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퇴적 구조 관찰 시 유념해야 할 토양화 및 지하수 유동 흔적: 경주 용장리 트렌치 단면의 예
Evidences of Soil-Forming Processes and Groundwater Movement Obscuring Sedimentary Structures: A Trench Profile in Yongjang-li, Gyeongju, Sou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6, 2019년, pp.519 - 528  

윤소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2017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트렌치 단면에서 퇴적층을 관찰할 때 고려해야하는 토양화 과정과 지하수의 유동에 기인하여 나타나는 특성을 기술하였다. 지표로부터 굴착된 트렌치 단면은 토양화 과정과 지하수 유동에 의한 흔적을 포함하고 있어 퇴적학자들의 관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사이트 토양은 비교적 초기단계의 토양화 과정에 있어서 퇴적층의 특징을 관찰하는데 크게 어려움을 주지 않으나, 퇴적층리 관찰을 가장 어렵게 하는 요인은 지하수의 이동에 따른 망간산화물철산화물의 침전이었다. 지하수면을 따라 형성된 이 침전물은 퇴적층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기도 하고, 지하수면의 위치 또한 접하고 있는 퇴적층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러 위치에서 침전물이 관찰되었다. 또 이들 지하수면 상하부에서는 각기 철의 산화환원 상태에 따라 색변화가 관찰되므로 퇴적층 기술에 주의가 요구된다. 미세기공을 통해 모세관 현상으로 상부로 이동하는 지하수에 의해 일부 세립질 퇴적층이 지하수면 수 미터 상부까지 환원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원철 상태를 지시하는 색을 띠기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has excavated a trench at Yongjang-li in the city of Gyeongju to examine the evidence of fault movement related with the 2016 earthquake in unconsolidated sediments. In the trench profile, the author has observed the features of o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7),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는 양산단층대의 활성단층을 추적하고자 항공사진 분석을 통해 선형구조가 인지된 경주 내남면 용장리 인근에서 지표조사와 트렌치 조사를 실시하였다(KIGAM, 2018). 본 논문에서는 용장리 트렌치 단면에서 토양 층위 형성과 지하수에 의한 물리화학적 작용의 흔적을 중심으로 퇴적구조와 공존하는 토양화 과정과 지하수 유동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들을 기술할 것이며, 이를 예로 삼아 트렌치 퇴적층 조사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본고에서 저자는 2016년 경주지진 이후 2017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굴착한 용장리 트렌치 단면에서 관찰된 토양화 과정 및 지하수 유동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을 토양 형성과정과 토양수 이동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2절)을 기반으로 관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2016년 경주 지진은 양산단층의 부속단층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Kim et al.
  • 이 절에서는 일반토양학(Brady and Weil, 1996) 수준에서 트렌치 굴착 후 퇴적구조 기재 시 감안하여야 할 토양화 작용의 흔적 관찰에 도움이 될 토양에 대한 기초적 내용 중 용장리 트렌치 단면에 적용될 수 있는 내용을 집약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화 과정 관측 시 지하수면은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지하수면에서는 망간산화물과 함께 철산화물도 침전되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광물상으로 산출되었다. 또, 지하수면 상하부에서 산화환경상태가 달라 철의 산화환원에 따른 색변화로 퇴적층의 색 또 한 영향을 받게 되는데, 용장리 트렌치 사이트에서는 지하수면과 맞닿은 세립질 퇴적층에서 지하수가 미세 기공을 따라 모세관력으로 수 미터까지 상승하면서 철 이 환원 상태에 있게 되어 주변의 산화철의 갈색을 띠 는 조립질 층과 달리 회색을 띠는 것도 관찰되었다. 이 세립질 퇴적층과 맞닿아 있는 부분의 지하수면이 상승되면서 침전된 망간산화물로 인해 이 퇴적층과 주 변 퇴적층의 정확한 경계의 관찰이 불가능했다.
퇴적층은 무엇인가? 퇴적층은 퇴적 당시의 지구조적 환경이나 기후 등 고환경을 지시해주며, 퇴적 후 일어난 마그마 관입, 단 층 운동 등 지질학적 사건의 증거가 되기도 한다(Min and Kim, 1977; Cheon et al., 2017).
지표 인근 미고결 퇴적물을 퇴적층 기재할때 한계점은? , 2019). 그러나, 지표 인근 미고결 퇴적물은 지진에 대한 기록뿐 아니라 지표에서 일어 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에 대한 기록도 함께 보유하게 되므로, 지표 인근 퇴적층을 관찰할 때는 침식, 토양화작용, 생물교란작용 등의 유무를 검토하고, 이들로 인해 퇴적층 기재에 한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인 지하여야 한다(Nam, 2018). 트렌치를 굴착하여 지표 인근 퇴적층을 관찰할 때에는 퇴적층 형성시기와는 무 관하게 현재 지하수 면 상부에 놓인 퇴적층이 산화상 태에 노출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인 토양화 과정에 의한 특징과 함께 지하수면이나 지하수/토양수의 퇴적층 내 유동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itkenhead, M.J., Coull, M. Towers, W. Hudson, G. and Black, H.I.J. (2013) Prediction of soil characteristics and colour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Soils Inventory of Scotland. Geoderma, v.200-201, p.99-107. 

  2. Baumann, K., Schoning, I., Schrumpf, M., Ellerbrock, R.H. and Leinweber, P. (2016) Rapid assessment of soil organic matter: Soil color analysis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Geoderma, v.27, p.49-57. 

  3. Brady, N.C. and Weil, R.R. (1996)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rentice Hall Inc., New Jersey, 740p. 

  4. Brouwer, C., Prins, K. and Heibloem, M. (1989) Irrigation water management: irrigation scheduling, Training manual No.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Rome, 43 p. 

  5. Cheon, Y., Ha, S. and Son, M. (2017) Geometry and kinematics of fault systems in the Uiseong block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ir roles on the basin evolution. J. Geol. Soc. Korea, v.53, p.241-264. 

  6. Choi, S.-J., Ghim, Y.S., Cheon, Y. and Ko, K. (2019) The first discovery of Quaternary fault in the western part of the South Yangsan fault - Sinwoo Site. Econ. Environ. Geol., v.52, p.251-258. 

  7. Evans, C.V. and Franzmeier, D.P. (1988) Color index values to represent wetness and aeration in some Indiana soils. Geoderma, v.41, p.353-368. 

  8. Freitas, R.M., Perilli, T.A.G. and Ladeira, A.C.Q. (2013) Oxidative precipitation of mangases from acid mine drainage by potassium permanganate. J. Chem., v.2013, p.1-8. 

  9. Franzmeier, D.P., Yahner, J.E., Steinhardt, G.C. and Sinclair, H.R. (1983) Color patterns and water table levels in some Indiana soils. Soil Sci. Soc. Am. J., v.47 p.1196-1202. 

  10. Ghim, Y.S. and Ko, K. (2019) Geological significance of liquefaction and soft-sediment deformation structures. Econ. Environ. Geol., v.52, p.471-484. 

  11. James, B.R. and Bartlett, R.J. (1999) Redox phenomena. In Sumner, M.E. (ed.) Handbook of Soil Science. CRC Press, Washington, D.C., p.B169-B194, 

  12. KIGAM(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2018) 일반인을 위한 한반도 동남권 지진: 경주지진 & 포항지진을 중심으로, KIGAM, 56p. 

  13. Kim, Y.-S., Kim, T., Kyung, J.B., Cho, C.S., Choi, J.-H. and Choi, C.U. (2017) Preliminary study on rupture mechanism of the 9.12 Gyeonju Earthquake. J. Geol. Soc. Korea, v.53, p.407-422. 

  14. Min, K.D. and Kim, W.Y. (1977) A Study on the Structural Deformations in the Sedimentary Layer Resulted from Magma Intrusion. Econ. Environ. Geol., v.10, p.37-48. 

  15. Nahm, W.-H. (2018) Present situation of research of Quaternary terrestrial unconsolidated sediments in Korea. J. Geol. Soc. Korea, v.54, p.107-119. 

  16. NIAST(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 Jigog Series, described by Song, K.C., Noh, D.C. and Hyun, B.K. (http://soil.rda.go.kr/soil/koreaSoils/soilSearch.jsp) 

  17. Sanchez-Maranon, M., Romero-Freire, A. and Martin-Peinado, F.J. (2015) Soil-color changes by sulfuricization induced from a pyritic surface sediment. Catena, v.135, p.173-183. 

  18. Sain A., Griffin, A. and Dietrich, A.M. (2014) Assessing taste and visual perception of Mn(II) and Mn(IV). J. Am. Water Works Assoc., v. 106, p. E32-E40. 

  19. Takeno, N. (2005) Atlas of Eh-pH diagrams: Intercoparison of thermodynamic databases. Geological Survey of Japan Open File Report No. 419. 

  20. Watkinson, D., Weber, L. and Anheuser, K. (2005). Staining of archaeological glass from manganese-rich environments. Archaeometry, v.47, p.69-82. 

  21. Wills, S.A., Burras, C.L. and Sandor, J.A. (2007) Prediction of soil organic carbon content using field and laboratory measurements of soil color. Soil Sci. Soc. Am. J., v.71, p.380-3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