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과 노인성 우울, 노인성 스트레스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Impairment and Geriatric Depression or Geriatric Stress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51 no.1, 2019년, pp.105 - 113  

김대진 (부산대학교 양산병원 신경과) ,  조수영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최정수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생명융합과학과) ,  이민우 (고려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과학연구소) ,  조은경 (강원대학교 의학과대학원 진단검사의학전공) ,  강세희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  김성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안전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성 우울, 노인성 스트레스와 인지기능과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치매를 유발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의 인지장애 및 노인성 우울, 노인성 스트레스의 정도와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호간의 연관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인지기능의 변수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 치매임상평가척도, 이마엽 기능검사,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능력 평가를 사용하였고, 노인성 우울변수는 노인우울척도(GDS), 노인성 스트레스변수는 노인스트레스척도(GSS)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방법은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 80명, 혈관성 치매환자 80명, 통제를 위한 정상군 80명을 설정하여 기술 통계량, Kruskall-Wallis,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및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알츠하이머성 치매군에서는 GDS, GSS와 대체적으로 인지기능 변수들과의 상관관계는 확인하였다. 특히 GDS는 남성에서만 인지기능 변수들과 상관관계가 있고, 인지기능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도 확인되었다. 또한 GSS와 GDS와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GSS가 GDS의 원인이 된다는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GDS는 알츠하이머성 치매군에서 인지기능 변수와의 상관관계와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하였고, GSS는 직접적인 상관관계보다 GDS를 유발하여 인지기능 장애와의 간접적인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geriatric depression and geriatric stress on cognitive impairment. In particular, the dementia groups were divided into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A normal group was used as the control group. For each group, the geriatric depression using the ge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상 노인과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노인성 우울뿐만 아니라 노인성 스트레스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서로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성 우울, 노인성 스트레스와 인지기능 과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치매를 유발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혈관성 치매의 두 그룹으로 분류 하고 각 그룹의 인지장애 및 노인성 우울, 노인성 스트레스의 정도와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고 상호간의 연관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전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가 치매의 위험요소로 확인되었고[27-29], 스트레스와 우울의 연관성[30]도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GSS가 GDS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면. 간접적으로 GSS와 인지기능 변수들과의 연관성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 GSS와 GDS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가설 설정

  • 우리의 삶은 다양한 인과관계에 의해 형성되며, 우울이란 감정도 삶의 방식의 변화, 가족문제, 경제적 상황, 신체적 건강상태, 소외 문제, 주변 환경 등의 여러 스트레스 요소에 대해 민감한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한 감정적이나 생리학적 변화가 기억력의 저하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이처럼 우울과 함께 스트레스도 기억력 저하를 기반으로 다양한 정서장애 및 인지적 수행능력들을 악화 시키는 요인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의 종류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치매는 각종 소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집중력, 수행능력 등의 인지기능 장애와 함께 이상행동과 불안, 초조, 우울 등의 심리적 증상 및 일상생활 능력을 손상 받는 질환이다[1]. 치매의 하위 유형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타우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 등이 대뇌에 축적되면서 뇌 신경세포가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AD)로 전체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2, 3], 다양한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인지장애가 생긴 경우인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는 약 20∼30%의 비중을 차지하며 다발경색 치매, 전략적 뇌경색 치매, 피질하 VD 등으로 구분된다[4].
치매는 어떤 질환인가? 치매는 각종 소인으로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집중력, 수행능력 등의 인지기능 장애와 함께 이상행동과 불안, 초조, 우울 등의 심리적 증상 및 일상생활 능력을 손상 받는 질환이다[1]. 치매의 하위 유형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타우 단백질, 아밀로이드 베타 등이 대뇌에 축적되면서 뇌 신경세포가 지속적인 손상을 입는 퇴행성 신경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AD)로 전체 치매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2, 3], 다양한 뇌혈관 질환으로 인해 인지장애가 생긴 경우인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는 약 20∼30%의 비중을 차지하며 다발경색 치매, 전략적 뇌경색 치매, 피질하 VD 등으로 구분된다[4].
중기 이후 관찰되는 행동 및 심리증상 장애의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치매의 증상은 초, 중, 말기로 구분하며 중기 이후 관찰되는 행동 및 심리증상 장애(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는 치매를 악화시키고 보호자들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주며 치매환자가 보호시설에 수용되는 가장 큰 이유로 환자 돌봄의 비용증가를 야기시키므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5]. BPSD의 증상으로는 우울증, 불안 등의 심리증상과 공격성, 배회, 부적절한 식사 등의 행동증상이 있다[6]. 이중 우울증은 AD의 40∼50%에서 관찰되며[7], 우울증이 AD의 전조 증상이라 추정하기도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ening T, Babu Sandilyan M. Dementia: definitions and types. Nurs Stand. 2015;29:37-42. http://doi.org/10.7748/ns.29.37.37.e9405. 

  2. Evans DA, Funkenstein HH, Albert MS, Scherr PA, Cook NR, Chown MJ, et al. Prevalence of Alzheimer'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JAMA. 1989;262: 2551-2556. http://doi.org/10.1001/jama.1989.03430180093036. 

  3. Chui HC, Victoroff JI, Margolin D, Jaqust W, Shankle R, Katzman R, et al.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ischemic vascular dementia proposed by the state of California Alzheimer's disease diagnostic and treatment centers. Neurology. 1992;42:473-480. http://doi.org/10.1212/WNL.42.3.473. 

  4. McPherson SE, Cummings JL. Neuropsychological aspects of vascular dementia. Brain Cogn. 1996;31:269-282. http://doi.org/10.1006/brcg.1996.0045. 

  5. Oh BH. Diagnosis and treatment fo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J Korean Med Assoc. 2009;52:1048-1054. http://doi.org/10.5124/jkma.2009.52.11.1048. 

  6. Finkel SI, Silva JC, Cohen GD, Miller S, Sartorius 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a consensus statement on current knowledge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treatment. Am J Geriatr Psychiatry. 1998;6:97-100. http://doi.org/10.1097/00019442-199805000-00002. 

  7. Burns A, Jacoby R, Levy R. Psychiatric phenomena in Alzheimer's disease: disorders of behavior. Br J Psychiatry. 1990;157:86-91. http://doi.org/10.1192/bjp.157.1.86. 

  8. Cummings JL, Mega M, Gray K, Rosenberg-Thompson S, Carusi DA, Gornbein J. The Neuropsychiatric inventory: comprehensive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dementia. Neurology. 1994;44:2308-2314. http://doi.org/10.1212/WNL.44.12.2308. 

  9. Cummings JL, Miller B, Hill MA, Neshkes R. Neuropsychiatric aspects of multi-infarct dementia and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Arch Neurol. 1987;44:389-393. http://doi.org/10.1001/archneur.1987.00520160031010. 

  10. Korczyn AD, Halperin I. Depression and dementia. J Neurol Sci. 2009;283:139-142. http://doi.org/10.1016/i.ins.2009.02.346. 

  11. Ryu KH, Kang YW, Na DL, Lee KH, Chung CS.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in dementia patients. Kor J Clin Psychol. 2000;19:117-129. 

  12. Nilsson FM, Kessing LV, Sorensen TM, Andersen PK, Bolwig TG. Enduring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depression and mania in patients with dementia.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2;73:40-44. http://doi.org/10.1136/jnnp.73.1.40. 

  13. Castilla-Puentes RC, Habeych ME. Subtypes of depression among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Alzheimer's Dement. 2010;6:63-69. http://doi.org/10.1016/j.jalz.2009.04.1232. 

  14. McEwen BS, Sapolsky RM. Stress and cognitive function. Curr Opin Neurobiol. 1995;5:205-216. http://doi.org/10.1016/0959-4388(95)90028-X. 

  15. Roman GC, Tatemichi TK, Erkinjuntti T, Cummings JL, Masdeu JC, Garcia JH, et al. Vascular dementia diagnostic criteria for research studies: Report of the NINDS-AIREN international workshop. Neurology. 1993;43:250-260. http://doi.org/10.1212/WNL.43.2.250. 

  16. Lezak MD, Howieson DB, Bigler ED, Tranel 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5th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7.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12:189-198. http://doi.org/10.1016/0022-3956(75)90026-6. 

  18. Kang YO, Na DR, Hahn SH. A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dementia patients. J Korean Neurol Assoc. 1997;15:300-308. 

  19. Han C, Jo SA, Jo I, Kim E, Park MH, Kang Y. An adaptation of th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elderly Koreans: demographic influence and population-based norms (the AGE study). Arch Gerontol Geriatr. 2008;47:302-310. http://doi.org/10.1016/j.archger.2007.08.012. 

  20. Shin HH, So HY, Lee AY. Comparing clinical usefulness of cognitive function tests (CDT, K-MMSE, K-3MS, CDR) in dementia patient. Korean J Rehabil Nurs. 2008;11:90-98. 

  21. Choi SH, Na DL, Lee BH, Hahm DS, Jeong JH, Yoon SJ, et al. Estimating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expanded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Scale. J Korean Neurol Assoc. 2001;19:585-591. 

  22. Morris JC. The Clinical Dementia Rating (CDR): current version and scoring rules. Neurology. 1993;43:2412-2414. http://doi.org/10.1212/WNL.43.11.2412-a. 

  23. Slachevsky A, Villalpando JM, Sarazin M, Hahn-Barma V, Pillon B, Dubois B. Frontal assessment battery and differential diagnosis of frontotemporal dementia and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4;61:1104-1107. http://doi.org/10.1001/archneur.61.7.1104. 

  24. Kim TH, Huh Y, Choe JY, Jeong JW, Park JH, Lee SB, et al. Korean version of frontal assessment battery: psychometric properties and normative data. Dement Geriatr Cogn Disord. 2010;29:363-370. http://doi.org/11.1159/000297523. 

  25. Kang SJ, Choi SH, Lee BH, Kwon JC, Na DL, Han SH, el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J Korean Neurol Assoc. 2002;20:8-14. 

  26.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 Psychiatric Res. 1983;17:37-49. http://doi.org/10.1016/0022-3956(82)90033-4. 

  27. Wang HX, Wahlberg M, Karp A, Winblad B, Fratiglioni L. Psychosocial stress at work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dementia risk in late life. Alzheimer's Dement. 2012;8:114-120. http://doi.org/10.1016/j.jalz.2011.03.001. 

  28. Flatt JD, Gilsanz P, Quesenberry CP, Albers KB, Whitmer RA.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risk of dementia among members of a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lzheimer's Dement. 2017;14:28-34. http://doi.org/10.1016/j.jalz.2017.04.014. 

  29. Greenberg MS, Tanev K, Marin MF, Pitman RK. Stress, PTSD, and dementia. Alzheimer's Dement. 2014;10:155-165. http://doi.org/10.1016/j.jalz.2014.04.008. 

  30. Bos EH, Bouhuys AL, Geerts E, van Os TW, Ormel J. Stressful life events as a link between problems in nonverbal communication and recurrence of depression. J Affect Disord. 2007;97:161-169. http://doi.org/10.1016/j.jad.2006.06.011. 

  31. Fuhrer R, Dufouil C, Dartigues JF, PAQUID Study. Exploring sex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dementia incidence: prospective results from the PAQUID study. J Am Geriatr Soc. 2003;51:1055-63. http://doi.org/10.1046/j.1532-5415.2003.51352.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