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arried Couple Communication on the Satisfaction of Marriag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Marital Intimacy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3 no.4, 2019년, pp.57 - 73  

김정희 (건국대학교 평생교육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how communication between married men and women i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through the medium effect of marital intimacy. A total number of 365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30s-50s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분석결과는 에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자원의 핵심이 될 수 있는 결혼만족도를 중심으로 부부를 둘러싼 가족의 다양한 요인들과 부부의 관계에 해당하는 부부의사소통, 부부친밀감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건강한 결혼생활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모든 기혼남녀의 이혼을 예방하고 건강한 가정을 이루어 결혼만족과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은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결혼생활을 결정지게 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부친밀감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 우리나라는 1970년대 이후 최근까지 다수의 연구에서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밝힌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녀(부부), 기혼여성, 자녀 양육기 부부로 구분하여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하지만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부부의사소통, 부부친밀감, 결혼만족도 세 변인의 부분적 관계를 검증한 연구들은 다수 존재하나, 본 연구와 같이 하나의 모형 안에서 살펴본 연구는 드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인을 하나의 모형으로 구성하여 살펴보고,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역할을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부부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는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일관된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기혼남녀의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핵심적 요인으로 부부의사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의 부부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기혼남녀 36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값들을 IBM SPSS 18.
  • 연구대상표집은 연구자의 지인을 통한 편의표집1)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설문을 실시하기 전 응답자는 통계법 33조에 의해 개인의 비밀이 보장되므로 설문지에 솔직히 임해 줄 것을 설문지 배포자에게 당부하였다. 설문기간은 2019년 4월 5일부터 4월 15일까지였다.
  • 부부친밀감과 결혼만족도 관계에 대한 연구는 국내의 경우 1980년대 중반을 시작으로 2000년대 이후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혼남녀(부부), 기혼여성, 노년기 부부로 대상을 구분하여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부 간 갈등은 어떤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성장해 온 두 남녀는 결혼을 함과 동시에 부부가 되고 함께 공유된 일상에서 실질적인 다양한 차이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를 통해서 부부는 많은 갈등에 직면하기도 하는데 갈등으로 인한 부적응적인 결혼생활은 개인에게 있어 삶의 질을 떨어트릴 수 있으며 혹은 이혼으로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결혼의 만족 정도에 따른 결과는 개인의 삶의 질뿐만 아니라 자녀를 비롯한 개인 주변의 가족 및 사회에도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혼만족이란 무엇인가? 8%) 순이었다. 결혼만족(marital satisfaction)은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만족 및 불만족, 행복함과 불행함, 즐거움 혹은 즐겁지 않음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이라고 볼 수 있다(Glenn, 1990). 하지만 결혼만족의 개념과 관련해서 많은 학자들 사이에서 결혼행복(marital happiness), 결혼 안정성(marital stability), 결혼적응(marital adjustment), 결혼의 질(marital quality) 등 용어조차 확고히 정립되어 있지 않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김희진, 2004).
부부의사소통과 부부관계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부부 간 건강한 의사소통은 상대 배우자에 대해 친밀감과 서로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역할을 하게 되고 더 나아가 민주적이고 평등한 부부관계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송성자, 1985). 부부관계는 효과적 의사소통의 횟수가 많고, 자기표현이 많으며,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정확하고, 서로 간의 감정이입이 많으면 결혼생활에 대해 만족하게 된다(임성은, 2014). 반면 비난, 방어, 경멸, 냉담의 부정적인 의사소통으로 상대 배우자에게 문제의 원인을 돌리는 경우는 불행한 결혼생활의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부부에게 있어 건강한 의사소통은 결혼생활의 만족도와 그들의 결혼 지속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5)

  1. 강차선(2006). 부부의사소통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구효님.황향임(2014). 30-40대 기혼자를 대상으로 결혼만족도에 대한 조사. 사회복지경영연구, 1(2), 91-105. 

  3. 김길현(2013). 신노년층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친밀감과 애정생활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옥.김희선(2018). 난임 여성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1), 96-108. 

  5. 김민녀.채규만(2006).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기혼자의 결혼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11(4), 655-671. 

  6. 김성일(2014). 직업군인들의 자아존중감이 결혼만족도와 결혼안정성,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세련(2010). 사티어 성장모델의 일치성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순숙(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자기분화, 자아존중감,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승익(2014). 노년기 재혼자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시연.서영석(2008).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243-1265. 

  11. 김은정(1992). 결혼 초기 부부의 역할갈등 및 갈등해결방법과 결혼만족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의진(2014).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여가경험, 결혼만족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진분.최규련(2007). 군인부부의 의사소통과 직업만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8(4), 1677-1692. 

  14. 김혜원.한소영.이지연(2017). 중년기 기혼 여성의 성인애착불안/회피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의사소통행동과 부부친밀감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43(3), 267-297. 

  15. 김호경(201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희진(2004). 한국부부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담학연구, 5(3), 839-853. 

  17. 노성향(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자존감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아버지 양육참여와 부부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열린부모교육연구, 10(2), 1-15. 

  18. 박공주.강성금(2019).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4), 247-255. 

  19. 박봉순.김영희(2010).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 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9), 1-11. 

  20. 박영화.고재홍(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 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71-100. 

  21. 박옥자.여경환.관예주.윤운숭(2015). 배우자의 지지가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에니어그램연구, 12(2), 99-119. 

  22. 박유빈.한그림.정연우.박선웅(2018). 배우 자이상화와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1), 65-81. 

  23. 박주희(2015).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원이 결혼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4), 71-94. 

  24. 박희정.변상해(2017). 재혼부부의 자기분화, 부부친밀감, 부부갈등대처방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236-252. 

  25. 서석원.이대균(201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부부갈등 및 영아의 정서성 기질이 어머니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3(5), 279-298. 

  26. 서정선(2007).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손강숙.주영아(2015). 기혼 중년남녀의 성적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4), 697-718. 

  28. 송성자(1985). 한국부부간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숭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신명숙(2012). 경제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배우자의 가사분담과 부부공유도의 매개 효과 검증. 광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신순옥.남상인(2019). 부부의 성격과 의사소통, 결혼만족도의 관계. 에니어그램연구, 16(1), 59-84. 

  31. 심의경.오봉욱(2018). 자아존중감이 성인의 가족친밀도에 미치는 영향: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인문사회21, 9(3), 327-340. 

  32. 안옥희.전미순.윤미선.황윤영.김영희(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지지, 자아 존중감과 결혼만족도. 한국자료분석학회, 12(6), 3137-3151. 

  33. 오현정(2014). 부부의 자존감, 성적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유계숙.강수향.오아림.이주현(2011).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이 남편과 부인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17-136. 

  35. 유성경.임영선(2016). 기혼직장여성의 결혼만족도와 일 만족도 변화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3), 415-439. 

  36. 윤수란(2013). 한국 기혼자의 기본 심리적 욕구충족과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윤지연.강선경(2018). 부부의 결혼만족도, 우울 및 알코올 사용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검증.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27, 37-60. 

  38. 이경희(1995). 부부간 친밀감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235-249. 

  39. 이명신.김유순(2016). 부부권력, 변화주장, 갈등해결전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년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실천과연구, 13(2), 179-214. 

  40. 이미숙(1997).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과 결혼 만족도의 관계. 성평등연구, 1, 279-288. 

  41. 이민식.김중술(1996). 부부관계 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5(1), 129-140. 

  42. 이선화(2019).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핵심자기평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이정숙(2010). 결혼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이정은.이영호(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45. 이지민(2015).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가족과 문화, 27(4), 112-136. 

  46. 이태손(2015). 기혼자들의 성격특성과 사랑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이희윤.조유현(2015). 부부의 관계신념지각, 배우자의 긍정적 행동만족,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부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7(4), 62-88. 

  48. 임나현.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 199-214. 

  49. 임성은(2014). 부부친밀감, 부부여가활동 및 양가부모와의 관계가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임영란(1991). 한국개신교 교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오현정(2014). 부부의 자존감, 성적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정한나(2009). 외국인 여성과 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정화숙(2010).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관계증진 훈련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4. 정화숙(2013). 중년기 기혼남녀의 마음챙김, 부부 스트레스 및 부부친밀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95-396. 

  55. 조정문(1995). 결혼생활의 공평성 인지와 결혼 만족. 한국사회학, 29, 559-584. 

  56. 조지은(2005). 기혼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차근영.김석선.길민지(2017).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보건사회연구, 37(2), 126-149. 

  58. 최연우(2010). 원가족건강성, 부부친밀감,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통계청(2019). 2018년 혼인.이혼 통계. 

  60. 홍구화.서영옥(2012).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와 분노에 미치는 효과: 감사의 조절 효과. 인문논총, 29, 157-175. 

  61. 홍미기(2009). 결혼이주여성이 인지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2. 홍순건(2006). 건강한 부부의 특징: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3.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64. Boyd, L.(1977).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differentiating more satisfying from less satisfying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1, 540. 

  65. Broucke, S. V., Vertommen, H., & Vandereycken, W.(1995).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marital intimacy questionnaire. Family Relations, 44, 285-290. 

  66. Glenn, N. D.(1990). Quantitative research on marital quality in the 1980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3, 818-831. 

  67. Hatfield, E.(1984). The danger of intimacy: Communication, intimacy, and close relationship. New York: Academic Press. 

  68. Lewis, R. A & Spaniner, G. B.(1979). Theor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Burr, W., Hill, R., Nye, I, & Reiss, I(eds),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New York: Free Press. 

  69. Moss, B, & Schwebel, A.(1993).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Family Relations, 42, 31-37. 

  70. Olson, D.H., McCubbin, H.I., Barnes, H, L., Larsen, A. S., Muxen, M., & Wilson, M. A(1983). Families: What makes them work. Beverly Hills: Sage. 

  71. Rollins, B. C., & Cannon, K, L.(1974).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family life cycle: A Reevalu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6, 271-282. 

  72. Scanzoni, J.(1975). Sex roles, economics factors and marital solidarity in black and white marriag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402-413. 

  73. Schaefer, M., & Olson, D.(1981). Assessment of intimacy: The PAIR inventor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7, 47-60. 

  74. Spanier, G. B.(1976).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 15-28. 

  75. Waring. E. M.(1984). The measurement of marital intimacy and self disclosure. Journal of Family Therapy, 10, 185-19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