stiffness of Upper Limb Muscl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5(2), 13-21. 

  11. J. M Gross, J. Fetto & E. Rosen. (2015). Musculoskeletal Examination, 4rd Edition. Taylor & Francis Group, 27-29. 

  12. K. Banks & E. Hengeveld. (2014). Maitland's Peripheral Manipulation. Management of Neuromusculoskeletal Disorders, 2, 1-65. 

  13. P. Silsupadol, V. Lugade, A. Shumway-Cook, P. Van Donkelaar, S. Chou, L. U. Mayr & MH. Woollacott. (2009). Training-related changes in dual-task walking performance of elderly persons with balance imprir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ait & Posture, 29(4), 634-639. 

  14. S. Y. Kim. (2011). The effects if mobilization for spinali facet joint on pain and range of mo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 pain.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5. H. Y. Jung, J. H. Park, J. J. Shim, M. J. Kim, M. R. Hwang & S. H. Kim. (2006). Reliability Test of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30(6), 611-618. 

  16. G. B. Song & E. C. Park. (2016).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on balance pad and sand on balance and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1(1), 45-52. 

  17. S. G. Ji, M. K. Kim & H. K. Cha. (2013). The effect of dual motor task training on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8(1), 1-9. 

  18. D. K. Kim. (2014). The effect of joint mobilization treatment on dynamic standing balance and gait balance for the patients with spinal movement.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19. Y. H. Kim, H. J. Jang & S. Y. Kim. (2014). Effect of hip joint mobilization on hip mobility, balance and gait with stroke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21(2), 8-17. 

  20. B. H. Ryu. (2018). Effect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methods for enhancing ankle joint range of motion range of motion, on muscle tone, plantar pressure, balance and gait in subjects with chronic stroke. Doctoral dissertation Namseoul University, Cheonan. 

  21. P. M. Kluding & M. Santos. (2008). Effects of ankle joint mobilizations in adults poststroke: a pilot stud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9(3), 449-456. 

  22. H. Y. Son & J. D. Choi. (2012). The effect of weight shift training with joint mobilization on balance and gait velocity of hemiplegic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9(1), 10-18. 

  23. W. T. Gong, W. Y. Jung, & S. S. Bae. (2005). The effects of sacroiliac joint mobilization and lumbopelvic stabilizing exercises on the equilibrium ability.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17(3), 285-2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