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 가지 산-염기 모델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과 해석
The Chemistry Teachers'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about Three Acid-Base Models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63 no.1, 2019년, pp.56 - 65  

김성기 (광주과학고등학교) ,  최희 (봉명고등학교) ,  박철용 (공주대학교부설고등학교) ,  백성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3가지 산-염기 모델의 관계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모델의 관계에 대한 인식이 각 모델에서 사용되는 개념에 대한 해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교사의 인식과 해석을 알아보기 위해 24명의 화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담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화학교사들은 3가지 모델을 확장적 포함 관계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교과서의 서술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모델의 관계에 대한 인식은 각 모델의 산, 염기 개념을 해석하는 과정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화학교사들이 다양한 모델의 역할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acid-base models of chemistry teachers. In addition, we examined how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ls affect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cepts in each model.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and interp...

주제어

표/그림 (7)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에 따르면 학생들의 산염기 개념에 대한 혼란은 언제 발생하는가? Drechsler와 Schmidt4 는 스웨덴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산염기 개념에 대한 혼란이 언제 발생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Arrhenius 모델을 학습한 이후 Brønsted-Lowry 모델을 학습할 때 두 모델 간의 혼란을 경험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 학생들은 Brønsted-Lowry 모델에서 proton 을 주면 산, 받으면 염기라고 정의하면서 Arrhenius 모델에서 중성이라고 배웠던 물이 갑자기 염기가 되기도 하고, 산이 되기도 한다는 것에 큰 혼란을 느꼈다.
과학모델이란 무엇인가? 12,13 이러한 과학 모델은 자연의 일부를 간결하고 선명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기존의 과학 개념이나 이론을 이용한다. 즉, 과학모델은 자연현상에서 관찰된 것과 추상적인 개념이나 이론을 연결하여 구체화된 설명이다.14−17 이러한 과학 모델을 만들 때 과학자는 단순화, 함축화라는 과정을 통해 무질서한 자연을 질서적인 자연으로 재인식한다.
주로 사용되는 산-염기 모델 무엇인가? 1 이러한 이유로 교육과정 개정과 무관하게 모든 학교급에서 산과 염기에 대한 개념을 꾸준히 다루고 있다.2 현재까지 많은 산-염기 모델이 제안되었으나 이 중 Arrhenius, Brøndsted-Lowry, Lewis 모델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3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여러 산- 염기 모델 중에서 이 3가지 모델을 중심으로 하여 산염기를 다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on, J. A.; Gwak, J. R.; Park, Y. N; Paik, S. H. Kor. J. Teach. Educ. 2010, 26, 65. 

  2. Kim, S. K.; Park, C. Y.; Choi, H.; Park. S. H. J. Korean Chem. Soc. 2017, 61, 65. 

  3. Kolb, D. J. Chem. Educ. 1978, 55, 459. 

  4. Drechsler, M.; Schmidt, H. J. Sci. Educ. Int. 2005, 16, 39. 

  5. Kim, S. K.; Park, C. Y.; Choi, H.; Paik, S. H. J. Korean Chem. Soc. 2018, 62, 279. 

  6. Cokelez, A. J. Chem. Educ. 2010, 87, 102. 

  7. McClary, L.; Talanquer, V. J. Res. Sci. Teach. 2011, 48, 396. 

  8. Nakhleh, M. B. J. Chem. Educ. 1994, 71, 495. 

  9. Drechsler, M.; Schmidt, H. J. Chem. Educ. Res. Pract. 2005, 6, 19. 

  10. Sisovic, D.; Bojovic, S. Chem. Educ. Res. Pract. 2000, 1, 263. 

  11. National Research Council.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Committee 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New K-12 Science Education Standards. Board on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Behavioral and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12. 

  12. Kim, M. Y.; Kim, H. K. J. Kor. Ass. Sci. Educ. 2007, 27, 379. 

  13. Oh, P. S. J. Kor. Ass. Sci. Educ. 2007, 27, 645. 

  14. Oh, P. S.; Oh, S. J. Kor. Ass. Sci. Educ. 2011, 31, 128. 

  15. Cha, J. H.; Kim, Y. H.; Noh, T. H. J. Korean Chem. Soc. 2004, 48, 638. 

  16. Ha, J. H.; Lee, H. J.; Kang, S. J. J. Gifted/Talented Educ. 2009, 19, 187. 

  17. Zangori, L.; Peel, A.; Kinslow, A.; Friedrichsen, P.; Sadler, T. D. J. Res. Sci. Teach. 2017, 54, 1249. 

  18. Gilbert, J. K. Visualization: An emergent field of practice and enquiry in science education. In Visualization: Theory and practice in science education, Springer: 2008; pp. 3-24. 

  19. Gilbert, J. K.; Boulter, C. J.; Rutherford, M. Int. J. Sci. Educ. 1998, 20, 83. 

  20. Magnani, L.; Casadio, C.; Magnani. Model-based reason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Springer: 2016; pp. 639-661. 

  21. Ruppert, J.; Duncan, R. G.; Chinn, C. A. (2017). Disentangling the role of domain-specific knowledge in student modeling.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28. 

  22. Kim, S. H.; Park, C. Y.; Choi, H.; Paik, S. H. J. Korean Chem. Soc. 2018, 62, 226. 

  23. Treagust, D. F.; Chittelborough, G. D.; Mamiala, T. L. Int. J. Sci. Educ. 2002, 24, 357. 

  24. NGSS.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 By states. NGSS Lead States: U.S.A., 2013. 

  25. Portides, D. P. Sci. Educ. 2007, 16, 699. 

  26. Windschitl, M.; Thompson, J.; Braaten, M. Sci. Educ. 2008, 92, 941. 

  27. Lehrer, R.; Schauble, L. J. Appl. Dev. Psycho. 2000, 21, 39. 

  28. Mislevy, R. J.; Haertel, G.; Riconscente, M.; Rutstein, D. W.; Ziker, C. Design patterns for model-based reasoning. In Assessing model-based reasoning using evidence-centered design, Springer: 2017; pp. 25-29. 

  29. Carr, M. Res. Sci. Educ. 1984, 14, 97. 

  30. Oxtoby, D. W.; Gillis, H. P.; Butler, L. J. Principles of modern chemistry, 7th ed.; Cengage Learning: 2015; pp. 670-676. 

  31. Zumdahl, S. S.; DeCoste, D. J. Chemical principles, 8th ed.; Nelson Education: 2012; p.679. 

  32. Brown, T. L. Chemistry: the Central Science, 4th ed.; Pearson Education: 2009; pp. 692-693. 

  33. Noh, T. H.; Choi, S. S.; Kang, S. J.; Lee, S. Y.; Bae, B. I.; Go, S. Y.; Ju, Y.; Choi, S. Y. Chemistry I, Chunjae Press: Seoul, 2011; p.218. 

  34. Hawkes, S. J. J. Chem. Educ. 1992, 69, 542. 

  35. Shaffer, A. A. J. Chem. Educ. 2006, 83, 1746. 

  36. Paik, S. H. J. Chem. Educ. 2015, 92, 1484. 

  37. Chang, H. S. Is water $H_2O$ . Springer: London, 2012; pp. 253-276. 

  38.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ncations, Inc: 2013; pp. 243-268. 

  39. Creswell, J. W.; Miller, D. L. Theory into Pract. 2000, 39, 124. 

  40. Giere, R. N.; Bickle, J.; Mauldin, R.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Cengage learning: 2006; pp. 11-57. 

  41. Seroglou, F.; Koumaras, P. Sci. Educ. 2001, 10, 153. 

  42. Duschl, R. A.; Schweingruber, H. A.; Shouse, A. W. Taking Science to School. Learning and Teaching Science in Grades K-8,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2007; pp. 168-185. 

  43. de Vos, W.; Pilot, A. J. Chem. Educ. 2001, 78, 4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