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정선일대 지질구조의 기하학적 형태 해석

Stur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Okcheon Belt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no.6, 2019년, pp.541 - 554  

장이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  정희준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옥천대 태백산지역은 한반도의 지각 진화 과정 동안 중첩된 다변형 조산운동의 증거를 보존하고 있는 주요 습곡-단층대 가운데 하나로, 북서부의 평창-정선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의 주천지역 및 남쪽의 영월지역이 각각 단층 경계로 구분되며, 층서 및 지질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지층들의 이러한 지역적 차이와 지구조 운동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 발간된 평창지역 지질도들에서 지질연대가 상이하게 제안된 시대미상 퇴적암체에 대한 연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해당 암체가 후기 고생대 평안누층군에 대비되는 지층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대 결과와 야외조사를 통해 획득한 구조요소 자료를 종합하여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지질구조들의 기하학적 형태를 해석하였다. 이 지역의 가장 주된 지질구조는 북동-남서 방향의 힌지를 가지는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로, 지동리배사, 남병산향사 및 임하리배사 등과 같은 이차습곡구조들을 수반한다. 하반구 투영 및 하향 투영 단면 해석 결과, 정선대향사는 힌지가 남부에서는 남쪽으로, 북부에서는 북쪽으로 완만하게 침강하는 향사형 극융 형태의 이중 침강 구조를 가진다. 그러므로 지질도 상에서 연구지역 남부와 북부의 지질구조의 특성이 상이하게 나타나 복잡하게 보이는 것은 침강하는 힌지로 인해 지질도 상에 노출되는 이차습곡들의 구조적 높이가 달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평창지역과 정선지역 고생대 지층의 분포를 규제하는 지질구조가 광역 규모의 정선대향사이고, 동익부인 정선지역에서만 보고된 행매층 및 회동리층이 서익부인 평창지역에서도 확인됨을 고려할 때, 향후 평창지역의 행매층 및 회동리층에 대한 상세 연구를 통해 습곡 등과 같은 구조 운동에 의한 이들의 대칭 반복 가능성에 대해 추가 연구가 이루어지길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aebaeksan Zone of the Okcheon Belt is a prominent fold-thrust belt, preserving evidence for overlapped polyphase and diachronous orogenic events during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yeongchang-Jeongseon area of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is fault-bounded on the western J...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지리적으로 주천 및 영월지역 사이에 위치하는 평창지역의 지질구조에 관한 연구는 서부 태백산지역의 구조 진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창지역에서 기 발간된 지질도들 간의 지층 분포 및 층서의 불일치 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연대 증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야외조사를 통해 수정·보완된 지질도를 활용하여 평창지역에 보존되어 있는 지질구조들의 기하학적 형태를 해석하고, 해석된 북서부 태백산지역 지질구조에 대한 고찰을 통해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천대의 구분 방식은?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옥천대는 주로 선캠브리아 시대 편마암 복합체로 구성된 경기육괴 및 영남육괴와 각각 북서부와 남동부 경계를 이루며, 북동부의 태백산지역(TaebaeksanZone)과 남서부의 옥천지역(Okcheon Zone)으로 구분된다(e.g.
평창지역의 지질구조의 연구가 구조진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이유는? 최근 평창지역 서쪽의 주천지역을 중심으로 클리페형태의 기반암 단층에 대한 구조기하학적 형태 및 키네마틱스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며(Kihm et al.,2010; Lee, 2016), 남쪽의 영월지역에서는 조선누층군을 반복시키는 수 매의 남-북 방향 트러스트들이 듀플렉스 트러스트시스템으로 새롭게 해석된 바 있다(Janget al., 2015).
옥천대 태백산지역은 무엇인가? 옥천대 태백산지역은 한반도의 지각 진화 과정 동안 중첩된 다변형 조산운동의 증거를 보존하고 있는 주요 습곡-단층대 가운데 하나로, 북서부의 평창-정선지역을 중심으로 서쪽의 주천지역 및 남쪽의 영월지역이 각각 단층 경계로 구분되며, 층서 및 지질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북서부 태백산지역에 분포하는 고생대 지층들의 이러한 지역적 차이와 지구조 운동과의 연관성을 이해하기 위해 구조기하학적 형태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oi, D.K. (1998) The Yongwol Group (Cambrian-Ordovician) redefined: a proposal for the stratigraphic nomenclature of the Choson Supergroup. Geosciences Journal, v.2, p.220-234. 

  2. Choi, D.K. (2009) Trilobite faunal assemblages of the Taebaeksan basin and their importance in reconstructing the early Paleozoic paleogeography and paleoenvironments of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25, p.129-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D.K. and Chough, S.K. (2005) The Cambrian-Ordovician strati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a review. Geosciences Journal, v.9, p.187-214. 

  4. Choi, D.K., Chough, S.K., Kwon, Y.K., Lee, S.-B., Woo, J., Kang, I., Lee, H.S., Lee, S.M., Sohn, J.W., Shinn, Y.J. and Lee, D.-J. (2004) Taebaek Group (Cambrian-Ordovician) in the Seokgaejae section, Taebaeksan Basin: a refined lower Paleozoic stratigraphy in Korea. Geosciences Journal, v.8, p.125-151. 

  5. Choi, S.-J. (1980) A study on biostratigraphy and micropaleontology of the Hoedongri and Haengmae formation in Pyeonganri area, Pyeongchang-Gun, Gangwon-Do.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0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eong, C.H., Lee, D.Y., Yu, Y.S. and Kang, K.W. (1979a)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Pyeongchang and Yeongweol sheet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Seoul, 19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Cheong, C.H., Lee, H.Y., Koh, I.S. and Lee, J.D. (1979b) A study on stratigraphy and sedimentological environments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South Korea (Chiefly in Jeongseon Area).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Natural Sciences), v.18, p.123-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eong, H.J. (2017) Structural geometry of the Pyeongchang area, Okcheon belt, Ko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07p. 

  9.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s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a review and new view. Earth-Science Riveiws, v.52, p.175-235. 

  10. Cluzel, D., Lee, B.,-J. and Cadet, J.P. (1991) Indosinian dextral ductile fault system and synkinematic plutonism in the southwest of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Tectonophysics, v.194, p.131-151. 

  11. Dongah Geological Consultant Co. (DGCC) (1978) Geology of the Pyeongchang coalfield.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Seoul, 32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Geological Investigation Corps of Taebaeksan Region (GICTR) (1962) Report on the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Taebaeksan Region. Geological Society of Korea, Seoul, 89p. (in Korean) 

  13. Hartmann, L.A., Leite, J.A.D., Silva, L.C., Remus, M.V.D., McNaughton, N.J., Groves, D. I., Fletcher, I.R., Santos, J.O.S. and Vasconcellos, M.A.Z. (2000) Advances in SHRIMP geochronology and their impact on understanding the tectonic and metallogenic evolution of southern Brazil. Austral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v.47, p.829-844. 

  14. Hisakoshi, S. (1943) Geology of Seizen (Jeongseon) district, Kogendo, Tyosen.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Japan, v.50, p.269-277. (in Japanese) 

  15. Hong, S.H., Hwang, S.G. and Cho, D.L. (1995) Geological report of the Changdong sheet (1:50,00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logy, Mining and Materials, Daejeon, 27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Jang, Y., Kwon, S. and Yi, K. (2015) Structural style of the Okcheon fold-thrust belt in the Taebaeksan Zone, Korea.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v.105, p.140-154. 

  17. Kim, J.C., Koh, H.J., Lee, S.R., Lee, A.-B., Choi, S.J. and Park, K.H. (2001) Explanatory note of the Ganreung-Sokcho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Dajeon, 76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J.M. (1982) A study on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 in the Kogilri-Daehwari area, Pyeongchang-Gun, Kangweon-Do (Chiefly by means of conodont stud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63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O.J., Lee, H.Y., Lee, D.S. and Yun, S. (1973)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 structures of the Great Limestone Ser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6, p.81-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O.J., Park, P.S. and Min, K.D. (1985) Strudies on Geology and Mineral Resourves of the Okchon Belts-Geological structure of the areas between Pyongchang, Yongwol and Jech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Mining Geology, v.18, p.369-379. 

  21. Kim, M.G. and Lee, Y.I. (2017) The stratigraphy and correlation of the upper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 A review.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53, p.321-338. 

  22. Kihm, Y.H., Kee, W.S. and Jin, G.M. (2010) Geological structures of Jucheon area, contact area between Okcheon belt and Gyeonggi Massi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3, p.637-6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obayashi, T. (1966)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and faunas of South Korea, Part X, Stratigraphy of the Chosen Group in Korea and South Manchuria and its relation to the Cambro-Ordovician formations of other areas, Section A, The Chosen Group of South Korea.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II, v.16, p.1-84. 

  24.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2019) 1:1,000,000 Geologic Map of Korea. 

  25. Kwon, Y.K. (2012) Sequence stratigraphy of the Yeongwol group Cambrian-Ordovician), Taebaeksan Basin, Korea: paleogeographic implications.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5, p.317-333. 

  26. Kwon, Y.K., Kwon, Y.J., Yeo, J,M. and Lee, C.Y. (2019) Basin Evolution of the Taebaeksan Basin during the Early Paleozoic.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2, p.427-448. 

  27. Lee, B.S. (2018) Recognition and significance of the Aurilobodus serratus Conodont Zone (Darriwilian) in lower Paleozoic sequence of the Jeongseon-Pyeongchang area, Korea. Geosciences Journal, v.22, p.683-696. 

  28. Lee, B.S. (2019) Upper Ordovician (Sandbian)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of western Jeongseon, Korea. Geosciences Journal, v.23, p.695-705. 

  29. Lee, B.S., Lee, H.Y., Cheong, C.H. and Lee, S.J. (1991) Microfossils from the Sambangsan Formation in the Yeongweol area, Kangweondo and its stratigraphical implication.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v.7, p.116-137. 

  30. Lee, H. (2016) Structural geometry and kinematics of the Jucheon-Pyeongchang area of the Okcheon belt, Korea.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8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e, H.Y. (1980) Discovery of Silurian conodont fauna from South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16, p.114-123. 

  32. Lee, H.Y. (1982) Conodonts from the Hoedongri Formation (Silurian), western Jeongseon area, Kangwondo, South Korea.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Natural Sciences), v.21, p.43-131. 

  33. Lee, H.Y., Yu, K.M. and Lee, J.D. (1986) Sedimentologycal, Stratigraphical and Paleontological study on the Sambangsan Formation and its adjacent formaions in the Yeongweol-Pyeongchang area, Kangweondo.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22, p.69-86. 

  34.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v.4, 77p. 

  35. Nam, H., Song, D., Kang, H.-C., Kim, J.-S., Lee, S.-K. and Son, M. (2015) Detailed geological survey in the Pyeongchang (I) area. Korea Resources Corporation, 70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Paces, J.B. and Miller Jr., J.D. (1993) Precise U-Pb ages of Duluth Complex and related mafic intrusions, Northeastern Minnesota: geochronological insights to physical, petrogenic, paleomagnetic, and tectonomagmatic processes associated with the 1.1 Ga midcontinent rift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olid Earth, v.98, p.13997-14013. 

  37. Ree, J.-H., Kwon, S., Park, Y., Kwon, S.-T. and Park, S.- H. (2001) Pretectonic and posttectonic emplacement of the granitoids in the south central Okchon belt,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timing of strike-slip shearing and thrusting. Tectonics, v.20, p.850-867. 

  38. Seo, K.S. (1983) A study on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s in the Daewhari and Anmiri area, Pyeongchang-Gun, Kangwon-Do. (Chiefly by means of conodont stud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0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on, C.M. and Cheong, J.G. (1971) Geology of the Northwestern part of Pyeongchang district, Gangweondo, Korea.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7, p.103-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on, C.M. and Cheong, J.G. (1976) On the geologic structure of Pyeongchang-Hoedong area. Journal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Republic of Korea (Natural Sciences), v.15, p.221-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1. Varvra, G., Schmid, R. and Gebauer, D. (1999) Internal morphology, habit and U-Th-Pb microanalysis of amphibolite-to-granulite facies zircons: Geochronology of the Ivrea Zone (Southern Alps).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134, p.380-404. 

  42. Yi, M.S. (1983) A study on stratigraphy and paleontology of the lower Paleozoic sequence in the Bangrimri and Jujinri area, Pyeongchang-Gun, Kangweon-Do (Chiefly by means of conodont study).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4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Yin, A. and Nie, S. (1993) An indentation model for the north and south China collis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Tan-Lu and Honam fault systems, eastern Asia. Tectonics, v.12, p.801-813.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