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역량 탐색 및 수업모델 연구
Explor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kills Using Technologies and Study on Instructional Models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3 no.1, 2019년, pp.97 - 106  

고학능 (세종 가득초등학교) ,  마대성 (광주교육대학교 컴퓨터 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TPACK, 디지털 리터러시, 메이커 교육 등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탐색하여 5가지 영역 13가지 하위요소로 분류하였다. "테크놀로지 활용과 스마트라이프"를 수강하는 G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교육 수업 모델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강의 전후 설문조사 및 강의 후 인터뷰를 통해 대학생들의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검사하였고 수용적 태도가 향상되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인터뷰, 관찰일지, 상호평가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모델을 수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previous studies such as TPACK, digital literacy, and maker education, this study searched the Skills for Using Technologies required for elementary school pre - service teachers and classified them into 13 sub - factors in 5 domains. We designed and applied a project-based maker edu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G 교육대학교 “테크놀로지 활용과 스마트라이프”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테크놀로지 활용역량 및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와 교육과 관련된 연구를 바탕으로 테크놀로지 활용능력을 탐색하고, 초등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델을 만들고 이를 강의에 적용하여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분석하고 수업모델을 개선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델을 연구하고자 한다. G 교육대학교 “테크놀로지 활용과 스마트라이프”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테크놀로지 활용역량 및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 교육 수업모델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TPACK, 디지털 리터러시, Frameworkfor 21century Learning, 메이커 교육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예비교사에게 필요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테크놀로지 활용과 스마트라이프”를 수강하는 G 교육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테크놀로지 활용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젝트 기반 메이커교육 수업 모델을 설계 및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자주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본소양으로 윤리적 태도를 가지고 디지털 기술을 이해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 및 관리, 창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역량’이다. 하위영역으로는 과 같이 디지털 테크놀로지 이해화 활용, 디지털 의식 태도, 디지털 사고 능력, 디지털 실천 역량이 있다[11].
세계경제포럼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은 무엇인가? 1,2차 산업혁명이 기계의 발달로 인한 사회변화라면 3차 산업혁명이후부터 IT 기술 발달이 산업과 사회 구조를 바꾸는 동력이라는 측면에서 4차 산업혁명에서 언급하고 있는 기술적 요소와 사회 구조 변화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세계경제포럼(WEF, 2016)에서 제시한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IoT), 3D 프린팅, 로봇,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 정보기술(IT), 인지과학(CS)의 융합기술로 발전하고, 이로 인한 지능형 사이버 물리 시스템이 생산을 주도하는 사회 구조로의 혁명으로 정의되고 있다. 관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투자는 확대될 것이고, 기술 개발에 따른 새로운 산업 수요와 사회 구성원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가 나타날 것이라는 것은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1].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를 위해 교사의 역할은? 디지털 네이티브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접근하고 조작하는 능력이 능숙하다[4]. 교사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학생들이 학습하는데 있어 기술을 이용해서 참여하고, 이해하며, 소통하며, 학교의 과제를 처리하는 것이 익숙한 학생들에게 맞는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Jin sook(2017). Future education direc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017 KERIS Issue Report [Future Education Information Forum] Talking about Future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21-33. 

  2. Gwag Deog hun(2017).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Changes in Digital Education Environment2017 KERIS Issue Report [Future Education Information Forum] Talking about Future Educ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37-44. 

  3. Ministry of Education(2015). Software education guidelines. 

  4. Lee Min Hee(2014). An Analysis of the TPACK of the Cultivation Process and Model building of middle school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5. Jung, Jong Wan, Choi, Bo Ah. (2013). Study on Direction Smart Leaning Contents for Digital Native. KOREA SCIENCE & ART FORUM, 13(1), 373-383. 

  6. Wetzel, K., & Zambo, R. (1996). Innovations in integrating technology into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Jounal of Research on Computing in Education, 29(2). 

  7. Rim Haemee. (2009).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4), 545-564. 

  8. Chung, Jaesam, Keum, Hye-jin. (2003). Discussion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Field : Interdisciplinary, Soft Technology and Hard Technology Applications. Th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4(2), 167-192. 

  9. Miheon Jo. (2016).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0(6), 597-606. 

  10. Eom, Mi Ri, Shin, Won Sug, Han, Insook. (2011). A Survey on the Difference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Technology, 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TPACK).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8(4), 141-165. 

  11. KERIS(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 of Digital Literacy Curriculum. 

  12. Inae Kang, Hongsoon Kim. (2017). Exploring the Value of the Maker Mind Set at Mak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50-267. 

  13. Hyunmin LEE(2017). A Study on Maker Pedagogy in the museum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vol12. no.2. 83-100 

  14. http://www.battelleforkids.org/networks/p21/frameworks-resources 

  15. Kim, Yangsoo(2017). A study on developing the entrepreneurship through maker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Ph. D. Thesis, Major in Education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16. Blikstein, P. (2016). Meaningful Making : Projects and Inspirations for Fab Labs and Maker spaces.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23. 

  17. Peppler, K., Halverson, R. E. & Yasmin, B. K.(2016). Makeology : Makerspace as learning Environment. New York: Routle.dge. 

  18. Kang, Eunseong(2017). A study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aker education outreach program : a case study focused on free semester activity. Ph. D. Thesis, Major in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19. Martinez, S. L. & Stager, G.(2013). Invent to learn. Torrance, Calif.: Constructing Modern Knowledge Press. 

  20. Ma, Daisung(2018). Project based maker education program for the preliminary teache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9(1), 131-135. 

저자의 다른 논문 :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