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장재에 따른 멸균품의 유효기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helf Life of Sterilized Products according to Packaging Material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5 no.3, 2019년, pp.333 - 341  

장송자 (삼성서울병원) ,  정정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최경미 (삼성서울병원) ,  김미영 (삼성서울병원) ,  박주희 (삼성서울병원) ,  정나연 (삼성서울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shelf life for sterilized products according to their packaging material. Methods: Samples were prepared to target six nursing units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fter steam and E.O gas sterilization, sterilized product, 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대상 병원에서도 선행연구[2]를 근거로 종이와 부직포로 포장한 멸균품의 유효기간은 3개월, 멸균 봉투로 포장한 멸균품은 9개월로 운영되고 있으나 선행연구[8]에서 확인되고 있는 유효기간을 근거로 유효기간에 대한 재검증을 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포장재에 따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유효기간 이후의 오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병원 감염을 최소화 하면서 멸균품 관리 비용 절감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멸균품이 보관되어 있는 임상 현장의 보관 환경을 파악하고 포장재에 따른 현재 운영되고 있는 유효기간 이후의 오염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배지에 심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멸균품 샘플을 제작하여 연구대상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포장, 멸균, 공급 과정과 동일하게 진행한 후 오염여부를 확인하였다.
  • 멸균품을 보관하는 장소의 환경을 말하며 먼지와 물기,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환기가 잘 되어야 하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곳을 말한다[20]. 본 연구에서는 외부 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어 개방장을 사용하고 있는 중앙공급실과 수술실 그리고 멸균품 사용량이 많고 접촉 빈도가 높아 폐쇄장을 사용하고 있는 내과 병동과 외과 병동, 외과 중환자실과 응급실의 보관장 형태 및 위치 그리고 온도와 습도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내 일개 종합병원에서 운영되는 포장재에 따른 멸균품의 유효기간 연장에 대한 근거 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 서울 시내 일개 종합 병원 중앙공급실에서 멸균한 멸균품을 보관 환경이 다른 6개 부서로 불출한 후 포장재별 유효기간 경과 후의 오염 시기를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가설 설정

  • 보관장의 형태와 위치는 센티미터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온, 습도 측정은 디지털 온, 습도계 (blue bird J-303C, Blue Bird Company, Chin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보관장 형태는 문이 있는 장안에 멸균품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는 폐쇄장, 선반에 올려 놓고 멸균품을 사용하는 경우는 개방장으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멸균품의 유효기간은 무엇인가? 멸균품의 유효기간은 무균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가정하는 기간으로, 멸균품이 무균상태로 보관될 수 있는 최장 시간을 의미하며[6,7] 의료 관련 감염을 예방하면서 재멸 균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멸균품의 유효기간을 잘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멸균품의 유효기간은 국내에서는 일정 기간을 정해 관리하는 시간 중심 유효기간 관리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2,3,6,8-1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는 포장 훼손 등의 사건이 발생하는 것에 따라 관리하는 사건 중심 유효기간 관리를 채택 하여 사용하는 병원이 증가하고 있다고 하였다.
환자 치료과정에서 멸균품이 오염되었을 경우 문제점은 무엇인가? 멸균품을 사용하고 관리하는 의료기관 입장에서 보면 진료에 사용하는 재료나 의료기기들은 멸균된 상태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품목도 있으나 대부분이 병원에서 자체 멸균 과정을 거친 후 사용하게 되므로, 병원 비용 관리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2]. 또한 환자의 치료 과정에서 사용하게 되는 멸균품이 오염되었을 경우 창상 감염의 가장 큰 원인이 되고[3], 이는 진료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재원 일수의 증가, 의료비의 상승 등 여러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1]. 또한 멸균품 관리를 적절히 하지 못해 유효기간이 경과된 멸균품을 재멸균하거나 폐기함에 따라 병원 비용 증가를 야기하고 있다.
유효기간 관리 실태 조사에서 의료기관별 편차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 각 병원의 유효기간 관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병원중앙 공급간호사회에서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종이 포장지의 경우 14일로 관리하는 곳이 가장 많았으며 최장 98일까지로, 부직포의 경우는 14일이 가장 많았으며 최장 180일까지 그리고 멸균 봉투의 경우에도 180일로 정한 곳이 가장 많았으며 365일까지 관리하는 곳이 있어 의료기관별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15]. 이는 국내 의료기관들이 유효 기간에 대한 공식적인 지침이 없어 멸균품의 유효기간을 설정 하고 적용하기 위한 근거 마련을 위해 병원별로 연구들을 진행 하여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미생물 배양 검사의 실시, 실무부서와의 협조와 비용 발생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가 부족하여, 객관적인 근거보다는 자체적으로 감염 관리부서나 위원회 등에서 유효기간을 관례적으로 설정하여 적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10], 이는 잦은 재멸균으로 인한 인력 및 물품의 낭비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므로 유효기간에 대한 근거 마련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medical-related infection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9 Sep 4].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5237. 

  2. Yoon GS, Kim JH, Yang SH, Chae JY, Lee YM, Cho GS. A study for safe storage time for in-house sterilized products in a Korean hospita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1999;5(2):258-276. 

  3. Kim KS, Kim GJ, Park DI, Park BO, Choi MG. A study on validity periods of steam sterilization products-centering around packing materials and storage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0;6(1):73-90. 

  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edical device packaging process validation guideline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cited 2015 Mar22]. Available from: https://www.mfds.go.kr/brd/m_210/view.do?seq12662. 

  5.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cited 2019 Sep 4]. Available from: https://www.cdc.gov/infectioncontrol/guidelines/disinfection/. 

  6. Joo HS, Jo SD, Jeong JS, Shin DB, Lim BO, Roh EJ, et al. Effect of a long-term storage on contamination status of the sterile pack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3;8(1):47-55. 

  7.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ANSI/AAMI ST79:Comprehensive guide to steam sterilization and sterility assurance in health care facilities. Arlington, VA: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Medical Instrumentation; 2013. p. 87-88. 

  8. Choi JS, Kim KS. A study for safe storage time and cost analysis for sterilized products.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4;9(2):131-138. 

  9. Lee SW. A study on the safe storage period of steam- sterilized materials [master's thesis]. Seoul: Kyung Hee University; 2001. p. 1-42. 

  10. Son JS, Yu IK. A study on expiration date on ethylene oxide gas sterilization products - related to storage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2):141-150.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41 

  11. Gwon YH.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period about the storage environment of sterilized materials[master's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1995. p. 1-61. 

  12. Kim HJ. The validity of expiration date on extension of sterilization products. Incheon: The Nursing Department, Gachon University Gil Mecical Center; 2010. 

  13. Lakhan P, Faoagali J, Steinhardt R, Olesen D.Shelf life of sterilized packaged items stored in acute care hospital settings: Factors for consideration. Healthcare Infection. 2013;18(3):121-129. https://doi.org/10.1071/HI13002 

  14. Jeong MW. Extension of shelf life of sterilized products in central supply department. The22ndconference. Korea Association of Central Supply Department Nurse. 2013. p. 178. 

  15. Kim JO.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 of the central supply department. The 32nd spring conference, Korea Association of Central Supply Department Nurse. 2018. p. 86-89. 

  16. Chao RH, Chang FC, Liu CP. Using crepe paper to substitute cotton in sterilizatio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Infection Control. Abstracts from the 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Asia Pacific Society of Infection Control(APSIC) Volume 6, Supplement 2;DS6; 2017Feb12-15; Bangkok, Thailand. 

  17.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Development guidelines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14. p. 4. 

  18. Lee SJ, Shim MS, Kim SH, Kim GJ. Principle &truth reality of sterilization. Seoul: Hyunmoonsa; 2004. p. 64, 104-107, 328, 331. 

  19. Standard Korean Dictionary [Internet]. Seoul: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c2019 [cited 2019 Sep 4]. Available from: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 

  20. van Doornmalen J, Kopinga K. Review of surface steam sterilization for validation purpose.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08;36(2):86-92. https://doi.org/10.1016/j.ajic.2007.02.002 

  21. Barrett R, Stevens J, Taranter J. A shelf-life trial: Examining the efficacy of event related sterility principles and its implications for nursing practice. Austr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2004;21(2):8-12. 

  22.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ted Nurses. Recommended practices for selection and use of packaging systems for sterilization. AORN Journal. 2007;85(4):804. https://doi.org/10.1016/S0001-2092(07)60155-0 

  23. Lee KB, Kim YI, Chung KS. Improvement of hospital sickroom thermal environment through reestablishment of fiducial temperature. Proceedings of the SAREK 2018 Summer Annual Conference. 2009:573-578. 

  24.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trol Laboratories. Post-sterilizationmicrobial barrier challenge test: A 12Month shelf life sterility maintenance study of KIMGUARD sterilization wrap and muslin. Toledo, OH: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Control Laboratories; 2006. 

  25. Brusca MI, Nastri N, Mosca CO, Nastri ML, Rosa AC. Long-term sterility of orthodontic-surgical appliances. Acta odontologica Latinoamericana. 2004;17(1-2):23-27. 

  26. Schwartz R, Davis R. Safe storage times of sterile dental packs.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1990;70(3):297-230. https://doi.org/10.1016/0030-4220(90)90144-H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