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HRV)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ive Sensory Horticulture Therapy on Perceived Stress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Adults with depress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2, 2019년, pp.517 - 523  

맹현자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강문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오현주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오감자극 원예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와 심박동변이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C 지역 소재 1개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성인 우울증환자 26명(실험군=13명, 대조군=13명)이다. 실험군은 8주 1회 총 8회기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프로그램 종료 후 원하는 대상자에게 원예요법을 1회 제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통계, t-test,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t = 3.11, p = .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심박동변이 중 Low Frequency(t = -3.39, p = .002), Standard Deviation Normal to Normal(t = -2.48, p = .025)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오감자극 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five-sensory horticulture therapy on perceived stress and HRV in adults with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26 (experimental group=13, control group=13) adult with depression and enrolled in the Regional C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from Ap...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증상 및 감정의 상태를 정량화하는 생체신호 분석이라고 할 수 있다[18].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오감자극-원예 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의 주관적 반응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객관적인 반응으로 HRV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스트레스에 취약하고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새로운 환경이나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큰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접근이 쉬운 식물을 이용한 오감자극 원예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주관적과 HRV와 같은 객관적 평가를 통해 효과를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 지역에 거주하는 작은 수의 우울증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출하였기 때문에 성별을 포함하여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상생활사건이나 신체적 상태 등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오감자극-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HRV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우울증환자를 대상으로 오감자극을 활용한 8주간의 원예요법을 제공하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주관적과 객관적 평가를 통해 파악하였다. 본 연구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주관적 스트레스 지각정도는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본 연구에서 프로그램은 간호사로서 원예치료사 2급 자격을 갖고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원예요법 중재 경험이 있는 본 연구자가 직접 수행하였다. 사전에 훈련을 받은 원예치료사 2인과 간호사 2인이 프로그램의 진행을 보조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오감자극-원예요법이 우울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HRV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울증은 정신생물학적 및 심리사회적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임상적 진단기준인 DSM-5에 의하면 최소 2주일 간 거의 매일 우울한 기분, 흥미의 저하를 포함하여 체중 변화, 무가치감/죄책감, 자살사고 등의 증상이 지속되는 것이 특징[4-6]이다. 우울증의 치료는 일차적으로 증상에 따라 항우울제를 비롯한 정신약물을 병용 투여하거나 다양한 정신사회적 요법이 병행되고 있다[7-15].
원예요법을 통해 식물과의 교감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또한 대상자들은 원예활동에 거부감이 없이 쉽게 참여했고 매 회기가 끝난 후 집으로 가져간 식물을 돌보는 등 치료과정이 일상생활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식물을 매개로 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과 일상생활까지 연장된 식물과의 교감이 주관적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예상된다.
우울증환자를 위한 원예요법의 효과는 무엇인가? 우울증환자를 위한 비약물적인 스트레스 관리 관련 선행연구들을 요약하면, 음악요법[8], 미술요법[9], 요가요법[10], 웃음치료[11], 명상[12], 원예요법[13-15]등 다양하게 수행되었다. 이중 원예요법은 식물을 매개로 우울증환자의 긍정적인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시킴으로써 스트레스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일관되게 보고되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GBD 2017 Disease and Injury Incidence and Prevalence Collaborators. (2018).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incidence, prevalence, and years lived with disability for 354 diseases and injuries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1990-2017: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7. Global Health Metrics, 392(10159), 1789-1858. 

  2. J. P. Hong et al. (2017). 2016 the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MOHW [Online].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9138&page1. 

  3. OECD. (2019). Suicide rates (indicator). DOI : 10.1787/a82f3459-en 

  4.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2018). Depression, NIMH [Online]. www.nimhnih.gov/health/topics/depression/index.shtml.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6. The Korean society of stress medicine. (2013). Stress science. Korean Medicine; Seoul. 

  7. G. Andrews, P. Cuijpers, M. G. Craske, P. McEvoy & N. Titov. (2010). Computer therapy for the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is effective, acceptable and practical health care: a meta-analysis. PLoSOne. 5(10), e13196 DOI : 10.1371/journal.pone.0013196 

  8. J. S. Park, H. K. Cho & Y. T. Kim, (2012). Impact of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19(1), 63-83. 

  9. E. J. Jang & C. C. Lim.. (2012). Psycho-dynamic Group Art Therapy for Middle-aged Women with Depression. Research on Rehabilitation Psychology. 19(3), 611-616. UCI : G704-SER000009521.2012.19.3.005 

  10. S. K. Park., E. H. Kim & Y. C. Kwon. (2008). Effect of the yoga program on health related fitness, depression, stress related factors and immune cell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3(2), 999-1010. 

  11. D. Y. Lee & A. Nam. (2014).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geriatric depression, quality of life and physiologic change of depressive elderly women. Korea Society for Wellness, 9(3), 163-174. 

  12. M. R. Yun, E. H. Choi, K. A. Kim & Y. G. Yoo. (2015). Effect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response of adults with depression. J Korea Soc Wellness, 10(3), 109-121. 

  13. Y. H. Kwon., M. O. Song & C. N. Kim. (2011). Effects of Horticulture Therapy on Depression and Stress in Patient of Hospice Uni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0) , 4394-4402. 

  14. M. J. Lee. (2010). Effects of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cortisol response of mentally challenged adults. HortTechnology, 20(6), 971-976. 

  15. P. R. Lee, I. J. Han & C. K. Kim. (2011). Effect of five sense stimulati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attentional ability and juvenile delinquency in children with low-income familie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4, 331-336. 

  16. M. J. Song & W. S. Kim. (2013). The Positiv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Physical Vitality of Depressed Patients Was Confirmed by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Horticulture Abstracts, 205-205. 

  17. B. G. Hir & Y. J. Park. (2010). A horticultural therapy assistant who learns by film. Central lifecycle : Seoul. 

  18. E. Y. Eum & H. S. Kim. (2016).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self-efficacy, stress response, and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5(1), 48-57. DOI : 10.12934/jkpmhn.2016.25.1.48 

  19. M. Wichrowski, J. Whiteson, F. Haas, A. Mola & M. J. Rey. (2005).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mood and heart rate in patients participating in an inpatient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25(5), 270-274. 

  20. K. S. Han.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3), 585-592. DOI: http://dx.doi.org.libra.cnu.ac.kr/10.4040/jkan.2005.35.3.585 

  21. Stress Science. (2013). Korean Society for Stress Science, Korean Medical Association : Seoul. 

  22. LAXTHA. (2016). LAXTHA lXC3203 Clinical Manual. [Online]. www.laxtha.com 

  23. S. Y. Yun & B. J. Choi. (2010).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tress and serum cortisol of demented elders.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5), 891-894. 

  24. K. B. Koh, J. K. Park & C. H. Kim. (1999).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7(1), 26-41. 

  25. S. M. Choi, T. Y. Kang & J. M. Woo.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odified form of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for worker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5(6), 541-553. 

  26. T. H. An, B. S. Koo & G. W. Kim. (2012). According to depression index, difference of response to mental stress and effect to aromatherap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3(3), 11-22. DOI : 10.7231/JON.2012.23.3.011 

  27. H. K. Cho. (2010) Study on the Ingestion of Herb Mate and Rooibos Tea on the Alleviation of Stress : Konkuk University, Master dissertation. 

  28. I. J. Han, H. Y. Kim & Y. Y. Kim. (2003). Comparison of Frequency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Rehabilitation of Schizopherenia Patient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6(3), 47-56. 

  29. E. J. Jang, G. W. Han, J. W. Hong, S. E Yoon. & C. H. Pak. (2010). Meta-analysis of research papers o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effec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4), 701-707. 

  30. M. J. Song. (2009).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Emotion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31. J. S. Kim, H. J. Yi & J. H. Kim. (2008).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 on the Heart Rate Variability in Schizophrenia Patients. 

  32. N. Hjortskov, D. Rissen, A. K. Blangsted, N. Fallentin, U. Lundberg & K. Sogaard. (2004). The effect of mental stress on heart rate variability and blood pressure during computer work.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2(1-2), 84-89. DOI : 10.1007/s00421-004-1055-z 

  33. M. W. Agelink, C. Boz, H. Ullrich & J. Andrich. (2002). Relationship between major depression and heart rate variability.: Clinical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for antidepressive treatment. Psychiatry research, 113(1-2), 139-149. DOI: 10.1016/S0165-1781(02)00225-1 

  34. J. A. Kim & S. W. Kang. (2017).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Heart Rate Varia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1). 87-97. DOI : 10.7475/kjan.2017.29.1.87 

  35. E. J. Ahn, J. S. Choi, Y. L. Jang, H. W. Lee & H. B. Sim. (2012). Heart Rate Variability and Lipid Profil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9(1), 27-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