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양 죽도의 장소성과 지형경관의 지명 고찰 및 비정

A Placeness and Identification on the Place Names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in Jukdo, Yangyang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7 no.3, 2019년, pp.37 - 48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양 죽도의 지형 형성과 경관안내판, 경관해설판에 드러난 의문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죽도 경관의 올바른 인식과 경관자원탐색의 일환으로, 문헌연구와 현장조사 그리고 관련자 인터뷰 등을 통해 죽도 자연경관의 특성을 정리하는 한편, 전래 문화경관에 대한 지명 고찰과 경물 비정(批正)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양 죽도는 푸른 대나무가 가득했기 때문에 이름 붙여진 섬으로, 최소 14세기 전반 이전부터 18세기 중반 이전까지 주변에는 바다와 죽도를 관망하기 위한 관란정이 존재했다. 원래 섬이었던 죽도가 모래의 퇴식작용에 의해 육계도로 연륙화된 시기는 대략 19세기 후반 이후로 추정된다. 죽도에는 오랜 시간 풍화로 형성된 다채로운 풍화지형과 해안지형 그리고 구조지형이 발견된다. 그중 풍화혈의 일종인 타포니와 나마 지형경관은 죽도에 전래되는 전설과 시문의 핵심적 이야기와 관련된 경관요체이다. 죽도에는 총 7개소의 바위글씨가 존재하는데 해안에서 발견되는 방선암, 농구암, 청허대, 연사대 등은 신선 풍류와 은자(隱者) 모티브를 바탕으로 한 경물로 보인다. '정씨세적(鄭氏世蹟)'이란 바위글씨를 통해 볼 때 죽도의 주된 경관 향유자는 18C 중반의 초계정씨(草溪鄭氏) 가문이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관찬지리지나 시문으로 볼 때 죽도는 '죽도선구(竹島仙臼)', '죽도 돌구유', 또는 '신선절구' 등을 주요 모티브로 한 선교적(仙敎的) 색채가 짙게 전승됐다. 이 '신선의 돌절구'라 알려져 온 경물은 형태나 크기 그리고 기능으로 유추해 볼 때 나마 지형의 선녀탕이 아닌 별도 공간에 형성된 포트홀인 것으로 확증된다. 따라서 근대 명명된 선녀탕은 흥미 본의의 터무니없는 '이름붙이기'의 산물로 보인다. 현재의 경관 안내와 해설 내용은 죽도의 장소성과 부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전승되어 온 문화경관과 일치되지 않는다. 향후 경관안내판과 해설판 등 관련 경관정보는 양양 죽도의 경관정체성을 제고하기 위해 신선 관련 스토리 및 모티브를 적극 부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hich starting from Yangyang Jukdo's topography formation and questioning revealed in landscape guide and landscape commentary board, is to sort out the characteristics of Jukdo natural landscap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observation research and stakeholder interview as part of...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동해안 일대 지형경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경관자원 탐색의 일환으로 양양 죽도 일원의 장소성을 고찰하는 한편, 전래 문화경관에 대한 지명 고찰과 비정(批正)을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양 죽도정이란? 양양 죽도정(竹島亭)은 ‘남대천’, ’대청봉’, ‘오색령’, ’오색주전골’, ‘하조대’, ’남애항‘, 그리고 ‘낙산사 의상대’와 함께 '양양 팔경'의 하나이다[1]. 죽도는 고성-부산 간 동해안의 해파랑길 41코스의 종점이자 42코스의 기점으로 해양 지형경관을 다수보유하고 있다.
현재 죽도해수욕장은 무엇으로 유명한가? 죽도는 고성-부산 간 동해안의 해파랑길 41코스의 종점이자 42코스의 기점으로 해양 지형경관을 다수보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연접한 죽도해수욕장은 동해안 최고의 파도타기(surfing) 명소로 부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죽도의 경관자원에서 일부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예시는? 오히려 이곳 경관자원에 대한 안내판과 해설판 및 홈페이지 정보 등에서는 일부 혼란이 야기되고 있어 당혹스럽다. 특히 2017년 죽도전망대를 조성하면서 새롭게 교체된 경관안내판과 경관해설판에는 문화자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결여됨으로써 핵심경관을 누락시키고 있을 뿐 아니라, 주요 경물 내용과 위치를 잘못 적시(摘示)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하여 안내판과 해설판은 주제탐방을 목적으로 하는 탐방객에게 오히려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향토자료집에서조차 정확한 자원조사 없이동일한 공간이나 경물에 대해 중복 또는 왜곡된 명칭이 사용되는 등 오류가 발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angyang Cultural Center(2017).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of Yangyang: Yangyang Culture Center. 

  2. Kwan, K. R.(2012). Lee Haejo's Geographic Awareness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Yangyang Area' as Viewed Through "The Thirty Poems of Hyeonsan". Dongyang Studies in Korean Classics. 34(-): 5-42. 

  3. Kwan, D. H.(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Measures of Rock Formations in the Romantic Road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8(6): 803-818. 

  4. http://www.yangyang.or.kr 

  5. Kim, S. H.(2012). The Picturesque Expression of Gangwon Province Maps in 1872: Focusing on Yangyang-eupjido. Journal of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of Old Maps. 4(1): 57-74. 

  6. http://kyu.snu.ac.kr 

  7. Sinjeungdonggug-yeojiseunglam(新增東國輿地勝覽) 

  8. Gajeongjib(稼亭集) Dongyugi(東遊記). 

  9. Yang, E. S.(2016). Yangyang's Chinese Poetry. Gangneung Cheongsong Publishing House. 

  10.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Jahan(子罕). 

  11. Yeojidoseo(輿地圖書). 

  12. Yangyang Cultural Center(2013). Nu(樓).Jeong(亭).Dae(臺) of Yangyang. Yangyang Culture Center. 

  13. Chijaeseonsaeng-yugo(?齋先生遺稿) Volume 3 Gwandonglog (關東錄). 

  14. Yangyang Cultural Center(1995). Yangyang's Land Name: Yangyang Culture Center. 

  15.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 

  16. http://www.findroot.co.kr 

  17. http://www.culturecontent.com(Gyeongjeongseon Genealogy). 

  18. Myeongjae-yugo(明齋遺稿) 

  19. Yangyang Cultural Center(2009). The Legend of the Mortar Rock in Jukdo. Edit Room. Hyeonsanmunhwa(峴山文化). 20(-): 66-67. 

  20. Yangyang Cultural Center(2010). The Thirty Beautiful Scenery in Hyeonsan(峴山三十景). Lee Jongwoo and 5 others. Hyeonsanmunhwa (峴山文化). 21(-): 46-47. 

  21. Myeong-amjib(鳴巖集) Volume 4. The Thirty Beautiful Scenery in Hyeonsan(峴山三十景). 

  22. Kwan, D. H(2012). Development of Storytelling Using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Focus on Granite Topography and Buddhist Cultures. Jorunal of the Korean Photo Geography. 22(3): 151-165. 

  23. http://db.itkc.or.kr 

  24. Samyeonjib(三淵集).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