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hift-Working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21 no.4, 2019년, pp.266 - 274  

길숙영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오원옥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허유진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leep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stress response of shift-worki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0 nurses who had more than 6 months of shift-working experience. A survey was c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수면의 질과 간호활동 관련 연구에서 간호오류는 교대근무 기간, 야근근무 횟수와는 상관없고 오히려 스트레스나 기타 요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연구결과는[9,17] 교대근무나 야간근무 자체보다는 다른 변인에 의해 간호활동이나 그 밖의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적 안녕 간에 수면의 질이 매개한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하여[18]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으로 추측되는 수면의 질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교대근무 간호사의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간호 중재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스트레스반응을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스트레스반응을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반응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교대근무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반응정도를 확인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주요 연 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은 어떻게 구분이 되는가?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로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이다. 수면은 수면시간, 잠들기까지 걸린 시간, 수면 중 깨어난 횟수 등과 같은 양적인 영역과 수면의 깊이, 자고 난 후 느끼는 휴식의 정도, 수면에 대한 만족 등과 같은 질적인 영역으로구분된다. 두 영역은서로 관련이 있으며 수면의 양 보다는 수면의 질이 건강과 삶의 만족, 정서적 상태에 더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간호사의 직무요구 영역을 통하여 간호사가 어떻다고 예상되는가? 하위영역중 ‘직무요구’는 ‘일이 많아 항상 시간에 쫓기며 일한다’, ‘업무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해야 한다’와 같은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대부분의 간호사가 과중한 업무에 직면해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간호사 활동현황 실태조사결과[4]에 따르면, 임상간호사의 어려움 중 과중한 업무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 과중한 업무량은 직무스트레스를 높이는 중요 요인이며, 이직을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복잡해진 병원환경으로 인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오늘날의 건강문제는 질병별 유사 임상경과를 거치기도 하지만, 대상자의 연령이나 건강상태, 환경 등에 따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복잡해진 병원환경은 건강관련 업무의 조정자인 간호사로 하여금 고난이도의 협력과 의사소통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타 직종에 비해 간호직의 직무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다[12]. 직무스트레스는 물리적 환경, 직무 부담, 의사결정이나 직무 재량권에 해당하는 직무 자율, 직장 내 지지부족으로 인한 관계 갈등, 직무 불안정, 부적절한 보상, 조직 체계와 문화 등의 하위영역을 포함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IJ. Job str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seep quality in new graduate registered nurses[master's thesis]. Gyeonggi: Ajou University; 2012. p. 1-68. 

  2. Jung JY, Gu MO.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sleep quality of female shift 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8;48(5):622-635. https://doi.org/10.4040/jkan.2018.48.5.622 

  3. Ha HJ, Choe JS, Oh MS, Jeon JA, Kim YJ, Chin EY, et al. Hospital nurses' job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fatigu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Informatics. 2016;22(1):13-25. 

  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urvey on Nurses' Activities [Internet].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4 [cited 2019 October 10].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158628&menuIdMENU00085 

  5. Zencirci DA, Arslan S. Morning-evening type and burnout level as factors influencing sleep quality of shift nurses: a questionnaire study. Croatian Medical Journal. 2011;52(4):527-537. https://doi.org/10.3325/cmj.2011.52.527 

  6. Crowley SJ, Acebo C, Carskadon MA. Sleep, circadian rhythms, and delayed phase in adolescence. Sleep Medicine. 2007;8(6):602-612. https://doi.org/10.1016/j.sleep.2006.12.002 

  7. Van Dongen HP, Maislin G, Mullington JM, Dinges DF. The cumulative cost of additional wakefulness: dose-response effects on neurobehavioral functions and sleep physiology from chronic sleep restriction and total sleep deprivation. Sleep. 2003;26(2):247-249. https://doi.org/10.1093/sleep/26.2.117 

  8. Yang EO, Choi IR, Kim SM. The impact of sleep disorder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of shift-working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7;25(4):255-264. https://doi.org/10.17547/kjsr.2017.25.4.255 

  9. Ryu JG, Choi-Kwon S. Association of sleep disturbance, fatigue, job stress and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 in shift-work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8;20(3):187-195. https://doi.org/10.7586/jkbns.2018.20.3.187 

  10. Yi YH, Choi SJ. Association of sleep characteristics with medication errors for shift work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403-412. https://doi.org/10.7739/jkafn.2014.21.4.403 

  11. Chang SJ, Koh SB. Development of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5;13(3):183-197. 

  12. Sveinsdottir H. Self-assessed quality of sleep, occupational health, working environment, illness experience and job satisfaction of female nurses working different combination of shifts. Scandinavian Journal of Caring Science. 2006;20(2):229-237. https://doi.org/10.1111/j.1471-6712.2006.00402.x 

  13. Nishitani N, Sakakibara H. Job stress factors, stress response, and social support in association with insomnia of Japanese male workers. Industrial Health. 2010;48(2):178-184. https://doi.org/10.2486/indhealth.48.178 

  14. Glanz K, Lewis FM, Rimer B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th ed. California: Jossey-Bass; 2015. p. 223-242. 

  15. Lee MR. Job stress and symptoms of stress in clinical nurses[master's thesis]. Jeonju: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7. p. 1-61 

  16. Jung M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quality of sleep and stress response among shift nurses[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13. p. 1-61p. 

  17. Kim MS, Kim JR, Park KS, Kang YS, Choe SP. Associations betwee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with perceived errors during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Korean Association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3;38(4):229-242. https://doi.org/10.5393/jamch.2013.38.4.229 

  18. Ha SW, Yang X.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rface acting and quantitative role overload, and job-related affective well-being.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18;25(5):169-198 https://doi.org/10.14396/jhrmr.2018.25.5.169 

  19.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9;28(2):193-213. https://doi.org/10.1016/0165-1781(89)90047-4 

  20. Park SY. Stress and my health. Health Review. 1999 11(84):7-9. 

  21. Lee SG. Mediation effects in social work research. Social Welfare Review. 2007;12(0):19-36. 

  22.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3. Mackinnon DP, Lockwood CM, Hoffman JM, West SG, Sheets V.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Psychological Methods. 2002;7(1):83-104. https://doi.org/10.1037//1082-989x.7.1.83 

  24. Bennett JA. Mediator and moderator variables in nursing research: Conceptual and statistical difference.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5):415-420. https://doi.org/10.1002/1098-240x(200010)23:5 3.0.co;2-h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ses'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 improvement measure[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cited 2019 August 1].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26. Cae KS, No WJ, Park MM, Jeung EJ, Jo OO.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ing [Internet]. Seoul: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3[cited 2019 September 2]. Available from:http://khna.or.kr/web/notice/news.php. 

  27. Seol MJ, Lee BS, Lee SK. Effects of labor intensity and fatigue on sleep quality of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8;24(4):276-287.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276 

  28. Jung YJ, Kang SW. Differences in sleep, fatigue, and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shift nurses and non-shift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17;29(2):190-199. https://doi.org/10.7475/kjan.2017.29.2.190 

  29. Shin SW, Kim SH. Influence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on quality of sleep in rotating-shift nurse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2):123-130. https://doi.org/10.7739/jkafn.2014.21.2.123 

  30. Ratner PA, Sawatzky R. Health status, preventive behaviour and risk factors among female nurses. Health Reports. 2009;20(3):53-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