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1, 2019년, pp.257 - 264  

신민정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편하형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정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문지현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학생 144명에게 SNS 사용시간,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자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로 확인하였다.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파악하였다. 대상자 144명 중 남자는 55명(38.2%), 여자는 89명(61.8%), SNS 사용 시간 여자 2.2시간, 남자1.9시간이었다. SNS 사용 시간과 대인관계 유의한 상관관계 양적 상관을 보였는데(p<.014)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높은 수준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체상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와 신체상 간의 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3).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It was identified as t-test and ANOVA to confirm SNS usage tim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nd academic achievement to 144 college students. Duncan's multiple test Respectivel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의 차이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성별에 따른 SNS 사용시간은 여성이 좀 길었고 사용하는 SNS 종류로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순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SNS 사용시간,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또한 SNS 사용시간은 대인관계에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고, 신체상 및 학업성취도와는 방향은 부의 방향이나 통계적으로 의의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재까지 많은 연구에서 초점이 되었던 청소년 시기가 아닌 성인초기의 대학생으로 설정하여 SNS 사용시간과, 대학생활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하지만 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역중심대학에 편중 되어 있어 일반화를 위해서는 대상자를 전국 단위로 확대하여 반복적이 연구를 제언한다.
  • SNS에 의존하거나 소셜미디어 중독적 현상을 일컫는 소셜 미디어 중독 장애(Facebook Twitter) 등에 초점이 많이 가있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SNS를 얼마나 사용하는가에 따라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학생의 건전한 인터넷 환경과 학교 생활 지도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 이용자는 얼마나 되나? 온라인상에 “나”라는 개념이 생기고 그 서로 다른 “나”들이 연결되어 새로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이다[1]. SNS 이용자는 전 세계적으로 15억 만 명을 넘어섰으며, 국내 SNS 이용자도 3000만 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2]. 특히 스마트폰 사용자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국내 SNS 보급률은 75%로 세계 최고로 조사되었다.
SNS를 사용하는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부정적인 신체이미지를 갖는 이유로 예상한 것은? 다른 연구에서도 페이스북 등의 SNS 사용은 신체불만족뿐만이 아니라 부정적인 신체상, 외모비교, 날씬함의 내면화, 체중에 대한 만족도, 신체감시, 섭식장애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26][27][28][29]고 하여 SNS의 사용은 여자 대학생의 정서경험과 신체존중감,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신체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그 중 SNS상의 신체이미지 게시물에 자주 노출 되었을 경우 그 영향력은 더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는 본인이 생각하는 신체상에 도달하지 못하면 개인이 느끼는 상실감이 커져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게 될 수 있을 것이다[30].
SNS가 주는 긍정적인 영향은? SNS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SNS가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사람들은 SNS를 통해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을 공유하기도 하고 실제로 맺고 있는 주변의 사람들과 정서적 교류를 하기도 한다[7]. 또한 SNS를 사용하면서 외로움이 낮아지기도 하며[2] 행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을 얻는다[8][9][10]는 점을 살펴볼 때, SNS는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SNS상에 올라오는 타인의 게시물과 관련된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SNS를 이용하는 사람은 자신의 모습과 타인의 모습을 비교를 하게 되면서 부정적 감정을 경험한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i SJ, "The Difference in SNS Addiction possibility, Self-Esteem and Person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SNS Behavior"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2013. 

  2. KISA. 인터넷이용자의 SNS이용실태조사. 2018. 

  3. E. H. Lee, "The Impact of Facebook access motivation on offlin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 and continuance usage intention of Facebook",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4, No. 2, pp.97-105, May 31, 2018. 

  4. Kim SA, "A Study to the Different Effect between Individual Influence and Social Influence on Use-Diffusion of Social Network Service,"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1. 

  5. Lee EJ , "Twitter as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Vol. 48(1) pp. 9-58, 2011. 

  6. 김은미, 이동후, 임영호, 정일권, Myths of SNS unveiled : the evolution of 'talk, play, and love' medium, 2011. 

  7. Baek CR(2012), "Explor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 between Facebook use and Loneliness, nterpersonal Relationship,"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2. 

  8. Keum HJ, "The Influences of Social Media Use on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Vol. 25(5) pp. 7-48, 2011. 

  9. Kim BS, "A study on Facebook user's affective effect pertaining to Facebook use: Focusing on subjective happines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 41(1) pp. 85-109, 2015. 

  10. Ellison, N. B., Steinfield, C., & Lampe, C.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2(4) pp.1143-1168, 2007. 

  11. Lee, S. Y. "How do people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on social network sites? : The case of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32 pp. 253-260, 2014. 

  12. Yang HS ,Kim JH ,Seo MH, "Does Facebook Enrich Our Social Relations? :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Psychological Motivation, Facebook Use Behavior,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6(5) pp. 270-297, 2012. 

  13. Schlein, S., Guerney, B., & Stover, L.,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1971. 

  14. Lee, H. D., & Moon, S. M.,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Vol. 19 pp. 195-203, 1980. 

  15. Mendelson, B. K., Mendelson, M. J., Andrews, J., Balfour, L., & Bucholz, A., "Three aspects of body esteem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ifferential relations with weight and self-esteem,"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Vol. 17(1) pp. 145-160, 1997. 

  16. J. S. LEE , "The Correlation among adolescents gender, obesity, others appraisal of their bodies and the adolescents body-esteem,"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2001. 

  17. T. A. Pempek, Y. A. Yermolayeva, S. L. Calvert,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ing experiences on Facebook",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30, No. 3, pp.227-238, May-June 2009. 

  18. Subrahmanyam, K., Reich, S. M., Waechter, N., & Espinoza, G., "Online and offline social network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by emerging adult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29(6) pp. 420-433, 2008. 

  19. Raacke, J., & Bonds-Raacke, J., "My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11(2) pp. 169-174, 2008. 

  20. Cheung, C. M., Chiu, P. Y., & Lee, M. K., "Online social networks: Why do students use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7(4) pp. 1337-1343, 2011. 

  21. Jeon, H. S., & Hong, K. P., "Relationship ofuser characteristics of SNS and InterpersonalProblem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30, No. 1, pp.41-47March 2017, http://dx.doi.org/10.21493/kscg. 

  22. Kuss, D. J. & Griffiths, M. D.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 A Review of the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 8(9) pp. 3528-3552, 2011. 

  23. Price, R. A. "Mirror, Mirror, on the wall", Nursing Times," Vol. 82(40) pp. 58-62, 1986. 

  24. Tiggemann. M. & Slater, A. "NetGirls : The Internet, Facebook, and body image concern inadolescent girl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Vol. 46(6) pp. 630-633, 2013. 

  25. Kim MH, "The Effects of Facebook Usage on Female College Students' Body Image Concern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5) pp. 272-297, 2015. 

  26. Smith, A. R., Hames, J. L., & Joiner, T. E. "Status Update : Maladaptive Facebook usage predicts increases in body dissatisfaction and bulimic symptom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49(1-3) pp. 235-240, 2013. 

  27. Holland, G. & Tiggemann, M. "A systematic review of the impact of the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on body image and disordered eating outcomes, Body Image," Vol 17 pp. 100-110, 2016. 

  28. Manago, A. M., Taylor, T. & Greenfield, P. M. "Me and my 400 friends : The anatomy of college students' Facebook networks, their communication patterns, and well-being," Developmental Psychology, Vol. 48(2) pp. 369-449, 2012. 

  29. Meier, E. P. & Gray, J. "Facebook photo activity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urbance in adolescent girl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7(4) pp. 199-206, 2014. 

  30. Kwon YD,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besity," Journal of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ol. 4(1) pp. 125-137, 2004. 

  31. Brooks, D. M., & Rogers, C. J., "Researching pupil attending behavior within naturalistic classroom settings," Anthropology & Education Quarterly, Vol. 12(3) pp. 201-210, 1981. 

  32. Daly, J. A., & Suite, A., "Classroom seatingchoice and teacher perceptions of student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Vol. 50(2) pp. 64-69, 1981. 

  33. Woolfolk, A. E., & Brooks, D. M., "Chapter 5: Nonverbal Communication in Teaching," Review of research in education, Vol. 10(1) pp. 103-149, 1983. 

  34. Cross, L. H., Frary, R. B., & Weber, L. J.,"College grading: Achievement, attitudes, andeffort," College Teaching, Vol. 41(4) pp. 143-148, 1993. 

  35. Druger, M., "Being there: A perspective onclass attendance,"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Vol. 32(5) pp. 350-351, 2003. 

  36. Friedman, P., Rodriguez, F., & McComb, J., "Why students do and do not attend classes: Myths and realities," College Teaching, Vol. 49(4) pp. 124-133, 2001. 

  37. M. K. Choi &, J. S. Kim, "The Effect of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Abiliti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4, No. 4, pp.207-212, November 30, 2018. 

  38. Choi SM,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Problem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 Master's thesis,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