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별 혼자 식사(혼밥)관련 식행동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of Eating Alone in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4 no.5, 2019년, pp.408 - 421  

조필규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  오유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정책개발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etary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en eating alone according to the employment pattern and age. Methods: A total of 566 people aged 20~59 years old were collected from the status of workers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인가구의 생활양상은 소득수준이나 소득의 안정성에 크게 좌우되며, 1인가구주의 노동시장에서의 위상과 경제상황에 따라 다르다[10]. 이에 본 연구는 고용형태 및 연령에 의하여 1인가구주가 혼자 식사할 때 식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규직, 비정규직, 사업자의 고용형태별, 20세에서 59세까지의 연령별로 혼자하는 식사와 함께 식사할 때의 식행동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더욱이, 1인가구관련 연구는 노인층에 집중되어 있으나 청·중년층 1인가구의 비율이 높아지고 이들의 식생활 불균형 문제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6, 24], 청·중년층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혼자식사에 대한 식행동을 비교한 연구는 추후 이들의 식생활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도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대에 따라 혼자 식사를 할 때 어떠한 식행동을 취하는지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건강식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1인가구가 타 국가의 1인가구와 다른 특징은 무엇인가? 2%로 증가하였고, 2035년에는 전체 가구의 약 3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1]. 이러한 1인가구의 증가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오랜 기간 1인가구가 꾸준히 증가한 미국·유럽의 자발적, 지속적, 고소득층비율이 높은 경우와 달리, 한국의 1인가구는 비자발적, 간헐적, 빈곤층의 비율이 높은 특성을 나타낸다[2]. 1인가구는 하나의 동질성을 가진 집단이 아니라 성별, 연령, 소득 계층적 특성에 따라 다양성이 나타나는데[3-9], 생활패턴은 소득의 안정성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며, 1인가구주의 노동시장에서의 위상과 경제상황, 1인가구를 형성하는 과정에 따라 다르다[2].
높은 수준의 비정규직 규모가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1%를 나타내어[11], OECD 평균 대비 비정규직 규모가 높은 수준에 속한다[12]. 우리나라는 이처럼 다른 나라에 비하여 고용이 매우 불안정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반실업상태의 청년 가구 증가는 건강이나 빈곤 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10].
혼자 식사를 하는 경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인가구주는 혼자식사를 하는 비율이 높은데, 1인가구주가 혼자식사를 하는 비율이 약 90%인데 비하여 다인가구주는 약 20% 정도로, 1인가구주가 혼자 식사를 하는 비율이 4배 이상 높다[3]. 더욱이 혼자식사를 할 때는 불충분한 식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13], 혼자 식사를 하는 경우는 결식과 외식이 높아지고 올바른 식습관을 방해하며[14] 영양불균형, 비만의 가능성을 높인다[3]. 혼자 식사를 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식사를 대충하는 것이며, 비만인은 혼자 식사시 정상 또는 저체중군에 비하여 식사를 빨리, 더 많이 먹고 배가 불러도 음식이 남으면 더 먹는 것으로 나타났는데[15], 식사를 빨리할수록 비만,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는 등 대사증후군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므로[16] 추후 생애주기에 건강상의 문제가 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tatistics Korea. Age of householder/Estimating households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9 Jul 25].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Z0506&vw_cdMT_ZTITLE&list_idA42_20&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2. Jo PK. The effect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 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4): 321-331. 

  3. Oh YJ. Analysis of nutrients and food behaviors of eating alone according to increasing in single households. Proceedings of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16 Jun 3; Seoul: p. 1-14. 

  4. Kim GS.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ingle households.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5 Aug; Report No. 654. 

  5. Kang EN, Lee MH.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their policy implication. Health Welf Policy Forum 2016; 234: 47-56. 

  6. Chung KH, Nam SH, Chung EJ, Lee JH, Lee YK, Kim JS, et al. Policy implications of changes in family structure: focused on the increase of single person households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2 Dec. Report No. 2012-47-25. 

  7. Noh HJ. Social relationship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ealth Soc Welf Rev 2018; 38(2): 71-102. 

  8. Byun MR, Choi JW, Park MJ, Lee HJ, Kim JA. A study on the policy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single households. The Seoul Institute; 2015 Feb. Report No. 2014-ER-27. 

  9. Lee KA. A study on the direction of future consumer policies with the advent of one-person household era. J Consum Policy Stud 2017; 48(2): 61-85. 

  10. Jo PK. The effect of single 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Proceedings of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2016 Jun 3; Seoul: p. 39-54. 

  11. Statistics Korea. 2018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additional research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9 Jul 25].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3/2/index.board 

  1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mployment outlook 2015 [internet]. OECD; 2015 [cited 2019 Jul 25].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787/empl_outlook-2015-en 

  13. Lee JY, Choi SK, Seo JS.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3): 232-244. 

  14. Choi BB. Recognition and consumption of meal alone and processed food according to maj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16; 29(6): 911-922. 

  15. Lee YM, Cho WK, Oh YJ. Comparison of eating behavior between commensality and solo-eating of university students by BMI.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280-289. 

  16. Yamaji T, Mikami S, Kobatake H, Tanaka K, Higashi Y, Kihara Y. Slow down, you eat too fast: fast eating associate with obesity and futur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Proceedings of 2017 American Heart Association's Scientific Sessions; 2017 Nov 14; Anaheim, CA; p. 136. 

  17.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5 Oct. Report No. R762. 

  18. Kang NY, Jung BM.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nutrients intake, dietary behaviors and food intake frequency of singleand non single-person household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4-2016. Korean J Community Nutr 2019; 24(1): 1-17. 

  19. Lee JY, Shin AS. Vegetable and fruit intake in one person household: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Nutr Health 2015; 48(3): 269-276. 

  20. Kim HJ. An analysis of household debt burden by householder's occupation. Soc Welf Policy 2004; 20(1): 109-131. 

  21. Kim JY, You SD.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housing tenure choice and house type. House Stud Rev 2013; 21(4): 61-85. 

  22. Park KS, Kim MS. The impact of change in household living arrangements on the changes in poverty rate among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Korean J Sociol 2016; 50(1): 221-253. 

  23. Lee YJ, Kwon MK, Baek HJ, Lee SS.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of elderly women in Seoul area. J Nutr Health 2015; 48(3): 277-288. 

  24. An BM, Son JH.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one-person household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8; 32(1): 30-43. 

  25. Statistics Korea.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ternet].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Jul 25].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understand/info/info_kost/1/index.action? bmoderead&cdS002001 

  26. Lee YM, Oh YJ, Cho WK, Jo PK.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015; 21(1): 57-71. 

  27. Kim MH, Kim H, Lee WK, Kim SJ, Yeon JY. Food habits and dietary behavior related to using processed food among 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dormitory and self-boarding in Gangwon.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72-385. 

  28. Kim A. Effect of health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etabolic syndrome in one-person households among Korean young adults. J Digit Converg 2018; 16(7): 493-509. 

  29. Huh IS, Kim HS, Jo HK, Lim CS, Kim JS, Kim SJ et al. Instant noodle consumption is associated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mong college students in Seoul. Nutr Res Pract 2017; 11(3): 232-239. 

  30. Kim SY. Analysis of age, cohort and time effect on diversity of food consumption in Korean. J Rural Dev 2010; 33(1): 21-39. 

  31. Han JM, Lee YH. Impact of single-person household increment on consumption disbursement. KIET Mon Ind Econ 2013; 6: 22-31. 

  32. Jeong I, Kim HM. Korea one-person households report 2018. KB finance group research institute; 2018 Oct. 

  33. Rozman G. East Asian national identities: common roots and Chinese exceptionalism.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 p.1-256. 

  34. Kim JK.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life and happiness perceived by youth generation. Korea Soc Policy Rev 2018; 25(3): 209-245. 

  35. Koo S, Park K.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5): 705-712. 

  36. Lee YM, Oh YJ, Cho WK, Jo PK.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Korean J Community Nutr 2015; 21(1): 57-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