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이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n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6 no.1, 2019년, pp.52 - 61  

진혜경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김종현 (BHS한서병원) ,  김민주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to exercise adherenc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6 patients with heart failure in two hospitals located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과 운동이행의 관계를 파악하고 각각의 관계에서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증상 및 심리적 증상이 운동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 모두 운동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로 신체적 증상으로 인한 신체적 제약이 적을수록, 심리적 증상을 적게 경험할수록 운동이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이 운동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심부전 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심리적 증상 정도를 파악하고,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은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이 운동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심부전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과 운동이행의 관계에서의 운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심부전 환자의 신체적, 심리적 증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운동이행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elf- Efficacy for Exercise (SEE)의 각 항목은 어떤 형식이며 높은 점수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SEE-K는 총 9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주어진 상황에서 규칙적으로 운동할 수 있는 자신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도구이다. 각 항목은 ‘전혀 자신 없다’ 0점에서 ‘매우 자신 있다’ 10점까지의 Likert 척도이며, 총점은 0~90점의 점수 범위를 가진다. 점수가 높을수록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Resnick과Jenkins [24]의 연구에서 Cronbach’s ⍺는 .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은 규칙적인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요인이다[12]. 자기효능감이란 특정 행동을 수행하고 지속 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인식 또는 믿음을 반영하며,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의 정도를 의미한다[13]. Collins 등[14]의 연구에서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상자가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순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 환자가 운동을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운동은 심부전 환자의 최대산소섭취량과 심박출량을 증가시켜 건강상태를 호전시킬 뿐만 아니라, 입원율과 사망률 감소, 그리고 삶의 질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1]. 유럽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에서는 심부전 환자의 건강결과 향상을 위해 저강도에서 약간 힘든 정도의 강도로, 하루 30~60분, 주 5일 이상을 목표로 점진적으로 운동량을 늘리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aylor RS, Sagar VA, Davies EJ, Briscoe S, Coats AJ, Dalal H, et al. Exercise-based rehabilitation for heart failur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4;27(4):1-123.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3331.pub4 

  2. Piepoli MF, Conraads V, Corra U, Dickstein K, Francis DP, Jaarsma T, et al. Exercise training in heart failure: from theory to practice. A consensus document of the heart failure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2011;13(4):347-357. https://doi.org/10.1093/eurjhf/hfr017 

  3. van der Wal MH, Jaarsma T, Moser DK, Veeger NJ, van Gilst WH, van Veldhuisen DJ. Compliance in heart failure patient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beliefs. European Heart Journal. 2006;27(4):434-440. https://doi.org/10.1093/eurheartj/ehi603 

  4. Evangelista LS, Berg J, Dracup K.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variables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eart & Lung. 2001;30(4):294-301. https://doi.org/10.1067/mhl.2001.116011 

  5. Conraads VM, Deaton C, Piotrowicz E, Santaularia N, Tierney S, Piepoli MF, et al. Adherence of heart failure patients to exercise: Barriers and possible solutions. European Journal of Heart Failure. 2012;14(5):451-458. https://doi.org/10.1093/eurjhf/hfs048 

  6. Blinderman CD, Homel P, Billings JA, Portenoy RK, Tennstedt SL. Symptom distres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dvanced congestive heart failure.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 2008;35(6):594-603.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7.06.007 

  7. Sullivan M, Levy WC, Russo JE, Spertus JA. Depression and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advanced heart failure: A prospective study in tertiary care. Journal of Cardiac Failure. 2004;10(5):390-396. https://doi.org/10.1016/j.cardfail.2004.01.011 

  8. Easton K, Coventry P, Lovell K, Carter L-A, Deaton C. Prevalence and measurement of anxiety in samples of patients with heart failure: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6;31(4):367-379. https://doi.org/ 10.1097/JCN.0000000000000265 

  9. Suzuki T, Shiga T, Kuwahara K, Kobayashi S, Suzuki S, Nishimura K, et al. Impact of clustered depression and anxiety on mortality and re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logy. 2014;64(6):456-462. https://doi.org/10.1016/j.jjcc.2014.02.031 

  10. DiMatteo MR, Lepper HS, Croghan TW. Depression is a risk factor for noncompliance with medical treatment: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anxiety and depression on patient adherence.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0;160(14):2101-2107. https://doi.org/10.1001/archinte.160.14.2101 

  11. Shen BJ, Eisenberg SA, Maeda U, Farrell KA, Schwarz ER, Penedo FJ, et al. Depression and anxiety predict decline in physical health functioning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1;41(3):373-382. https://doi.org/10.1007/s12160-010-9251-z 

  12. Ha FJ, Hare DL, Cameron JD, Toukhsati SR. Heart failure and exercise: A narrative review of the role of self-efficacy. Heart, Lung & Circulation. 2018;27(1):22-27. https://doi.org/10.1016/j.hlc.2017.08.012 

  13.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14. Collins E, Langbein WE, Dilan-Koetje J, Bammert C, Hanson K, Reda D, et al.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aerobic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heart failure. Heart & Lung. 2004;33(3):154-161. https://doi.org/10.1016/j.hrtlng.2003.12.009 

  15. Siow E, Leung DYP, Wong EML, Lam WH, Lo SM. Do depressive symptoms moderate the effects of exercise self-efficacy on physical activity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8;33(4):E26-E34. 

  16. Sperber N, Hall KS, Allen K, DeVellis BM, Lewis M, Callahan LF. The role of symptoms and self-efficacy in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change among older adults with arthritis.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 Health. 2014;11(3):528-535. https://doi.org/10.1123/jpah.2012-0030 

  17. Rajati F, Sadeghi M, Feizi A, Sharifirad G, Hasandokht T, Mostafavi F. Self-efficacy strategies to improve exercis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RYA Atherosclerosis. 2014;10(6):319-333. 

  18. Klompstra L, Jaarsma T, Stromberg A.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18;33(3):211-216. https://doi.org/10.1097/JCN.0000000000000456 

  19. Tovar EG, Dekker RL, Chung ML, Gokun Y, Moser DK, Lennie TA, et al. Self-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and social support with adherenc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6;21(11):2673-2683. https://doi.org/10.1177/1359105315583369 

  20. Feinstein AR, Fisher MB, Pigeon JG. Changes in dyspnea-fatigue ratings as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in the treatment of congestive heart failure.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1989;64(1):50-55. https://doi.org/10.1016/0002-9149(89)90652-8 

  21. Corvera-Tindel T, Doering LV, Woo MA, Khan S, Dracup K. Effects of a home walking exercise program on functional status and symptoms in heart failure. American Heart Journal. 2004;147(2):339-346. https://doi.org/10.1016/j.ahj.2003.09.007 

  22. Zigmond AS, Snaith RP.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3;67(6):361-370. https://doi.org/10.1111/j.1600-0447.1983.tb09716.x 

  23.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289-296. 

  24. Resnick B, Jenkins LS.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scale. Nursing Research. 2000;49(3):154-159. https://doi.org/10.1097/00006199-200005000-00007 

  25. Choi M, Ahn S, Jung 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scale for older adults. Geriatric Nursing. 2015;36(4):301-305.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5.03.005 

  26. DiMatteo MR, Sherbourne CD, Hays RD, Ordway L, Kravitz RL, McGlynn EA, et al. Physicians' characteristics influence patients'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Health Psychology. 1993;12(2):93-102. https://doi.org/10.1037/0278-6133.12.2.93 

  27. Atherton JJ, Bauersachs J, Carerj S, Ceconi C, Coca A, Erol C, et al. 2016 ESC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heart failure. European Heart Journal. 2016;37(27):2129-2200. https://doi.org/10.1093/eurheartj/ehw128 

  28.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9. Corvera-Tindel T, Doering LV, Gomez T, Dracup K. Predictors of noncompliance to exercise training in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004;19(4):269-277. https://doi.org/10.1097/00005082-200407000-00006 

  30. Turner SC, Bethell HJ, Evans JA, Goddard JR, Mullee MA. Patient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cardiac rehabilitation. Journal of Cardiopulmonary Rehabilitation. 2002;22(4):253-260. https://doi.org/10.1097/00008483-200207000-00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