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PG 복합 이동식 수소충전소 안전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Analysis of Stationary LPG - Mobile Hydrogen Complex Refueling Station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28 no.4, 2019년, pp.48 - 60  

김필종 (한국가스안전공사) ,  강승규 (한국가스안전공사) ,  유명종 (한국가스안전공사) ,  허윤실 (한국가스안전공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는 2015년 파리협정 이후, 미세먼지 종합관리 대책(2017),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2019) 등을 통해 수소 보급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2022년까지 수소공급을 위한 충전소 310개소의 구축 목표를 발표하였다. 이를 위해 융·복합, 패키지형, 이동식 수소충전소의 도입을 위한 특례를 제정·공포하였다.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여러 지역에 수소를 공급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설비의 이동과 집약적 설치로 인해 적정한 설치기준과 운영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수소충전소 표준모델 설계와 정량적 위험성 평가(QRA)를 실시하여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QRA 결과, 개인적, 사회적 위험도는 가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도입에 대한 실증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Paris Agreement in 2015,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various policies such as 'Hydrogen-Economy Roadmap(2019)' to supply hydrogen. As part of this,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goal of building 310 hydrogen refueling stations(HRS) until 2022. To this end, special case standard for th...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소충전소의 다양한 모델 중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없는 이동식 수소충전소에 대해 도입시 필요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기준에 맞는 표준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공정설계와 위험분석을 통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나리오를 통해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설계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식 수소충전소 도입시 필요한 안전 조치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소충전소의 다양한 모델 중 국내에 적용된 사례가 없는 이동식 수소충전소에 대해 도입시 필요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입기준에 맞는 표준모델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공정설계와 위험분석을 통한 가상의 시나리오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시나리오를 통해 정량적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여 설계의 적정 여부를 판단하고, 이동식 수소충전소 도입시 필요한 안전 조치사항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동식 수소충전소를 도입하는데 있어서 관련 시설에서 발생가능한 사고를 도출하고 피해범위 예측, 개인적/사회적 위험성을 산출하는 것에 의해 시설의 안전성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수소충전소 표준모델을 가정 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와 분석을 통해 특례 등 도입기준에 대한 적정 여부를 검토하 였다. 먼저,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기존의 수소충 전소와 같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저장설비, 압축설비, 압축가스설비(축압기), 충전설비 등의 주요설비를 이용하는 시설로 가정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수소충전소 표준모델을 가정 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 위험성 평가와 분석을 통해 특례 등 도입기준에 대한 적정 여부를 검토하 였다. 먼저,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기존의 수소충 전소와 같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저장설비, 압축설비, 압축가스설비(축압기), 충전설비 등의 주요설비를 이용하는 시설로 가정하였다. 충전 방식은 외부 저장설비(튜브트레일러 등)로부터 공급받은 수소를 압축저장하여 수소차에 충전하는 기존의 저장식 수소충전소와 동일한 방식을 가정하였다.
  • 위험성 평가를 위한 점화원 도출을 위해 충전소가 설치되는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였다. 주변도로의 주행차량, 인접 LPG 충전소 및 주유소 그리고 주변 음식점과 산업시설을 주요 점화원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각각의 조건을 가정하여 Table. 4.
  • 먼저,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기존의 수소충 전소와 같이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저장설비, 압축설비, 압축가스설비(축압기), 충전설비 등의 주요설비를 이용하는 시설로 가정하였다. 충전 방식은 외부 저장설비(튜브트레일러 등)로부터 공급받은 수소를 압축저장하여 수소차에 충전하는 기존의 저장식 수소충전소와 동일한 방식을 가정하였다. Fig.
  • 튜브트레일러를 통해 공급되는 최대 인입압력은 20MPa로 하고, 압축가스설비의 최대압력은 87MPa로 가정하였다. 배관경의 크기는 튜브트레일러에서 수소압축기까지 연결되는 인입배관은 3/4“의 크기로 하였으며, 압축기 후단에서 충전설비까지의 배관은 9/16”의 크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동식 수소충전소란 무엇인가? 1.“융 · 복합, 패키지형 및 이동식 자동차충전소 시설기준 등에 관한 특례기준”)에 의해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수소를 충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설비(필요한 경우 충전설비는 제외할 수 있다)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어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서 처리능력이 30㎥ 이상인 것(압축기 등 가압장치 없이 자압에 의해 충전하는 설비는 제외한다)으로 정의되어 있다.
정량적 위험성 평가의 한계 및 보완 대책은 무엇인가? 기후, 점화원, 인구 조건을 조합한 종합 위험성 평가 결과 개인적 위험성과 사회적 위험성은 허용불가 구간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평가에 사용된 위험성 평가 도구가 2차원에 한정되어, 방호벽, 트레일러 격벽 등 3차원의 누출 시나리오 적용은 불가하므로 3차원적 평가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행 상 발생할 수 있는 현상(진동, 충격 등)에 대한 실증, 고찰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식 수소충전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융·복합, 패키지형, 이동식 수소충전소의 도입을 위한 특례를 제정·공포하였다. 이동식 수소충전소는 여러 지역에 수소를 공급가능한 장점이 있는 반면, 설비의 이동과 집약적 설치로 인해 적정한 설치기준과 운영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수소충전소 표준모델 설계와 정량적 위험성 평가(QRA)를 실시하여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Government, 2016, 2018, 2030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Basic Roadmap 

  2. Korea Government, 2017, Comprehensive Plan Concerning Fine Dust 

  3. Korea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9, Hydrogen-Economy Roadmap 

  4. H2korea, 2019, Hydrogen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http://h2korea.or.kr 

  5. Korea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6, Special Case Standard for Complex and Packaged Hydrogen Refueling Stations 

  6. Korea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8, Special Case Standard for Complex, Packaged and Mobile Hydrogen Refueling Stations 

  7. Kim, P. J., et al., 2019, A Study on Safety Analysis for Introduction of Mobile Hydrogen Refueling Stations in Korea, KOSEE Conference, p.88 

  8. FCCJ, 2019, The spread of commercial hydrogen stations(in Japan), http://fccj.jp 

  9. Japan Government, 2019, High Pressure Gas Safety Act 

  10. Korea Government, 2019, High-Pressure Gas Safety Control Act 

  11. Gas Technical Standards Committee, 2018, KGS FP 217(Facility/Technical/Inspection Code for Vehicles Refueling by Type of Compressed Hydrogen Delivery) 

  12. Jeffrey Lachance, et al., 2009, Analysis to support development of risk-informed separation distances for hydrogen codes and standards, Sandia National Labs., pp.105-120. 

  13. Clive Nussey, 2006, Failure frequencies for major failures of high pressure storage vessels at COMAH sites: A comparison of data used by HSE and the Netherlands, pp.25-31. 

  14. Hubert, T., et al., 2017, Response Time Measurement of Hydrogen Senso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ydrogen Safety, pp.4-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