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원대상습지 선정 사례 연구 - 2016년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 Focusing on the Research Survey of National Inland Wetlands Monitoring in 2016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1, 2019년, pp.71 - 81  

이정환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이창수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 ,  김미정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본부 생태보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습지를 대상으로 추진하는 복원사업 시, 사업대상지 선정에 필요한 의사결정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2016년에 실시된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훼손습지 현황을 파악하고, 복원 필요성 판단을 위해 소실 원인과 생태적 보전가치 및 법 제도적 보전가치를 평가하였다. 2016년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 훼손습지는 총 20개소로 확인되었고, 생태 및 법 제도적 가치와 현장 검증을 거쳐 복원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1개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다수의 훼손습지 중 우선적으로 복원해야 할 필요성이 습지를 선정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의사결정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보전가치가 높지만,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습지의 경우 법 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법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projects. To this end, the current list of demaged wetland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nationwide monitoring project in 2016 targeted at wetlands in inland areas. The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훼손습지를 대상으로 복원 가치 판단을 통한 복원대상지를 도출함으로써 습지 보전관리 정책 추진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는 국가의 체계적 습지보전관리 정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속한 문명의 발전은 지구 생태계에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가? 인류 문명의 발전은 자연자원의 생태계서비스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급속한 문명의 발전은 지구 생태계의 회복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하였다. 18세기 2차 산업혁명 이후 지구의 온도는 꾸준히 상승해 왔으며(IPCC 2013), 이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전 세계 곳곳에 자연재해가 빈번해지고 피해규모도 이전보다 커지고 있다(Wilson 1989; Sim 2005; Van Aalst 2006; Lee 2010; Jung et al.
인류 문명의 발전은 무엇에 의존해 왔는가? 인류 문명의 발전은 자연자원의 생태계서비스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급속한 문명의 발전은 지구 생태계의 회복 불가능한 상태를 초래하였다.
훼손습지의 체계적인 복원을 위한 대상지 선정에 대한 사례연구로써 2016년 국립습지센터에서 수행한 모니터링 대상습지 348개소를 대상으로 훼손습지 현황 및 훼손사유를 검토하고, 습지의 생태적 보전가치 및 법·제도적 보전가치 평가를 통해 복원대상습지를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2016년 모니터링 결과 4개 소권역에서 확인된 훼손습지는 총 20개소로 나타났다. 권역별로는 강원 1권역 6개소, 강원3권역 3개소, 충청3권역 7개소, 그리고 경상1권역 2개로 확인되었다. 주요 훼손 원인으로는 수문환경변화에 따른 습지 기능상실, 개간 등 토지이용변화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지습지의 경우 경작지 이용에 의한 매립과 산림식생 유입에 의한 습지 기능 상실의 사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진양호 수계 내 형성된 연평늪의 경우에는 진양호의 수위상승에 의해 매몰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훼손습지의 모니터링 이전 습지등급을 활용하여 생태적 보전가치를 평가한 결과, 넘은골습지 등 6개 습지가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법·제도적 보전가치 평가결과, 법정보호지역에 해당되는 습지는 없었으며,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일부 포함되는 습지는 망덕봉습지 등 2개소, 국토환경성평가도 1, 2등급에 포함되는 습지는 망덕봉습지 등 7개소로 확인되었다. 이중 생태적 보전가치와 법· 제도적 보전가치 모두를 충족하는 습지는 망덕봉습지로 도출되었다. 현장 확인을 통해 수문환경변화 이전의 모습으로 복원사업을 추진할 경우 복원사업의 성공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은 습지임에도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습지를 사전예방 차원에서 법·제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생태자연도와의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이 대두되었다. 국가습지인벤토리에 등재되어 있는 내륙습지 2,499개 중 생태적 보전가치가 높다고 볼 수 있는 습지평가 1, 2등급 습지는 총 1,350개이지만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에 모두 포함 또는 일부 포함된 습지는 193개에 불과하다. 이는 만덕봉습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생태자연도 1등급 평가기준 개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습지등급 평가기준과 습지조사체계 개선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hn KS, Kim HS, Kim JG. 2016. Wetlands. Lifescience; p. 604.[Korean Literature] 

  2. Ahn SE. 2007. A Meta-regression Analysis of Wetland Valuation Studies in Korea.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16(1): 65-98.[Korean Literature] 

  3. Chen GQ, Shao L, Chen ZM, Li Z, Zhang B, Chen H. Wu Z. 2011. Low-carbon assessment for ec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by a constructed wetland in Beijing. Ecological Engineering, 37(4): 622-628. 

  4. Choi YK, Lee BH, Oh SY, Kim TY, Wende W, Ohlenburg H, Briffett C, Mun C, Um JH, Kwon YS, Choi JY, Lee YH, Park HY. 2006. Spatial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Countermeasures focusing on planning process and institutionalization. K-Developedia(KDI School) Repository. 2006-21. http://www.krihs.re.kr [Korean Literature] 

  5. Costanza R, Farber SC, Maxwell J. 1989. Valuation and management of wetland ecosystems. Ecological economics, 1(4): 335-361. 

  6. Edward B, Barbier, Mike A, Duncan K. 2005. Economic valuation of wetlands. Ramsar Convention Bureau; P. 116. 

  7. Ha YS. 2009. A study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international environment la. 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15: 475-498. 

  8. Hong SG, Kang HJ, Kim ES, Kim JG, Kim CH, Lee EJ, Lee JC, Lee JS, Lim BS, Choung YS, Chung HL, Cho HY. 2005.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Publishing Co.; P. 113.[Korean Literature] 

  9.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13. Climate change 2013: the phy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ress, Cambri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0. Jin DH. 2008. Strengthen wetland management with the occas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the Ramsar Convention. River and Culture. 4(4): 120-121.[Korean Literature] 

  11. Jung YH, Kim I, Lee YJ. 2016. A Study on the WBI System Development for DRR Technology &Information Sharing by ISD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1): 141-150. [Korean Literature] 

  12. Korea Forest Service. 2006. Performance of the Restoration Project for the Damaged Area of Baekdudaegan. Policy Briefing. [Korean Literature] 

  13. Lee JH. 2010. The Economics of Extreme Weather. Meteopological Technology & Policy. 3(1): 4-11. [Korean Literature] 

  14. Lee YW, Jeong JG, Yoon YS, Lim SY. 2012. High speed rail and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II). K-Developedia(KDI School) Repository. 2006-19. [Korean Literatur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A Survey on Natural Environment Restoration Project and Improvement Plan.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Guidelines of Writing for Ecosystem and Nature Map.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1a. Guidelines of Survey for National Inland Wetlands.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1b. A Study on the Physical Restoration of Damaged Natural Environment. Ministry of Environment Report. [Korean Literature] 

  19. National Wetland Center. 2016. 2nd National Inland Wetland Monitoring(20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0. National Wetland Center. 2017a. 2nd National Inland Wetland Monitoring(201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1. National Wetland Center. 2017b. Internal dat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Korean Literature] 

  22. Park KH, You JH, Song BG. 2010. Evaluation of Ecological Values of the Southern Coastal Wetland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4(4): 395-405. [Korean Literature] 

  23. Pennak R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Protozoa to mollusca. 

  24. Raison J, Eamus R, Gifford, McGrth J. 2007. Feasibility of forest free air $CO_2$ enrichment (FACE) experimentation in Australia. Australian Greenhouse Offic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 108pp. 

  25. Saggai MM, Ainouche A, Nelson M, Cattin F, El Amrani A. 2017. Long-term investigation of constructed wetland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Selection of adapted plant species for metaremedi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1, 120-128. 

  26. Seo DC, Kang SW, Lim BJ, Park, JH, Kim KS, Lee, JB, Kim H, Heo JS, Chang NI, Seong HH, Cho JS. 2011. Evaluation of Aquat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Sinpyong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3): 400-407. [Korean Literature] 

  27. Sim WB. 2005. Natural disasters and Urban prevention of disasters according to Climate Change. KRIHS(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 39-49. [Korean Literature] 

  28. Van Aalst MK. 2006.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risk of natural disasters. Disasters. 30(1): 5-18. 

  29. Wilson EO. 1989. Threats to biodiversity. Scientific American. 261(3): 108-117. 

  30. Woodward RT, Wui YS. 2001. The economic value of wetland services: a meta-analysis. Ecological economics. 37(2): 257-270. 

  31. Yang W, Chang J, Xu B, Peng C, Ge Y. 2008. Ecosystem service value assessment for constructed wetlands: A case study in Hangzhou, China. Ecological Economics. 68(1-2): 116-125. 

  32. You JH, Park, KH, Yoon YC, Song BG. 2009. Vascular Plants in Coastal Wetland in Gyeongsangnam-do, Korea. Korean Wetlands Society. 11: 29-38. [Korean Literature] 

  33. Yun KS. 2007. Soil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Field.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13(2): 129-142. [Korean Literature] 

  34. Zedler JB, Kercher S.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Annu. Rev. Environ. Resour. 30: 39-7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