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행기능에 맞춘 자가운동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 및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Customized Self-Exercise Program on Muscle Strength and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6 no.1, 2019년, pp.37 - 50  

김정수 (서울재활병원 성인물리치료팀) ,  이규범 (서울재활병원 재활의학과) ,  송인의 (서울재활병원 성인물리치료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Strok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responsible for physic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the self-exercise programs were developed for patients with hemiplegia to increase the intensity of their therapeutic exercise. Objects: The purpo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161명을 대상으로 10주 동안의 보행기능에 맞춘 자가운동 프로그램이 근력과 보행 관련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근력과 보행의 질적 변수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보행과 관련된 양적 변수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추출된 뇌졸중 환자의 보행기능수준에 맞춘 자가운동 프로그램이 근력, 보행기능, 균형능력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중 중요한 부분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는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물리치료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운동치료는 균형능력, 보행기능, 상하지 근력, 상지 기능 등의 신체능력과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둔다(Koo 등, 2008; Roland 등, 2004). 특히 보행기능의 회복은 뇌졸중 환자들이 요구 하는 주요한 부분이며, 전체 재활치료의 많은 비중이 보행을 재훈련하는데 소요될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부분이다(Latham 등, 2005; Lord 등, 2004). 이러한 보행 능력을 결정하는 요소들에는 근력, 경직, 균형, 감각 및 운동 손상, 유산소 능력 등의 다양한 요소들이 관여된다(Patterson 등, 2007).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성인에서 만성장애를 초래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질환의 하나이다(Park, 2008). 우리나라 통계청의 2016년 사망 통계에 따르면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은 인구 10만 명당 45.
뇌졸중 질환의 특징은 무엇인가? 8명으로 단일 장기 질환으로는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al Office, 2016). 뇌졸중 질환은 뇌혈관의 폐색 혹은 파열에 의한 뇌손상을 말하며, 이러한 손상으로 편측 마비, 운동 기능장애, 감각장애, 인지 및지각장애, 언어장애 등을 동반하게 된다(O’Dell 등,2009). 뇌졸중 환자는 뇌졸중 발병 후 재활을 위해 짧게는 1개월에서 길게는 3년 이상의 기간 동안 입원 또는 외래 재활치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Kim,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lon G, Sunnerhagen KS, Geurts AC, et al. A home-based, self-administered stimulation program to improve selected hand functions of chronic stroke. NeuroRehabilitation. 2003;18(3):215-225. 

  2. Bastille JV, Gill-Body KM. A yoga-based exercise program for people with chronic poststroke hemiparesis Phys Ther. 2004;84(1):33-48. https://doi.org/10.1093/ptj/84.1.33 

  3. Butland RJ, Pang ER, Gross AA, et al. Two-, six-, and 12-minute walking tests in respiratory disease. Br Med J (Clin Res Ed). 1982;284(6329):1607-1608. 

  4. Chaiyawat P, Kulkantrakorn K. Effectiveness of home rehabilitation program for ischemic stroke upon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Neurol Neurosurg. 2012;114(7):866-870. https://doi.org/10.1016/j.clineuro.2012.01.018 

  5. Canbek JG, Fulk L, Nof, et al. Test-retest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of the tinetti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in people with stroke. J Neurol Phys Ther 2013;37(1):14-19. 

  6. Eddy Fan, Nancy D, CieslaAlex D, et al. Inter-rater reliability of manual muscle strength testing in ICU survivors and simulated patients. Intensive Care Med. 2010;36(6):1038-1043. https://doi.org/10.1007/s00134-010-1796-6 

  7. Eng JJ, Chu KS, Dawson AS, et al. Functional walk tests in individuals with stroke: Relation to perceived exertion and myocardial exertion. Stroke 2002;33(3):756-761. 

  8. Flansbjer UB, Holmback AM, Downham D, et al. Reliability of gait performance tests in men and women with hemiparesis after stroke. J Rehabil Med. 2005;37(2):75-82. https://doi.org/10.1080/16501970410017215 

  9. Kendall E, Catalano T, Kuipers P, et al. Recovery following stroke: The role of self-management education. Soc Sci Med. 2007;64(3):735-746.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6.09.012 

  10. Kim MR. The Status of Medical Rehabilitation of the CVA Patients. J Korean Acad Clin Electrophysiol. 2004;2(2):61-76. 

  11. Koo BO, Kim EY, Park MH, et al. The Effect on Functional Recovery of Self Exercise Program in Stroke. J Edu & Rehabil Sci. 2008;47(1):331-347. 

  12. Kwakkel G, Wagenaar RC, Koelman TW, et al. Effects of intensity of rehabilitation after stroke. A research synthesis. Stroke. 1997;28(8):1550-1556. 

  13. Lamontagne A, Malouin F, Richards CL. Contribution of passive stiffness to ankle plantarflexor moment during gai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0;81(3):351-358. https://doi.org/10.1016/S0003-9993(00)90083-2 

  14. Latham NK, Jette DU, Slavin M, et al. Physical therapy during stroke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different walking abilitie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12 suppl 2):S41-S50. https://doi.org/10.1016/j.apmr.2005.08.128 

  15. Lord SE, McPherson K, McNaughton HK, et al. Community ambulation after stroke: How important and obtainable is it and what measures appear predictiv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2):234-239. https://doi.org/10.1016/j.apmr.2003.05.002 

  16. Mehrholz J, Wagner K, Rutte K, et al. Predictiv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0):1314-1319. https://doi.org/10.1016/j.apmr.2007.06.764 

  17. Monger C, Carr H, Fowler V, et al. Evaluation of a home-based exercise and training programme to improve sit-to-st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Clin Rehabil. 2002;16(4):361-367. https://doi.org/10.1191/0269215502cr506oa 

  18. Ng SS, Hui-Chan CW. The timed up & go test: Its reliability and association with lower-limb impairments and locomotor capacitie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641-1647. https://doi.org/.10.1016/j.apmr.2005.01.011 

  19. No GH. The effect of home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f home stayed chronic hemiplegic stroke patients.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002;16(1):77-94. 

  20. O'Dell MW, Lin CC, Harrison V. Stroke rehabilitation: Strategies to enhance motor recovery. Annu Rev Med. 2009;60:55-68. https://doi.org/10.1146/annurev.med.60.042707.104248 

  21. Park HK, Kang MJ, Huh JT. Recent epidemiological trends of stroke. J Koresurg Soc. 2008;43(1):16-20. 

  22. Park JH. The systematic consideration about study on how to apply functionally electric stimulation therapy for improving upper extremity of domestic patients. J Korea Aging Frien Indu Assoc. 2013;5(1):81-88. 

  23. Province MA, Hadley EC, Hornbrook MC, et al. The effects of exercise on falls in elderly patients: A preplanned meta-analysis of the FICSIT trials. Frailty and injuries: Cooperative studies of intervention techniques. JAMA. 1995;273(17):1341-1347. https://doi.org/10.1001/jama.1995.03520410035023 

  24. Rossier P, Wade DT. Validity and reliability comparison of 4 mobility measures in patients presenting with neurologic impairment. Arch Phys Med Rehabil. 2001;82(1):9-13. https://doi.org/10.1053/apmr.2001.9396 

  25. Song HS, Yun TW. Clinical feasibility of Otago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balance and gait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Korean Soc Phys Med, 2016;11(2):63-70. http://doi.org/10.13066/kspm.2016.11.2.63 

  26. Statistical Office. Statistical Yearbook of Cause of Death [Internet]. 2016 [Cited 2018 Sep 7] Available from :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12 

  27. Thomas S, Mackintosh S, Halbert J. Does the 'Otago exercise programme' reduce mortality and falls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 Ageing. 2010;39(6):681-687. https://doi.org/10.1093/ageing/afq102 

  28. Van Peppen RP, Kwakkel G, Wood-Dauphinee S, et al. The impact of physiotherapy on functional outcome after stroke : What's the evidence?. Clin Rehabil. 2004;18(8):833-862. https://doi.org/10.1191/0269215504cr843oa 

  29. Weiss A, Suzuki T, Bean J, et al. High intensity strength training improves strength and functional performance after stroke. Am J Phys Med Rehabil. 2000;79(4):369-3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