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군사용으로 개발된 드론은 최근 들어 농업, 산업, 방송중계, 경찰, 소방, 레저 등 광범위한 활용 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드론은 IT 기술과 결합하여 활용 분야를 더욱 넓혀가고 있고, 4차 산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 예방, 대비, 대응 등 재난 방재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드론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드론 스펙을 조사하고 연구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원격조종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고, 드론 원격조종을 위한 프로그램 방안을 조사하고, 드론에서 원격조종 방송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결론: 해당 드론은 재난현장에서 원거리 원격조종, 원격방송 등의 기능을 바탕으로 재난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rones, developed for military use, have recently expanded a wide range of areas of use, including agriculture, industry, broadcasting utility, police, fire fighting and leisure. Drone, combined with IT technology, is further expanding its utilization and emerging as a key part of the fourth industry. Purpose: This study designs and implements drones that can be utilized in disaster prevention areas such as disaster prevention, preparedness and response.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hardware drone specifications and developing a program suitabl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Resul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drone that can be controlled remotely, investigated program plans for drone remote control, and developed a program that enables remote control broadcasting from drones. Conclusion: The drone could be used in the disaster area based on functions such as remote control and remote broadcast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외적으로 드론 기술이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각종 규제가 아직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향후 드론의 상용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의 재난대응용으로 드론의 활용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대응을 위한 원거리용 원격조종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비교적 높은 성능을 가진 라즈베리 파이는 가격도 저렴하므로 재난 상황에서 사용될 드론에 접목하여 활용하기에 매우 높은 경제성과 효율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과 GCS를 라즈베리 파이와 LTE 모듈을 통해 연결하여 상호 통신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재난이 발생한 지점으로 무인 드론을 신속히 보내기 위해서 원격조종을 통한 비행 기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의 원격조종 기술을 구현하기 위하여 GCS의 드론 제어 S/W를 개발하였다. Fig.
국내외적으로 드론 기술이 현저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각종 규제가 아직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향후 드론의 상용화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도시에서의 재난대응용으로 드론의 활용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대응을 위한 원거리용 원격조종이 가능한 드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이에 따라 디지털기술을 활용하여 도시의 안전을 계획하는 다양한 기술을 적용한 재난대응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대응 방안의 하나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드론을 원거리 원격조정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여 재난 상황에 신속한 상황전파가 이루어질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드론 | 드론이란? |
항공안전법상 초경량 비행 장치 중 무인 비행 장치에 속하며,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조종사 없이 비행 및 조종을 할 수 있은 무인 비행 장치
드론은 항공안전법상 초경량 비행 장치 중 무인 비행 장치에 속하며, 무선전파를 이용하여 조종사 없이 비행 및 조종을 할 수 있은 무인 비행 장치를 말한다. 드론은 구동 형태에 따라 고정익 무인 비행 장치, 회전익 무인기, 혼합형 무인기로 구분된다. |
재난대응 드론 | 재난대응 드론의 도입으로 기대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
신속한 상황전파 및 재난현장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 구현과 국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
게다가 원격 방송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시민 재난상황 전파 안내방송 서비스를 할 수 있어 인명피해 저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드론을 통해 신속한 상황전파 및 재난현장 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안전한 사회 구현과 국민의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재난관리 | 최근 재난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
최근의 재난 발생은 발생 빈도에서뿐만 아니라 복합적이고 대규모적이고 치명적
이러한 스마트 솔루션 가운데 대표적인 것 중의 하나가 드론 관련 기술이다. 최근의 재난 발생은 발생 빈도에서뿐만 아니라 복합적이고 대규모적이고 치명적인 재난이라는 점에서 재난관리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재난을 예방 또는 대비하거나 재난 발생 초기에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을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