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의 식생 구조와 분포 및 보전을 위한 제안
Structure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in the Gonggeomji Wetland Protection Area, South Korea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6 no.4, 2019년, pp.267 - 276  

이철호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휘래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소현 (라나생태연구소) ,  추연수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윤정도 (국립생태원 습지연구팀)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주 공검지는 8세기에 축조된 고대 유적 저수지로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서 지속가능한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현존 식생을 분류하고 식생도를 작도하며 식생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에서는 저습지, 하천, 산림, 초지, 농경지, 과수원 식생에 속하는 총 26개 식물군집이 분류되었다. 탈경향대응분석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결과에 따르면 습지 식생의 구조는 주로 수심과 인간 교란에 따라서 영향을 받았다. 저수지 습지에서는 통발, 마름과 같은 부수식물과 연꽃, 부들류와 같은 정수식물이 수면을 완전히 피복하고 있었다. 2014년 이후에 점차 정수식물과 습생식물의 분포 면적이 늘어나는 육역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습지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복원을 위하여, 지형과 식생을 복원하고, 수문 체계를 회복시키며, 습지로부터 산지까지의 생태계 연결성을 회복한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nggeomji Reservoir is a historical irrigation facility built in the 8th century and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ed area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order to collect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developing a sustainable conservation strategy, we investigated the classification 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조사에서는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생태계 변화를 추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립하기 위하여 1) 습지와 인접 육상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존 식생을 분류하고, 2) 분류된 식생의 구조적 특징을 규명하고, 3) 이들 식생의 분포지를 조사하여, 4) 최종적으로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산림 구릉지: 습지보호지역 중앙부의 북쪽에 작은 구릉의 산지가 잔존하고 있다. 이곳에는 산림, 묘지 초지 및 인삼 밭이 위치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8세기에 축조된 고대 유적 저수지로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곳은 어디인가? 상주 공검지는 8세기에 축조된 고대 유적 저수지로서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에서 지속가능한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현존 식생을 분류하고 식생도를 작도하며 식생의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고 환경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상주시 공검면 양정리에 위치한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공검지는 수심이 얕은 저수지 습지 유형이다.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은 저수지뿐만 아니라 주변의 하천, 산림, 농경지 등의 다른 토지이용 지역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지역의 개황은 다음과 같다.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이 특이한 것은 무엇인가? 또한 공검지는 역사, 문화적 가치뿐만 아니라 생태적 가치가 높아서 환경부는 2011년 6월 이곳을 국내 최초로 논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였다 (DREO 2014). 공검지 습지보호지역이 특이한 것은 이 보호지역 안에 저수지 습지뿐만 아니라 산림, 하천, 농경지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보호지역은 습지의 현명한 이용에 대한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것으로 생각된다(Finlay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rnette, G. and Amoros, C. 1996. Disturbance regimes and vegetation dynamics: role of floods in riverine wetlands.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7(5): 615-622. 

  2. Braun-Blanquet, J. 1965. Plant Sociology (translated by Fuller, G.D., Conard, H.S.). McGraw-Hill, New York. 

  3. Daoust, R.J. and Childers, D.L. 1999. Controls on emergent macrophyte composition, abundance, and productivity in freshwater Everglades wetland communities. Wetlands 19(1): 262-275. 

  4. DREO. 2014, 2017, 2018. Report of Ecological Monitoring of Gonggeomji Wetland Protection Area.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Daegu, Korea. (in Korean) 

  5. Finlayson, C.M., Davidson, N., Pritchard, D., Milton, G.R. and MacKay, H. 2011. The Ramsar Convention and ecosystem-based approaches to the wise us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wetlands. Journal of International Wildlife Law & Policy 14(3-4): 176-198. 

  6. Heu, M.H. and Moon, H.P. 2010. History of rice culture in Korea: origin, antiquity and diffusion. In, Sharma, S.D. (ed.), Rice: Origin, Antiquity and History.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131-169. 

  7. Hough, R.A., Fornwall, M.D., Negele, B.J., Thompson, R.L. and Putt, D.A. 1989. Plant community dynamics in a chain of lakes: principal factors in the decline of rooted macrophytes with eutrophication. Hydrobiologia 173(3): 199-217. 

  8. Hwang, S., Kim, J. and Yoon, S.-O. 2014. Environmental changes and embankment addition of Reservoir Gonggeomji, Sangju City between late Silla- and early Goryeo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1(4): 165-180. (in Korean) 

  9. Jeong, Y.S., Lee, W.C., Cho, K.H., Ju, K.Y., Min, B.M., Hyun, J.O. and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Center for Aquatic Ecosystem Restoration, Chuncheon, Korea. (in Korean) 

  10. Kim, J.W. and Lee, Y.K. 2006. Methods for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World Science, Seoul. Korea. (in Korean) 

  11. Kim, M.H., Hwang, J.H., Choi, E.Y., Park, J.Y. and Park, J.K. 2017. Insect diversity on the paddy field wetland, Gonggeom-ji, Sangju, first design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1): 155-163. (in Korean) 

  12. Lee, H., Yun, S.M., Lee, J.Y., Lee, S.D., Lim, J. and Cho, P.Y. 2018. Late Holocene climate changes from diatom records in the historical Reservoir Gonggeomji, Korea. Journal of Applied Phycology 30(6): 3205-3219. 

  13. Miller, R.C. and Zedler, J.B. 2003. Responses of native and invasive wetland plants to hydroperiod and water depth. Plant ecology 167(1): 57-69. 

  14. Oksanen, J. 2019. vegan: Community Ecology Package (R package Version 2.5-5). https://CRAN. R-project. org/package vegan. Assessed 15 November 2019. 

  15. R Core Team. 2019.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er. 3.5.1. Vienna, Austria. 

  16. Roxburgh, S.H., Shea, K. and Wilson, J.B. 2004. The intermediate disturbance hypothesis: patch dynamics and mechanisms of species coexistence. Ecology 85(2): 359-371. 

  17. Shalabh, B., Akash, J. and Jasmine, C. 2012. Trapa natans (Water Chestnut): an overview. http://agris.fao.org/agrissearch/search.do?recordIDAV2012093773. Assessed 20 November 2019. 

  18.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7: 379-423 and 623-656. 

  19. Song, I.K. and Park, S.J. 2013. Flora of Gonggeom-ji Wetlands Protection Area (Sangju-si, Gyeongsangbuk-do).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5(2): 203-214. (in Korean) 

  20. Tousignant, M.E., Pellerin, S. and Brisson, J. 2010. The relative impact of human disturbances on the vegetation of a large wetland complex. Wetlands 30(2): 333-344. 

  21. Vaithiyanathan, P. and Richardson, C.J. 1999. Macrophyte species changes in the Everglades: examination along a eutrophication gradient.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28(4): 1347-1358. 

  22. Van der Maarel, E. 1979. Transformation of cover-abundance values in phytosociology and its effects on community similarity. Vegetatio 39(2): 97-114. 

  23. Westhoff, V. and van der Maarel, E.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Whittaker, R.H. (ed.),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Springer, Dordrecht. pp. 287-399. 

  24. Wilkinson, D.M. 1999. The disturbing history of intermediate disturbance. Oikos 84(1): 145-147. 

  25. Woo, H., Cho, K.H., Jang, C.L. and Lee, C.J. 2019. Fluvial processes and vegetation - research trends and implication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6(2): 89-100. 

  26. Yi, Y.J., Zhou, Y., Song, J., Zhang, S., Cai, Y., Yang, W. and Yang, Z. 2019. The effects of cascade dam construction and operation on riparian vegetation. Advances in Water Resources 131: 103206. 

  27. Yoon, S.-O., An, E., Kim, H. and Hwang, S. 2013. Paleoclimate changes and agriculture activities since ancient times around Gonggeomji, Sangju-si, Gyeongsangbuk-do,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4): 147-163.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