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도권 대기오염물질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고찰 및 총량제 확대 시행을 위한 제언
Study of the cap-and-trade system against the air pollut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uggestion for its enforcement throughout South Korea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5 no.4, 2019년, pp.159 - 171  

박민하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과) ,  김용표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p-and-trade system against the air pollut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Korea has been implemented since 2008 and will be implemented other areas in Korea on 2020.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outcome and effectiveness of the cap-and-trade system in the SMA, (1) the rate of chang...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것은 동일한 제도가 적용될 지역의 확장에 해당하므로 배출권 거래활성화를 위한 정책결정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배출권거래 활성화 측면의 논의가 아닌 기존 수도권 지역의 총량관리 운영성과 평가와 관련된 논의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번 대기관리권역 확대 시행은 특정 지역에서 약 10년간 운영된 제도를 동일 국가 내 다른 지역에서 시행하기 위함이므로 해당 제도의 성과 및 실효성을 입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취지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의 전국적 확대 시행을 앞두고 국내 미세먼지 감축을 위한 배출원 관리에 있어서, 부문별 배출 비중을 고려하여 이동오염원 배출비중이 큰 지역과 사업장 배출비중이 큰 지역으로 구분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같이 NOx 배출량 중 사업장 배출비중보다 이동오염원 배출비중이 높은 지역에는 사업장 총량제 또는 거래제 성과가 미치는 영향이 적어 이 제도의 성과가 나타나더라도 전체 배출량 저감에는 효과가 미미하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오염물질 총량관리제 시행지역 확대를 앞두고 기존의 수도권 대기오염물질 총량관리제 시행성과를 평가해보고자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제도 시행 전과 비교하여 총량관리대상 사업장의 절대적인 배출량은 감소되었지만(수도권 지역의 사업장 NOx 및 SOx 배출량은 2007년 대비 2017년 각각 29%, 6% 감소), 주로 연료사용량 감소에 따른 배출량 감소가 확인된다.
  • 이로부터 1994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배출량(Audited Annual Emission, tons)과 1994년 대비 연도별 배출량 변화율(Audited Audited Annual Emissions Change from 1994, %), 연도별 총 RTCs(Total RTCs)를 확인하였다. 연도별 총 RTCs는 할당된 RTCs(Allocated RTCs)와 ERC(Emission Reduction Credit) 전환으로부터의 RTCs(RTCs from ERC conversion)의 합으로 표기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행연도별로 이 값을 사용가능한 배출권으로 판단하여 연도별 할당량으로 간주하고자 한다. 또한 RECLAIM 거래량은 Swap을 제외한 IYB(Infinite Year Block) 값을 기준으로 선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2006∼2007년에 이루어진 저감장치 투자에 대해 언급하면서도 사업장 배출량 정보의 왜곡에 대해서도 지적한 바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상사업장의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을 시작연도 배출량 대비 연도별 배출량 변화율(%)로 계산하여 제도 시행으로 인한 오염물질 배출량 감축성과를 제시한 환경부 자료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것이 과연 제도 시행으로 인한 성과인지를 구분하기 위하여 지역별 배출량 자료를 부문별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할당량과 비교가능한 배출량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배출량과 할당량의 차이값을 통하여 배출허용총량에 대한 할당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도권의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제 및 배출권거래제 성과와 RECLAIM의 운영성과를 살펴보고 두 제도의 각기 다른 전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면서 우리나라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총량제의 전국적 확대 시행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배출원 관리를 위한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업장 총량관리제란 무엇인가? 우 리나라는 수도권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시행에 따라 2008년부터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관리의 일환으로 사업장 오염물질 총량관리를 위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권거래제를 시행하고 있다(MOE, 2017). 사업장 총량관리제는 기존 배출농도 관리와 다르게 배출총량을 기준으로 대기오염물질을 관리하는 사전 예방적 관리제도로 오염물질별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총량을 산정하고 사업장별로 배출량을 할당하여 그 범위 내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규제하는 제도이다(MOE, 2018). 배출권거래제는 사업장이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배출허용량 범위 내에서 생산활동 및 배출감축을 하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초과감축량 또는 초과배출량을 배출권의 형태로 상호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MOEF, 2014).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는 어떤 제도인가? 우리나라는 대기오염물질 외에도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2015년부터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 제도는 2011년에 시행된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도에 기업 간 배출권 거래라는 시장 기능이 추가된 제도라고 볼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권 거래와는 별개로 운영되고 있으며 각 제도별 배출권은 상호 거래되지 않는다.
배출권거래제는 어떤 제도인가? 사업장 총량관리제는 기존 배출농도 관리와 다르게 배출총량을 기준으로 대기오염물질을 관리하는 사전 예방적 관리제도로 오염물질별 목표 대기질 달성을 위한 배출허용총량을 산정하고 사업장별로 배출량을 할당하여 그 범위 내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하도록 규제하는 제도이다(MOE, 2018). 배출권거래제는 사업장이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배출허용량 범위 내에서 생산활동 및 배출감축을 하되,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초과감축량 또는 초과배출량을 배출권의 형태로 상호거래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MOEF, 2014). 우리나라는 사업장 총량관리제 시행 초기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를 대상으로 운영되어오다가 2018년부터 먼지(TSP)를 배출권거래제 대상에 포함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I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019). Audit Report on the Manageme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n). 

  2. GIR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Trading System of Greenhouse Gas, Air Pollutant, and Renewable Energy for GHG Emission Trading System in Korea, 2013 Greenhouse Gas Reduction Expert Forum Final Workbook (in Korean). 

  3. KEEI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2017). Diagnosis and Improvements for Greenhouse Gases Emission Trading System in Korea, Occasional Research Report 17-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EPC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4). Statistics of Electric Power in KOREA (in Korean). 

  5. KEPCO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2013). Statistics of Electric Power in KOREA (in Korean). 

  6. Kim, Y.J. and Kim, Y.P. (2017). Direction for the management of air pollutants based on health risk in Korea,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13(2), 43-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won, T.H. (2011). Evaluation of Tradable Emission Permits via Transaction Cost Theory: Focusing on Seoul Metropolitan Air Quality Managemen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49(1), 167-187 (in Korean). 

  8. NABO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19). Analysis of corresponding business to Fine Particle, 48-63 (in Korean). 

  9.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2014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in Korean). 

  10.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7). Standard Procedure on constructing basis data for national air pollutant emissions as of 2014 (in Korean). 

  11.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ational Air Pollutants Emission Service, http://airemiss.nier.go.kr/mbshome/mbs/airemiss/index.do (accessed on Oct. 03, 2019). 

  12.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Master Plan of air quality manage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n). 

  13.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2nd Master Plan of air quality manage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n). 

  14.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Act No. 15274 (in Korean). 

  15.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Manual of Air Pollutant Emission Management System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Korean). 

  16. MOE (Ministry of Environment) (2019). Main Contents of Air Quality Management Act and Emission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Workshop, Vol. 6. (in Korean). 

  17. MOE (Ministry of Environment), Air Pollutants Management System for facilities, https://www.stacknsky.or.kr/stacknsky/main.jsp (accessed on Aug. 08, 2019). 

  18. MOEF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2014). Master Plan of Emission trading system for Greenhouse Gases (in Korean). 

  19. SCAQMD (South Coast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2019). 2017 Annual RECLAIM Audit Report. 

  20. SCAQMD (South Coast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2017). Final 2016 Air Quality Management Plan. 

  21. SCAQMD (South Coast Air Quality Management District) (2017). Supplemental RACM/RACT Analysis for the NOx RECLAIM Program. 

  22. Yeo, M.J. and Kim, Y.P. (2012). Flexible operation of the Cap-and-Trade System for the air pollut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05, 138-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