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 인지와 수검의도 간의 관련성
The Correlation Between Cognition on Cervical Cancer Screening Project of Women in Their 20s in Korea and Intention of Screen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349 - 356  

김재우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임재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성호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강정규 (청주대학교 의료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1월부터 검진연령이 만 20세까지 확대된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20대 여성의 인식의 인지 정도를 조사하여 파악하고, 수검의도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자료는 2017년 11월1일부터 10일까지 C지역 여성을 대상으로 총 353명의 설문 응답을 수집하였다. 353부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행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해 129명(36.5%)만이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해 인지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수검의도가 1.63배 높았다. 따라서 학교보건 사업과 연계하여 20세 이전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여 20대 여성의 수검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and identify the degree of cognition of women in their 20s in Korea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which has been expanded to those aged 20 as the age for the screening since January 2016, and to reveal its correlation with intention of screening. The responses 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20대 여성의 인지 정도를 조사하여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검의도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 중 관리 및 홍보 사업을 운영하는데 기초ㆍ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1월 1일 이후 기존 만 30세에서 만 20세까지 검진 연령이 확대된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해 한국 20대 여성의 인지 정도를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검의도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20대 여성의 인지 정도를 조사하여 파악하고,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와 수검의도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 중 관리 및 홍보 사업을 운영하는데 기초ㆍ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첫 번째 영역에서는 자궁경부암 검진대상, 검진주기, 검진방법 등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수검의도를 질문한 다음, 다음페이지에서 연구대상자들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한 인지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인지하고 있었는지 질문하였다.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정보제공 이후 바로 수검의도를 다시 질문 하여 자궁경부암 검진 사업에 대한 정보인지 후의 수검 의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영역에서는 참가자들의 건강행태(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에 대해 질문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진은 국가암관리를 위한 정부의 막대한 예산 투자와 저조한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자료에 근거하여 ‘정부의 투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한민국 여성 10명 중 약 4명은 자궁경부암 검진을 받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제기하였다. 연구진은 2016년 검진연령의 확대로 새롭게 검진대상에 포함된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한 인지율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고,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한 인지 유무가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한국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 지식, 태도에 대한 연구[14], 농촌지역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15], 부산 일부지역 여성들의 자궁경부암 조기 검진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대한 연구[16],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여 20세부터 59세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사업에 대한 인식 연구[17]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3380&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2017.10.17. 

  2. V. A. Moyer and U. 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U.S. Prevne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6, No.12, pp.880-891, 2012. 

  3. J. Dickinson, E. Tsakonas, S. Conner Gorber, G. Lewin, E. Shaw, H. Singh, M. Joffres, R. Birtwhistle, M. Tonelli, V. Mai, and M. McLachlin, "Recommendations on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Vol.185, No.1, pp.35-45, 2013. 

  4. J. K. Lee, J. H. Hong, S. Kang, D. Y. Kim, B. G. Kim, S .H. Kim, Y. M. Kim, J. W. Kim, J. H. Kim, T. J. Kim, H. J. Kim, H. S. Kim, H. S. Ryu, J. Y. Song, H. S. Ahn, C. W. Yoo, H. K. Yoon, K. H. Lee, A. Lee, Y. Lee, I. H. Lee, J. W. Lee, T. S. Lee, M. C. Lim, S. J. Chang, H. H. Chung, W. Ju, H. J. Joo, S. Y. Hur, S. R. Hong, and J. H. Nam, "Practice guidelines for the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in Korea: Korean Society of Gynecologic Oncology and the Korean Society for Cytopathology 2012 editio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24, No.2, pp.186-203, 2013. 

  5. D. Saslow, D. Solomon, H. W. Lawson, M. Killackey, S. L. Kulasingam, J. Cain, F. A. Garcia, A. T. Moriarty, A. G. Waxman, D. C. Wilbur, N. Wentzensen, L. S. Jr Downs, M. Spitzer, A. B. Moscicki, E. L. Franco, M. H. Stoler, M. Schiffman, P. E. Castle, and E. R. Myers, "American Cancer Society, American Society for Colposcopy and Cervical Pathology, and American Society for Clinical Pathology screening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 Vol.62, No.3, pp.147-172, 2012. 

  6. Committee on Practice Bulletins-Gynecology, "ACOG Practice Bulletin Number 131: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Obstetrics and Gynecology, Vol.120, No.5, pp.1222-1238, 2012. 

  7. J. Murphy, E. B. Kennedy, S. Dunn, C. M. Mclachlin, M. Fung Kee Fung, D. Gzik, M. Shier, and L. Paszat, "Cervical screening: a guideline for clinical practice in Ontario,"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Canada, Vol.34, No.5, pp.453-458, 2012. 

  8. E. E. Partridge, N. R. Abu-Rustum, S. M. Campos, P. J. Fahey, M. Farmer, R. L. Garcia, A. Giuliano, H. W. 3rd Jones, S. M. Lele, R. W. Lieberman, S. L. Massad, M. A. Morgan, R. K. Reynolds, H. E. Rhodes, D. K. Singh, K. Smith-MnCune, N. Teng, C. L. Trimble, F. Valea, and S. Wilczynski, "Cervical cancer screening," Journal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Vol.8, No.12, pp.1358-1386, 2010. 

  9. C. Hamashima, D. Aoki, E. Miyagi, E. Saito, T. Nakayama, M. Sagawa, H. Saito, and T. Sobue, "The Japanese guideline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40, No.6, pp.485-502, 2010. 

  10.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0766&efYd20160804#0000, 2016.9.10. 

  11.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9934&page1, 2018.10.7. 

  12. http://www.ncc.re.kr/prBoardView1.ncc?nwsId3372&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2, 2018.10.7. 

  13. K. M. Decker, M. Harrison, and R. B. Tate, "Satisfaction of women attending the Manitoba breast screening program," Preventive Medicine, Vol.29, No.1, pp.22-27, 1999. 

  14. 김경희, 20대 여성의 자궁경부암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검진행위 실천에 관한 연구, 신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5. 박정돈, 강복수, 이경수, "농촌지역 여성의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의 검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8권, 제1호, pp.49-64, 2004. 

  16. 고광욱, 이덕희, 이용환, 손혜숙, "부산 일부지역 여성들의 자궁경부암 조기검진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경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6권, 제1호, pp.93-105, 2002. 

  17. 김재우, 강정규, 김성호, "자궁경부암 검진에 대한 한국 여성의 인식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지, 제16권, 제7호, pp.337-343, 2018. 

  18. 김종두, 국가암검진 홍보방법에 따른 암종별 검진율의 차이, 가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9. 백수정, 암검진 홍보가 대장암 검진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0. 김재우, 김성호, 강정규, "한국 국민의 국가암검진사업 인지와 수검의도간의 관련성 : 온라인 설문을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4호, pp.87-95, 2016. 

  21. 임지혜, 김선영, "대장암 조기 검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8권, 제1호, pp.69-8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