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내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hool Forests on Mental Health and Cognition of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4, 2019년, pp.655 - 662  

최선혜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연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이윤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교숲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우정사업본부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서울시 교육청이 협력으로 학교숲 조성사업이 실시된 서울 A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학교 숲이 조성되기 전과 후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환경 감수성, 숲에 대한 태도, 우울과 불안, 공격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 및 분석 결과 학교숲의 조성이 환경 감수성과 숲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공격성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고, 숲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줄여줌으로 인지·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이에 따라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로 학교숲 조성의 필요성을 고취하고, 학교숲이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forests on the cognition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ata were obtained through the surveys of six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at took part in the School Forest Project run by Korea Post, the Kor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Lee, 2008). 따라서 아동이 하루중 가장 오랫동안 생활하는 학교에 숲을 조성하여 아동이 환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환경감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 장기적으로 아동의 환경감수성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 따라서 아동이 하루중 가장 오랫동안 생활하는 학교에 숲을 조성하여 아동이 환경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환경감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 장기적으로 아동의 환경감수성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기반을 다지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 사업에 참여한 A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학교숲 조성에 따른 아동의 인지⋅정신건 강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환경감수성, 숲에 대한 태도, 우울과 불안,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학교숲 조성 전⋅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학교숲을 조성하기 전⋅후 아동의 환경감수성과 정신건강의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학교숲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숲의 유용성과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건강한 발달을 돕고. 환경 감수성을 키움으로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을 예측할 수 있다.
  • , 2015), 교실 밖 풍경에 녹지 공간이 보이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집중력의 차이를 본 연구들이 있다(Li and Sullivan, 2016). 이 연구들은 학교숲의 공간적인 의미를 넘어 우리 삶과 숲이 얼마나 밀접해 있는지를 보는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즉, 아동들의 주변 생활환경을 녹지공간으로 바꾼다는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학교숲을 조성하기 전⋅후 아동의 환경감수성과 정신건강의 변화를 측정하고 비교하여 학교숲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숲의 유용성과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교숲이 인지적으로는 환경 감수성과 숲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 정신건강으로는 아동의 외현화 된 문제행동인 공격성과 내면화된 문제행동인 우울과 불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 연구하여 숲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문제 측면에서 숲의 역할은 무엇인가? 숲 조성이 사람에게 주는 긍정적 의미를 담은 말이다. 숲은 환경, 정서 문제 등 사회문제가 대두될 때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해결책으로, 건강한 삶을 위한 휴식과 자유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특히 아동들에게 숲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아동들에게 숲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특히 아동들에게 숲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도시 생활하는 아동들이 실제 자연환경을 접하고 놀이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있는 반면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와 놀이하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 많은 부정적 결과를 낳고 있기 때문이다(Kang and Kim, 2019; Kwak and Lee, 2016). 아동종합 실태조사(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9)에 따르면 한국 아동의 삶의 만족도는 6.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인지·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조사 및 분석 결과 학교숲의 조성이 환경 감수성과 숲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고, 공격성 하위요인인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즉, 학교숲 조성이 아동의 환경 감수성을 높이고, 숲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신체적 공격성과 불안을 줄여줌으로 인지·정신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이에 따라 학교숲 조성이 아동들의 문제행동 감소와 자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manda, S. 2017. Implementing a Nature-Based Approach in Elementary Schools. Master's thesis. Toronto University of Education. Toronto, canada. 

  2. Cho, Y.M., Shin, W.S., Yeoum P.S. and Lee, H.E.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Sociality and Depression.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5(2): 69-75. 

  3. Dyment, J.E. and Bell, A.C. 2007. Grounds for movement: green school grounds as sit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y. Health Education Research 23(6): 952-962. 

  4. Eom, M.S., Ha, S.Y. and Lee, Y.H. 2015. Effect of Forest Experience o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Forest,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State-Trait Anxiety.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9(4): 45-52. 

  5. Forest for Life. 2019. What is the school forest movement. Forest for Life. https:// Schoolforest.or.kr.(2019.09.19) 

  6. Hong, S.H., Shin, C.S., Kim, J.Y., Jo, Y.S. and Bang, M.R. 2016. Effects on the ADHD Children's Behavior and Sociality by Forest Activities: A Pilot Study.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9(2): 139-147. 

  7. Jeong, J.Y. 2014. An analysis on the casual model between parent-child negative interaction and adolescent aggression: Focusing on sex differences.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5(2): 237-263. 

  8. Jeong, T.S., Shin, W.S., Yeoun, P.S., Lee, J.H. and Lee, J.H. 2010.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Trait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4(3): 1-12. 

  9. Joo, S.H. 2001. Measur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program.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19: 9-16. 

  10. Kang, I.S. and Moon, H.J. 2014.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in Relation with Nuri Curriculum in Green Growth Education Programme for Young Children on Their Knowledg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ttitudes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10(5): 133-158. 

  11. Kang, J.G. and Kim, E.J. 2019. A study on the Natur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areful Thinking of Young Children according to the Forest-Experiencing Activity Based on the Edu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6(1): 231-255. 

  12. Kang, S.M., Lee, J.H. and Jeong, Y.O.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ctivity Using School Fores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05-124. 

  13. Kang, Y.S. and Kim, Y.S. 2012. An effect of forests activities for life respect on children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2): 1-18. 

  14. Kim, H.R. and Koo, C.D. 2019. The Influence of Urban Forest and School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tress of High School Stude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33(3): 341-353. 

  15. Kim, I.J., Shin, W.S. and Yeoun, P.S. 2012. The Influence of a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Student's Aggression. -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 Income Familie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6(4): 133-140. 

  16. Kim, J.H. and Lee, H.R. 2006. The Effects of organized Camp Group Counseling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ough Forest Experiences.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7(3): 849-864. 

  17. Kim, M.H. 2014. A Study on the Positiv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for Children from Economically Underprivileged Households on Their Emotional State, Life Satisfaction, and Ego-resili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5(4): 223-247. 

  18. Kim, S.A., Jung, D.W., Kim, G.W. and Park, B.J. 2015. The Effect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9(4): 35-43. 

  19. Kim, S.A., Jung, D.W., Yeom, D.G., Kim, G.W. and Park, B.J. 2015. Th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s toward Forest, Stress,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9(3): 51-28. 

  20. Kim, Y.S., Shin, W.S., Yeoun, P.S. and Lee, J.H. 2011. The Influence of Forest Therapeutic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Middle School Student in WEEclas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15(1): 67-71. 

  21. Kristine, E., Carsten B.P., Lars, A., Constantinos, T., Preben, B.M. and Jens-Christian, S. 2019. Residential green space in childhood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psychiatric disorders from adolescence into adulthood.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stes of America 119(11): 5188-5193. 

  22. Korea Forest Service (KFS). 2019. Forest Forestry Dictionary. Korea forest service. https://www.forest.go.kr.(2019.09.19) 

  23.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9. The survey on the general conditions of korean children 2018. Seoul, Korea. 

  24. Kwak, N.U. and Lee, B.J. 2016. A Prospect of Fores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From the Viewpoint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3): 151-171. 

  25. Lee, H.I. 2008.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pro-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6. Lee, I.W. 2014.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upon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reduction.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9(6):83-103. 

  27. Li, D. and Sullivan, W.C. 2016. Impact of views to school landscapes on recovery from stress and mental fatigu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8: 149-158. 

  2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Seoul. Korea. https://nia.or.kr. 

  29.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2013. Forest, Growing up human. Seoul, Korea. 

  30.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2012.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IV. https://www.nypi.re.kr/. (2019.09.15). 

  31. Park, M.H., Park, G.J. and Kim, H.K. 2012. The Five-year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in Korean Youth.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3(4): 1-17. 

  32. Park, S.H. 2011. Effect of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environmental attitud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rest environment awareness. (Dissertation). Chinju. Ch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3. Park, J.H. and Chang, N.K. 1996. Research Articles :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Teaching Strategy for Environmental Sensitivity. Biology Education 24(1): 1-7. 

  34. Dadvand, P. et al. 2015. Green spaces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primary schoolchildren.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stes of America 112(26): 7937-7942. 

  35. Raney, M.A., Hendry, C.F. and Yee, S.A. 2018.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Behaviors of Urban Children in Green Playground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56(4): 522-529. 

  36. Seo, M.J. 2009. Early Adolescents' Changes in Overt Aggression and Delinquency, Depression/Anxiety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Studies on Korean Youth. 20(2): 141-167. 

  37. Seo, S.G. 2004. Cognitive factors related to anger and their therapeutic implication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8. Son, J.W. and Ha, S.Y. 2013. Examining the Influence of School Forests on Attitudes Towards Forest and Aggress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7(4): 49-57. 

  39. Son, J.W., Ha, S.Y. and Kim, J.J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Forest and Aggression in Young People.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2(1): 74-81. 

  40. Sustainable Development. 2019, What is sustainable development. Korea: https://ncsd.go.kr.(2019.09.19.). 

  41. Van Dijk-Wesselius. J.E., Maas, J., Hovinga, D., van Vugt, M. and van Den Berg, A.E. 2018. The impact of greening schoolyards on the appreciation, and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emotional well-being of schoolchildren: A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80: 15-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