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of Middle-aged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2, 2019년, pp.383 - 391  

이미라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거주하는 중장년층 남녀 29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치매에 대한 지식은 9.0점, 치매에 대한 태도는 2.98점, 치매 예방행위는 2.22점이었다. 치매에 대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와 치매에 대한 태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치매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흡연, 음주, 치매에 대한 지식, 월수입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치매 예방행위를 39%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금연 및 절주에 대한 교육 및 치매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해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ementia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of middle aged adults. The participants were 297 middle aged adults living in P cit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5.0 program. The mea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치매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치매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중장년층의 치매 환자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중장년층의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치매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치매에 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중장년층의 치매 예방행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원인이 불명확하고 완치가 어려운 질환으로 기억력, 지남력, 판단력 언어기능 등이 상실되고[3], 현재 완치할 수 있는 치료법이 없으므로 위험요인을 조절하여 치매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치매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신체 비활동, 흡연, 당뇨병, 우울증, 교육 수준(중졸 이하) 등이 치매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4].
치매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예방 방법은 무엇인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치매의 위험요인을 분석한 결과 65세 미만 성인의 비만, 65세 미만 성인의 고혈압, 신체 비활동, 흡연, 당뇨병, 우울증, 교육 수준(중졸 이하) 등이 치매의 위험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4].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식이와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체중조절 및 비만 관리, 고혈압과 당뇨병 예방 그리고 절주,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 치매의 위험요인을 조절하는 예방행위를 잘 이행한다면 치매를 예방하고 발병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중장년층의 치매의 예방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중장년기는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시기로 바쁜 직장생활로 인한 신체 활동의 부족과 그로 인한 비만 그리고 서구화된 식습관과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고혈압과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에 취약하고, 흡연과 음주 등 치매의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중장년층의 치매 유병률을 감소시키고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고혈압, 당뇨병, 우울 등 치매의 위험인자의 의학적 개입을 통한 치료와 균형 잡힌 식이,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 등을 통해 치매 발병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치매 예방행위가 중요하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8). Annual Report 2018. Seoul: NID.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 

  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8. 8. 30). Dementia by aging 2018. Medical world news.. http://www.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27183&page5 

  3. S. Kim, D. Y. Lee & H. Jeon. (2019). A study on the causes which have impact on the recognition rehabilitation service use inten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Korean Journal of Care Management, 23, 1-17. 

  4. Y. H. Jung & S. J. Goo. (2017). Analysis of dementia risk factors and dementia management. Issue & Focus, 338, 1-8. 

  5. M. E. Duffy. (1998).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life women, Nursing Research, 37(6), 358-362. DOI:10.1097/00006199-198811009 

  6. L. E. Middleton & K. Yaffe. (2010). Targets for prevention of dementia,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3), 915-924. DOI:10.3233/JAD-2010-091657. 

  7. Y. H. Song. (2002). Study on the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dementia for the middle age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8. T. K. Kitwood & K. Bredin. (1992). Towards a theory of dementia care: personal hood and well-being, Ageing and Society, 12(3), 269-287. DOI: 10.1017/s0144686x0000502x 

  9. M. Park, D. Oh & H. Moon. (2018). A study on dementia Related attitudes of the middle Aged and their dementia preventive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4, 533-663. 

  10. J. H. Moom & I. J. Cho. (2017). The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f middle-aged people, Research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8(1), 407-427. 

  11. H. K. Jung. (2017). Differences in dementia experience,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middle age and elderly age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H. H. Kim. (2016).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middle and old-aged peop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Y. H. Lee. (2012).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s regarding dementia in community pre-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4. M. J. Cho, M. H. Kim, M. D. Kim, B. J. Kim & J. R. Kim. (2008). National 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n elder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5. H. M. SunWoo. (2014).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on dementia among community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Y. W. Lee. (2007). Effects of dementia education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low Income middle-aged women, Annual Report for Namgu Dementia Caring Center, Incheon. 

  17. Y. W. Lee, S. M. Woo, O. R. Kim, S. Y. Lee & H. B. Lim. (2009).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knowledge, attitud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behavior among low income middle-aged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Adult Nursing, 21(6), 617-627. 

  18.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8). Korean dementia observatory 2016, Seoul: NID. https://www.nid.or.kr/info/dataroom_view.aspx?bid 

  19. E. H, Ha & J. Y. Cho. (2015). Analysis of knowledge about, attitude toward, and educational needs for dementia in certified caregiv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108-118.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7577786 

  20. J. H. Kim. (2016). A study on the dementia prevention activities through dementia attitude and dementia knowledge of the elderly in the agricultural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nny University, Kyeongbuck. 

  21. M. Koch et al. (2019). Alcohol consumption and risk of dementia and cognitive decline among older adults with or without mild cognitive impairment, JAMA, Netw Open, 2(9), 1-13. DOI:10.1001/jamanetworkopen.2019.103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