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Estimation of Landslide Risk based on Infinity Flow Direction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0 no.2, 2019년, pp.5 - 18  

오세욱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기하 (Department of Constru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배우석 (R&D Center NANO-GEO ENC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분포형 습윤지수와 뿌리보강무한사면안정해석 이론을 활용한 광역적인 산사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수치지도와 정밀토양도, 임상도 등을 이용하여 지형 지질학적 매개변수를 추출하고 $10m{\times}10m$ 해상도의 공간분포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비 집수면적은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적용하였다.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안전율은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위험도 평가결과, 산사태 위험지역은 봉화와 김천 등 실제 최근의 산사태 발생지역과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지와 인접한 지역에 unstable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사태 기록과 비교해본 결과, 본 해석모형이 합리적인 매개변수의 축적을 통해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conducted a broad-area landslide analysis for the entire area of Kyungsangbuk-do Province based on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and root reinforcement infinity slope stability theory. Specifically, digital map, soil map and forest map were used to extract topological and...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전역을 대상으로 지반공학적 요소에 강우자료를 적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모형을 개발하고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고 기조사된 산사태 위험지역과 비교함으로써 산사태 위험도를 분석하기 위한 비교대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경상북도 전역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Rawls et al.(1983)이 제안한 유효공극률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흙의 진비중 값을 2.65로 가정하고, 다음 식을 이용하여 표토토성 별 건조단위중량 및 포화 단위중량을 산출하고 30m 해상도로 래스터화를 수행하였다(Fig. 7).
  • 모든 강우는 지표를 따라 흐르고, 식생에 의한 차단, 대기 증발, 지하수로의 유입 등이 없다고 가정하면, 흐름 누적 값으로 나온 결과는 각 셀로 흘러 들어가는 강우의 총량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본 모형에서는 이러한 흐름 누적 값의 개념이 지하수의 거동에도 통용된다고 가정하고, 유역 내 집수면적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구해진 흐름 누적 값을 등고선의 폭으로 나눈 것을 비 집수면적(specific catchment area)이라 하며, 이는 Beven & Kirkby(1979)가 제안한 토양의 수분부족정도를 표현해주는 인자로 수문・지형학적 습윤지수 산정 시 주요 변수이다.
  • 본 연구에서는 실측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농촌진흥청의 토양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토양통에 대해 B층까지의 유효토심층의 깊이를 토심깊이로 가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토양통별 유효토심은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1:25,000 토양통도와 결합하여 30m 해상도로 래스터화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농촌진흥청에서 제공하는 1:25,000 유효토심(Fig.
  • 습윤지수는 토층과 지하수의 비로서 표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1 이상일 경우 지표유출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지표류는 사면안정해석에 있어 적용되지 않음으로 1 이상의 값은 1로서 가정하여 적용한다.
  • 현재 분산된 지점에 대한 보간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 중 하나로써 역거리 가중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목적에 따라 가중치의 항목이 결정되지만 강우 결측 보완 방법의 경우에는 관측소 간의 거리를 가중치로 사용하고 강우 결측 보완 방법으로서의 역거리법은 관측소 간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보간 강우에 미치는 가중치가 감소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수면적에 내린 강우의 손실이 없는 경우에 비 집수면적은 무엇인가? 유출기여면 적은 사면경사를 이용하여 흐름방향을 결정하게 되고, 이를 흐름방향으로 누적한 흐름누적 값에 의해 산정된다. 만약 집수면적에 내린 강우가 식생에 의한 차단,대기증발등과 같은손실이없다고가정하면,흐름누적값은각격자에 유입되는 유입량을 나타내며, 이러한 흐름누적값을 등고선의 폭으로 나눈 것이 비 집수면적이 된다. 또한 유출기여면적 은 해당 격자에서의 상부격자에 의한 영향면적(상부격자의 개수×격자의 크기)이 되며, 이 영향면적을 등고선의 폭으로 나눈 값이 비 집수면적으로 정의된다.
기존에 수행된 산사태 위험분석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 많은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도시와 인접한 산지에 대한 광역적인 평가는 제한적인 상황이며, 기존의 산사태 평가 시스템은 산사태를 유발하는 강우와 같은 외적 요인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보다 공학적이고, 객관적인 산 사태 모의 및 해석기법의 제시가 필요하며, 산사태발생 메 카니즘은 유역의 내적요인(지형, 지질 등)뿐만 아니라 외적 요인(수문기상 등)의 시・공간적 변동성에 의해 큰 영향을 받으므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관련 정보들의 효율적 처리 와 분석을 위해 GIS 기반의 공간분석시스템을 활용하여 다 양한 인자들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유출기여면 적은 어떻게 산정되는가? 특히 강우량의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공간분 포형 습윤지수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흐름방향 을 결정하는 유출기여면적의 산정이 필요하다. 유출기여면 적은 사면경사를 이용하여 흐름방향을 결정하게 되고, 이를 흐름방향으로 누적한 흐름누적 값에 의해 산정된다. 만약 집수면적에 내린 강우가 식생에 의한 차단,대기증발등과 같은손실이없다고가정하면,흐름누적값은각격자에 유입되는 유입량을 나타내며, 이러한 흐름누적값을 등고선의 폭으로 나눈 것이 비 집수면적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e-나라지표, 산사태피해현황, 2018.01.09, 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311 

  2. Acharya, G., De Smedt, F. and Long, N. T. (2006), Assessing landslide hazard in GIS: a case study from Rasuwa, Nepal, Bulletin of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Vol. 65, No. 1, pp. 99-107. 

  3. Anderson, M. G., Colison, A. J. C., Hartshorne, J., Lloyd, D. M. and Park, A. (1996), Developments in slope hydrology-stabilty modeling for tropical slopes, Advances in Hillslope Processes, Wiley, pp. 79-821. 

  4. Baum, R. L., Savage, W. Z. and Godt, J. W. (2002), TRIGRS A Fortran Program for Transient Rainfal Infiltration and Grid-Based Regional Slope-Stabilty Analysi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02-0424, p. 27. 

  5. Beven, K. J. and Kirkby, M. J. (1979), A physically based, variable contributing area model of basin hydrology, Hydrological Sciences Bulletin, 24, pp. 43-69. 

  6. Borga, M., G. Dalla Fontana. and F. Cazorzi. (2002), Analysis of topographic and climatic control on rainfall?triggered shallow landsliding using a quasi-dynamic wetness index, Journal of Hydrology 268, pp. 56-71. 

  7. Choi, J. R. (2010), Assessment of potential landslides in naerin watershed: linking eco-hydrology model and stability model, Master's thesis, Gangwon University, pp. 1-70 (In Korean). 

  8. Han, J. Y. (2003), Digital terrain analysis for the prediction of soil moisture and development of dynamic wetness index,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pp. 1-71 (In Korean). 

  9. Jeon, G. W. and Oh, C. Y. (2014), Risk analysis of debris flow using a probability based method in GIS -Inje, Gangwon-do, Korea, Crisisonomy, Vol. 10, No. 1, pp. 197-209 (In Korean). 

  10. Jung, K. W. (2010), Studies on the causal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and the development of hazard prediction map for landslide in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Ph.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1-133 (In Korean). 

  11. Kim, M. G. (2004), GIS landslide hazard mapping using root strength reinforcement model,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pp. 1-42 (In Korean). 

  12. Lee, C. W., Seo, J. P. and Kang, Y. H. (2013), Analysis of landslide characteristic during Joseon dynasty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Vol. 13, No. 6, pp. 161-165 (In Korean). 

  13. Lee, I. M., Sung, S. K. and Lim, C. M. (1991),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vegetation roots on slope stability of hillside slopes,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7, No. 2, pp. 51-66 (In Korean). 

  14. Lee, G. H., Oh, S. R., An, H. U. and Jung, K. S. (2012a), A comparative analysis on slope stability using specific catchment area calcul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5, No. 7, pp. 643-656 (In Korean). 

  15. Lee, S. R. (199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echniqu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Ph.D dissertation, Yeunse University, pp. 1-163 (In Korean). 

  16. Lee, S. W., Kim, G. H., Yune, C. Y., Ryu, H. J. and Hong, S. J. (2012b), Development of landslide-risk prediction model thorough database construction,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4, pp. 23-33 (In Korean). 

  17. Montgomery, D. R. and Dietrich, W. E. (1994), A physically based model for the topographic control on shallow landsliding,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0, No. 4, pp. 1153-1171. 

  1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2003), Slope Failure Disaster Research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 80 (In Korean). 

  19. O'Callaghan, J. F. and Mark, D. M. (1984), The extraction of drainage networks from digital elevation data, Computer Vision, Graphics and Image Processing, Vol. 28, pp. 328-344. 

  20. O'Loughlin, E. M. (1986), Prediction of surface saturation zones in natural catchments by topographic analysi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No. 5, pp. 794-804. 

  21. Oh, S. R. and Lee, G. H. (2014), Slope stability analysis at catchment scale using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Journal of Korean Geographers, Vol. 3, No. 2, pp. 111-126 (In Korean). 

  22. Pack, R. T., Tarboton, D. G. and Godwin, C. N. (1998), The SINMAP aproach to terrain stability mapping, proceedings-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ngineering geology and the environment, Balkema, Roterdam, Netherlands, pp. 157-165. 

  23. Quinn, P., Beven, K., Chevallier, P. and Planchon, O. (1991), The prediction of hillslope flow paths for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digital terrain models, Hydrological Processes, Vol. 5, pp. 59-79. 

  24. Rawls, W. J. and Brakensiek, D. L. (1985), Prediction of soil water properties for hydrologic modeling, Watershed Management in the Eighties, in Jones, E and Ward, T.J. eds., Proceedings of a Symposium ASCE, New York, pp. 293-299. 

  25. Rawls, W. J., Brakensiek, D. L. and Miller, N. (1983), Greenampt infiltration parameters from soil data,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Vol. 109, No. 1, pp. 62-70. 

  26. Ray, R. L. and De Smedt, F. (2009),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GIS on a regional scale: a case study from Dhalding, Nepal, Environmental Geology, Vol. 57, No. 7, pp. 1603-1611. 

  27. Simoni, S., Zanoti, F., Bertoldi, G. and Rigon, R. (2008), Modeling the probabilty of ocurence of shallow landslides and channelized debris flows using GEOtop FS, Hydrological Proceedings, Vol. 2, pp. 532-545. 

  28. Tarboton, D. (1997), A new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flow directions and upslope areas in grid digital elevation model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3, pp. 309-319. 

  29. Wu, T. H., McKinnell, W. P. III. and Swanston, D. N. (1979), Strength of tree roots and landslides on prince of wales Island, Alaska, Canadian Journal of Geotechnical Research, Vol. 16, No. l, pp. 19-33. 

  30. Yang, I. T., Chun, K. S., Park, J. K. and Lee, S. Y. (2007), An estimation to landslide vulnerable area of rainfall condi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15, No. 1, pp. 39-46 (In Korea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