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영양상태와 부모 관련요인 분석 :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par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breakfast frequ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1, 2019년, pp.73 - 89  

유소영 (동덕여자대학교 임상영양학과) ,  양윤정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와 관련된 부모 요인을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비율은 남녀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둘째, 부모 요인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BMI지수, 어머니의 비만 비율은 남자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비율과 부모의 직업이 단순노무직인 비율은 남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부모가 아침을 결식하는 비율은 남자 저학년 및 고학년과 여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어머니가 혼자 아침 식사를 하는 비율은 남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셋째,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한 결과 아침끼니로 섭취하는 에너지는 모든 대상자에서 권장수준인 25% 이하였으며, 철분을 평균필요량 이하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남녀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는 비만과 영양소 섭취상태와 연관성이 있었고, 부모의 올바른 식생활 실천이 자녀의 아침결식 문제 해결의 효과적인 중재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이 규칙적이고 균형 있는 아침식사를 실천하기 위한 부모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학교에서의 아침급식 도입 등과 같은 다양한 정책지원을 고려해볼 필요성이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etary life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breakfast frequency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frequ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al dietar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규모 자료인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아침 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와 부모의 식생활 및 사회환경적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초등학생의 바람직한 식사관리를 위한 영양관리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와 관련된 부모 요인을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 ~ 2015) 자료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와 관련된 부모의 식생활 및 사회환경적 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하루 총 에너지섭취량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과 높은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소아비만 분포 중 과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비율은 남녀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고, 1일 총 에너지섭취량 중 저녁식사로 섭취한 에너지비율은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 시기는 어떤 시기인가? 초등학생 시기에 해당하는 만 6세부터 11세까지의 아동기는 신체적, 정신적 성장·발달과 함께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1].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교정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노력은 매우 중요하다 [2].
아침식사는 어떤 영향을 주는 가? 아침식사는 뇌에 에너지와 영양소를 공급하여 회상과 기억을 포함한 업무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실천하는 아동들은 수학 성적이 더 우수하고 [4], 정서적 안정, 집중력 향상, 인지기능 향상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5,6]. 이에 아침식사의 규칙적인 실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 영양학회에서는 9~15세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10가지 건강한 식생활과 활동에 대한 지침에 ‘아침식사로 하루를 시작하자’는 항목을 가장 첫 번째 순위로 제시하였고 [7],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식생활 지침에 초등학생들에게 아침식사 섭취를 실천하여야 할 식습관으로 강조하고 있다 [8].
아동의 아침식사 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국내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또한 아동의 아침식사 실천과 비만, 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과 [14] 아침식사 실천 유무에 따른 전체적인 식사의 질 차이를 확인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15]. 외국에서는 아동의 아침식사 습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규모 자료를 이용 하였지만 [16] 국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아침결식과 관련된 부모 요인 중 어머니와 관련된 요인만을 조사하거나 [17], 부모의 교육수준 및 소득수준과 같은 단편적 요인만을 보여주어 부모의 다양한 요인이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8,19]. 또한, 일부지역 초등학교 및 일부 학년만을 대상으로 하여 대표성을 갖기 어려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20,2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Lee YS, Lim HS, Ahn HS, Chang NS.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2nd ed. Seoul: Kyomunsa; 2003. 

  2. Kim YH, Ju HO. Elementary schoolers' skipping breakfast.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4; 10(4): 488-495. 

  3. Kim SH.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1999; 5(2): 215-224. 

  4. Ptomey LT, Steger FL, Schubert MM, Lee J, Willis EA, Sullivan DK, et al. Breakfast intake and composition is associated with superior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children. J Am Coll Nutr 2016; 35(4): 326-333. 

  5. Butcher-Powell LM, Bordi PL, Borja M, Cranage D, Cole C. Factors affecting breakfast intake in children. Top Clin Nurs 2003; 18(2): 130-135. 

  6. Rampersaud GC, Pereira MA, Girard BL, Adams J, Metzl JD. Breakfast habits, nutritional status, body weigh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m Diet Assoc 2005; 105(5): 743-760. 

  7. National Center for Nutrition and Dietetics. 10 Tips to Healthy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for You: a Brochure for Kids from 9-15 Years. Washington, D.C.: National Center for Nutrition and Dietetics; 1998.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2009 (dietary action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0&CONT_SEQ224044&page1. 

  9. Statistics Korea. National Nutrition Survey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c2009-2015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s://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1&vwcdMT_ZTITLE&parmTabIdM_01_01#SelectStatsBoxDiv. 

  10. Yeoh YJ.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and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11. Koivisto UK, Fellenius J, Sjoden PO. Relations between parental mealtime practices and children's food intake. Appetite 1994; 22(3): 245-257. 

  12. Van Lippevelde W, Te Velde SJ, Verloigne M, Van Stralen MM, De Bourdeaudhuij I, Manios Y, et al. Associations between family-related factors, breakfast consumption and BMI among 10- to 12-year- old European children: the cross-sectional ENERGY-study. PLoS One 2013; 8(11): e79550. 

  13. Alexy U, Wicher M, Kersting M. Breakfast trend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frequency and quality. Public Health Nutr 2010; 13(11): 1795-1802. 

  14. Ramirez-Lopez E, Grijalva-Haro MI, Valencia ME, Antonio Ponce J, Artalejo E. Effect of a school breakfast program on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children. Salud Publica Mex 2005; 47(2): 126-133. 

  15. Ruxton CH, Kirk TR. Breakfast: a review of associations with measures of dietary intake, physiology and biochemistry. Br J Nutr 1997; 78(2): 199-213. 

  16. Utter J, Scragg R, Mhurchu CN, Schaaf D. At-home breakfast consumption among New Zealand children: associations with body mass index and related nutrition behaviors. J Am Diet Assoc 2007; 107(4): 570-576. 

  17. Lee CK, Ju HO, Kim YH. The correlation between skipping breakfast of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J Korean Soc Sch Health 2004; 17(1): 13-24. 

  18. Chung H, Eum YH, Kim JY. A study on the children'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 according to their parents' economic status (I): Seoul & Gyeonggi (Incheon) area. Korean J Nutr 2008; 41(1): 77-88. 

  19. Hong JH, Oh SG, Chung JY. Relationship of unbalanced diet and eating behavior between school ag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Wonju area. Korean J Health Promot 2014; 14(1): 17-25. 

  20. Park SK, Kim MH, Choi MK. A study on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by skipping meal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e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0; 20(5): 668-679. 

  21. Park HA, Kang JH, Kim KW, Cho YG, Hur YI, Kim OH. Breakfast skipping, related factors, and nutrients intake of 5th grade students. Korean J Fam Med 2011; 32(1): 11-20. 

  2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growth standard 2007 [Internet]. Chu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cited 2018 Dec 10].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467. 

  23.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015.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25. Morgan KJ, Zabik ME, Leveille GA. The role of breakfast in nutrient intake of 5- to 12-year-old children. Am J Clin Nutr 1981; 34(7): 1418-1427. 

  26. Koletzko B, Toschke AM. Meal patterns and frequencies: do they affect body weigh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rit Rev Food Sci Nutr 2010; 50(2): 100-105. 

  27. Kim JY, Shin HW, Jeong IK, Cho SW, Min SJ, Lee SJ, et al. The relationship of adiponectin, leptin and ghrelin to insulin resistance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human obesity. Korean J Med 2005; 69(6): 631-641. 

  28.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1996; 29(5): 533-546. 

  29. Simeon DT, Grantham-McGregor S. Effects of missing breakfast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school children of differing nutritional status. Am J Clin Nutr 1989; 49(4): 646-653. 

  30. Joo E, Park E. Effect of sex and obese index on breakfast and snack intak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 Cult 1998; 13(5): 487-496. 

  31. Farshchi HR, Taylor MA, Macdonald IA. Deleterious effects of omitting breakfast on insulin sensitivity and fasting lipid profiles in healthy lean women. Am J Clin Nutr 2005; 81(2): 388-396. 

  32. Alexander KE, Ventura EE, Spruijt-Metz D, Weigensberg MJ, Goran MI, Davis JN. Association of breakfast skipping with visceral fat and insulin indices in overweight Latino youth. Obesity (Silver Spring) 2009; 17(8): 1528-1533. 

  33. Park MJ. Recent advances in regulating energy homeostasis and obesity. Korean J Pediatr 2005; 48(2): 126-137. 

  34. Choi CS.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Korean J Med 2009; 77(2): 171-177. 

  35. Shin Y. A review of childhood obesity. Korean J Child Health Nurs 2005; 11(2): 240-245. 

  36. Lamb ME, Pleck JH, Levine JA.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In: Lahey BB, Kazdin AE, editors. Advances in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 8. Boston (MA): Springer; 1985. p.229-266. 

  37. Hall L, Collins CE, Morgan PJ, Burrows TL, Lubans DR, Callister R. Children's intake of fruit and selected energy-dense nutrient-poor foods is associated with fathers' intake. J Am Diet Assoc 2011; 111(7): 1039-1044. 

  38. Morgan PJ, Lubans DR, Callister R, Okely AD, Burrows TL, Fletcher R, et al. The 'Healthy Dads, Healthy Ki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fficacy of a healthy lifestyle program for overweight fathers and their children. Int J Obes 2011; 35(3): 436-447. 

  39. Gillman MW, Rifas-Shiman SL, Frazier AL, Rockett HR, Camargo CA Jr, Field AE, et al. Family dinner and diet quality among older children and adolescents. Arch Fam Med 2000; 9(3): 235-240. 

  40. Park KY. Breakfast and health in adolescents.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2011; 14(4): 340-349. 

  41. Yun S, Jeong HR, Kim MH. A survey on the breakfast skipping rate of Korean adults relative to their lifestyle and breakfast skipping reasons and dietary behavior of breakfast skipper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2): 191-205. 

  42. van der Horst K, Oenema A, Ferreira I, Wendel-Vos W, Giskes K, van Lenthe F,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environmental correlates of obesity-related dietary behaviors in youth. Health Educ Res 2007; 22(2): 203-226. 

  43. Cho MS, Kim M, Cho W.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dietary habits with personality traits and food neophobia according to family meal frequency. Nutr Res Pract 2014; 8(4): 476-481. 

  44. Yeoh YJ, Yoon J, Shim JE.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1): 1-11. 

  45. Lee SH, Chung SJ, Choi KR.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 intake and biochemical index with breakfast eating in Korean adults: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Food Cult 2011; 26(1): 94-99. 

  46. Pollitt E. Iron deficiency and cognitive function. Annu Rev Nutr 1993; 13(1): 521-537. 

  47. Choi HJ, Lee HJ, Jang HB, Park JY, Kang JH, Park KH, et al. Effects of maternal education on diet, anemia, and iron deficienc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BMC Public Health 2011; 11(1): 8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