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Social Functions and Mental Health Recovery of Community People with Mental Illnes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1, 2019년, pp.69 - 78  

신선화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황정희 (구리시정신건강복지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tries to test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social functions and mental health recovery of community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a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The participants i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은 삶의 많은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고[3], 희망과 치료적 관계는 정신사회재활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를 통해 형성되거나 증진되므로[12,14], 정신장애인이 가지고 있는 전반적 사회기능이 좋을수록 희망과 치료적 관계가 증가할 것이고,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변인을 통해 정신건강 회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Figure 1).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반적 사회기능, 정신건강 회복, 희망 및 치료적 관계의 관계를 살펴보고, 치료자를 통한 희망의 중재와 치료적 관계 형성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증진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이 정신건강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 개념들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 회복에 있어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면서, 희망이 정신건강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정신장애인의 전반적사회기능이 정신건강 회복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희망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서 치료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정서적 친밀감과 목표 성취를 위한 협력이 정신건강 회복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이 정신건강 회복을 증가시키는데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고,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의 경로별 차이를 비교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반적 사회기능이 정신건강 회복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전반적 사회기능과 정신건강 회복 간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치료적 관계의 매개효과, 희망과 치료적 관계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Figure 1). 이를 통하여 지역사회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전반적 사회기능, 정신건강 회복, 희망 및 치료적 관계의 관계를 살펴보고, 치료자를 통한 희망의 중재와 치료적 관계 형성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증진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장애인에게 '회복'이란? 정신장애인에게 ‘회복’이란 긍정적이고 가치 있는 자아정체성을 되찾고, 자신을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으로 인식하는 것을 초월하여 주체적인 인간으로서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과정으로[4],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사회기능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5]. 정신장애인은 병식의 결여, 현실검증능력 장애, 잔존 증상으로 인해 사회적 문제해결이나 작업수행과 같은 고차원적 기능 외에도 식사나 청결 유지와 같은 일상적인 기능마저도 손상되어 전반적 사회기능을 수행하는데 제약을 받고 있다[4,6].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위해 삶에 대한 희망을 가지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은 정신병적인 질병을 극복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희망을 가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4,10]. 정신장애인이 인지하는 희망은 정신건강 회복과 관련된 요인으로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자원이며[11], 정신장애로 인한 사회적 낙인, 취업 및 대인관계 기회상실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때 희망은 변화하고자 하는 마음상태를 가지는 것으로 정신장애인의 회복 의지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10,11]. 정신장애인의 희망은 정신건강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12], 정신장애인의 치유와 회복 과정에 있어서 희망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신장애인과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와 정신장애인의 회복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희망뿐만 아니라, 정신사회재활에서 이루어지는 치료적 관계 형성이 필수적이다[4,13]. 치료적 관계는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 것으로 정신장애인과 치료자와의 치료적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정신장애인의 회복이 높게 나타났고[12], 긍정적인 치료적관계 형성이 정신사회재활 서비스의 질을 확보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라고 강조하였다[14]. 정신장애인은 정신질환으로 인해 사회적 편견과 낙인을 경험하고 깊은 대인관계를 형성할 기회가 부족하기 때문에, 치료자와의 동맹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을 촉진시킬 수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HS. Major contents of revised mental health act and future tasks. Korean Journal of Medical and Law. 2017;25(1):7-26. https://doi.org/10.17215/kaml.2017.06.25.1.7 

  2. Kim HY. Mental health welfare act and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Paperpresented at: 2018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8 August 16; Sejong University Convention Center. Seoul. 

  3. Bae EK, An HJ. The influences of recovery on mentally disabled persons' behavior and symptom in the commun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6;42(2):231-251. https://doi.org/10.15820/khjss.2016.42.2.011 

  4. Liberman RP, Kopelowicz A. Recovery from schizophrenia: A concept in search of research. Psychiatric Services. 2005;56(6):735-742. https://doi.org/10.1176/appi.ps.56.6.735 

  5. Hoffmann H, Kupper Z. Facilitators of psychosocial recovery from schizophrenia.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002;14(4):293-302. https://doi.org/10.1080/0954026021000016932 

  6. Rossler W. Psychiatric rehabilitation today: An overview. World Psychiatry. 2006;5(3):151-157. 

  7. Bellack AS, Green MF, Cook JA, Fenton W, Harvey PD, Heaton RK, et al. Assessment of community functioning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and other severe mental illnesses: A white paper based on an NIMH-Sponsored Workshop. Schizophrenia Bulletin. 2007;33(3):805-822. https://doi.org/10.1093/schbul/sbl035 

  8. Savilla K, Kettler L, Galletly C.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deficits,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schizoprenia.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8;42 (6):496-504. https://doi.org/10.1080/00048670802050512 

  9. Kim HK. The effects of social function and symptoms on the quality of life among the mentally ill living in the community.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014;24(3):65-82. 

  10. Acharya T, Agius M. The importance of hope against other factors in the recovery of mental illness. Psychiatria Danubina. 2017;29(Suppl 3):619-622. 

  11. Han KS, Park YH, Im HS, Ju GY, Bae MH, Kang HC. Hop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0;19(2):205-211. 

  12. Hyun MS, Park EY, Kim YH, Kim YR, Cho MS. Mediating effec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relation between hope and recovery of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a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4;23(3):156-164.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3.156 

  13. Kim HJ. Validation study of the recovery-promotion relationship scale (RPRS) for Korean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10;19(3):288-298. 

  14. Oh MH. Mediating effec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 the relation between empowerment and recovery of community dwelling patients with a mental illness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4):211-220. https://doi.org/10.5762/KAIS.2018.19.4.211 

  15. Moran G, Mashiach-Eizenberg M, Roe D, Berman Y, Shalev A, Kaplan Z, et al. Investigating the anatomy of the helping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alliance, providers' recovery competencies and personal recovery. Psychiatry Research. 2014;220(1-2):592-597. https://doi.org/10.1016/j.psychres.2014.08.004 

  16. Tunner TP, Salzer MS. Consumer perspectives on quality of car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and Mental Health Services Research. 2006;33(6):674-681. https://doi.org/10.1007/s10488-006-0050-6 

  17. Choe KS, Kim HJ, Noh CH. Hope in people with schizophrenia: Concept clarification. Journal of Academic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2005;14(4):417-427. 

  18. Park BS, Kim YY, Hoe MS, Park KJ, Bae SW. Development of general social functioning scale for persons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Journal of Social Science. 2014;25(4):3-26. https://doi.org/10.16881/jss.2014.10.25.4.3 

  19. Choi YH, Lee HK, Lee DG.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Snyder's Dispositional Hope Scal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008;22(2):1-16. https://doi.org/10.21193/kjspp.2008.22.2.001 

  20. McGuire-Snieckus R, McCabe R, Catty J, Hansson L, Periebe S. A new scale to asses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in community mental health care: STAR. Psychological Medicine. 2007;37 (1):85-95. https://doi.org/10.1017/S0033291706009299 

  21. Kwon JY. Validation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R scale.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5:81-110. 

  22. Young SL, Bullock WA.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Edited by Campbell-Orde T, Chamberlin J, Carpenter J, Leff HS. Measuring the promise of recovery: A compendium of recovery measures. vol 2. Cambridge, MA: Evaluation Center at HSRI; 2005. Retrieved 30 September 2018 from https://power2u.org/wp-content/uploads/2017/09/MeasuringPromiseRS.pdf 

  23. Song KO.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recovery measure.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4:154-188. 

  24. Lee HE. Review of Methods for testing mediating effects in recent HRD research.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014;16(2):225-249. 

  25. Kim M, Millner U. Meaning of work for individuals with mental illness-Focused on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Asians and white American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2015;67(4):227-249. 

  26. Kang SI. A study on the levels of recovery attitudes and factors affecting the recovery attitudes of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living in the institutions.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1;30:97-129. 

  27. Kim MY. A study of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covery amo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1;38:205-236. 

  28. Bae SW, Kim YY.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the community-bas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on the level of social functioning for the severly mentally ill.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08;29:234-256. 

  29. Park HK, Kwon JY.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ase managers and person with mental disabilities of working relationship - Focusing on community mental health field.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6;44(4):154-183. 

  30. Park JH, Park HS. Hope enhancement program for increased hope,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for mentally ill persons in day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7;26(3):260-270. https://doi.org/10.12934/jkpmhn.2017.26.3.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