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성천의 수문, 하도 형태, 경관 및 식생 특성에 관한 장기모니터링 자료 (I)
Dataset of Long-term Monitoring on the Change in Hydrology, Channel Morphology, Landscape and Vegetation Along the Naeseong Stream (I)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1, 2019년, pp.23 - 33  

이찬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동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지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보전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내성천은 경북 북부지역을 흐르는 모래하천으로 계절적 변동이 큰 수문학적 특성에 반응하여 발달하는 모래 하상의 역동성과 이른바 '화이트 리버'라고 하는 경관상 고유성으로 대표되는 하천이다. 하지만 2010년부터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하천 변화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기후, 수문, 수질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하천 변화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함이다. 분석 결과, 2015년에 1982년 다음으로 적은 강우량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름철 첨두유량은 50년래 최저를 기록하였다. 내성천의 유사량 특성은 상하류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댐 건설과 무관하게 내성천의 연 최저수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간헐적 가뭄과 수질의 변화가 하천식생의 활착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변화가 하도 및 식생 활착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하천 변화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하천 식생 변화와 연계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eseong Stream is a sand-bed river that flows through the northern area of Gyeongbuk province. It is characterized by dynamic sandy bedform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seasonal hydrological fluctuation and by its unique riverine landscape called "white river." However, changes including construct...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내성천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초 조사로 기후, 수문, 수질 모니터링 결과를 제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내성천의 변화에 관여하는 수문, 하도 형태, 식생 등 다양한 요인들과 그것들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자 의도되었다. 아울러 댐이라는 수공구조물의 건설이 하천 변화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추적하며 조사하는 것이 포함된다.
  • 장기 조사가 시작된 2012년은 영주댐이 건설 중인 기간이었으며, 2016년 이후의 자료는 댐의 완공과 담수 이후의 자료가 포함된다. 이 논문은 장기 조사의 중간 단계인 현 시점에서 내성천에서 수집된 자료를 수문, 수질, 하도 형태, 그리고 하천 지형과 식생 등 의 분야별로 제시하고 지난 6년 (2013년~2018년)여 동안 내성천 하도에 나타난 변화의 주요한 특징을 분석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야별 조사 범위와 분석이 방대 하여 내성천 변화 모니터링 및 분석 결과를 기초자료 부분 (I)과 현장조사 부분 (II)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성천은 무엇인가? 내성천은 경북 북부지역을 흐르는 모래하천으로 계절적 변동이 큰 수문학적 특성에 반응하여 발달하는 모래 하상의 역동성과 이른바 '화이트 리버'라고 하는 경관상 고유성으로 대표되는 하천이다. 하지만 2010년부터 영주댐이 건설되기 시작하고 2015년 전후로 식생이 광범위하게 활착하는 등 하천 변화가 발생하였다.
식생 활착과 하도의 역동성 감소의 원인은 무엇인가? 식생 활착과 하도의 역동성 감소는 직접적으로는 유량과 유사량 감소에 기인하므로 댐 건설 외에도 기후 변화나 골재 채취, 호안 공사, 유역의 산림조성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날 수 있다 (Warner 2000, Liebault and Piegay 2003, Rinaldi 2003). 이런 측면에서 우리나라에서 1960년대까지 많았던 민둥산이 1970년대 이후 성공적인 산림조성에 따라 감소한 것이 유사량 감소에 일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천 식생 변화와 연계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내성천의 유사량 특성은 상하류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댐 건설과 무관하게 내성천의 연 최저수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간헐적 가뭄과 수질의 변화가 하천식생의 활착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이에 따른 물리적 변화가 하도 및 식생 활착에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하천 변화의 원인 분석을 위해서는 하천 식생 변화와 연계한 다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S.U., Yoon, B.M. and Woo, H.S. 2005. Effects of dam-induced flow regime change on downstream river morphology and vegetation cover in the Hwang River, Korea, River Research and Applications 21: 313-325. 

  2. Gurnell, A.M. and Petts, G.E. 2002. Island-dominated landscapes of large floodplain rivers, a European perspective. Freshwater Biology 47: 581-600. 

  3. Johnson, W.C. 1994. Woodland expansion in the Platte River, Nebraska: Patterns and causes, Ecological Monographs 64(1): 45-84. 

  4. Kondolf, G.M. 1997. Hungry Water: Effects of Dams and Gravel Mining on River Channels, Environmental Management 21(4): 533-551. 

  5. Lee, C., Kim, J.S., Kim, K.H. and Shin, H.S. 2015. Analysis on fluvial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past and present data for river restoration: An application to the Miho River and the Naesu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8: 169-183 (in Korean). 

  6. Lee, G.R.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nel forms and landscapes at Naeseongcheon River and Wi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7: 1-16 (in Korean). 

  7. Liebault, F. and Piegay, H. 2001. Assessment of channel changes due to long-term bedload supply decrease, Roubion River, France, Geomorphology 36: 167-186. 

  8. MC (Minstry of Construction). 1984. River Basic Improvement Plan for the Nakdong river (Naeseongcheon and Gamcheon). 

  9. MCT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2001. River Basic Improvement Plan (revised) for the Naeseong stream. 

  10. MLIT (Busan National Land Management Agency o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ation). 2013. River Basic Plan (revised) for the Downstream of Naeseong stream (National river) 

  11. Nanson, G.C. and Croke, J.C. 1992. A genetic classification of floodplains, Geomorphology 4: 459-486. 

  12. Rinaldi, M. 2003. Recent channel adjustments in alluvial rivers of Tuscany, central Italy,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28(6): 587-608. 

  13. Shaw, E.M. 1994. Hydrology in Practice 3rd Ed.,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Asia. 

  14. Warner, R.F. 2000. Gross channel changes along the Durance River, Souther France, over the last 100 years using cartographic data, Regulated Rivers: Research and management 16: 141-157. 

  15. Williams, G.P. and Wolman, M.G. 1984.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Alluvial Channels. USGS Professional Paper 1286, Department of the Interior, USA. 

  16. Woo, H.S. 2008. White river? Green river?, Water and Future 41(12): 38-47. (in Korean) 

  17. Korea Meteorological Agency. http://www.weather.go.kr (in Korean). 

  18. The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http://www.hrfco.go.kr (in Korean). 

  19. The Nakdong River Flood Control Office. http://www.nakdongriver.go.kr (in Korean). 

  20.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in Korean). 

  21.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http://www.wamis.go.kr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