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시설기준 수립을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Comparative Review of Design Guidelines of Hospice Facilities for Establishing Standard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5 no.1, 2019년, pp.51 - 60  

이수경 (Department of Architecture, Dong Seoul University) ,  윤형진 (Department of Architecture, Dong Seou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sign guidelines for hospice facilities in the US, UK, and Canada focused on design considerations and space requirements, and utilizes them as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standards for Korean hospice facilities. Methods: Comparative review was carried out to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거·요양·돌봄 시설 및 지원 시설 설계 및 건설 지침(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Residential Health, Care, and Support Facilities)“는 거주자를 위한 다양한 돌봄 모델 및 삶의 질을 지원하는 사람중심의 주거 환경 개발을 촉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시설기준과 미국, 영국, 캐나다의 호스피스 시설기준들의 체계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국내 호스피스 시설기준 수립 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입원형 호스피스시설에 한정하여 각각의 지침 및 시설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요구조건과 소요실 목록, 면적 등의 설계지침 상에 제시되어 있는 요소들을 입원실, 입원공용영역, 환자지원영역, 의료진지원영역, 시설지원영역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하고 이들 영역들 중에서 입원실(Resident room or inpatient room)중심으로 요구조건과 소요공간들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향후 시설 가이드라인 수립을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시설관련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호스피스시설기준과 미국, 영국, 캐나다의 호스피스 시설기준들을 가이드라인의 목적, 특성, 소요실, 실크기 등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틀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시설기준들은 조금씩 다른 목적을 가지고 사용되기는 하나 호스피스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운영비용을 최적화하기 위한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영국의 경우, 아일랜드 정부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지침에 맞추어 호스피스완화의료시설의 특성, 운영정책, 일반적인 계획 및 설계시 고려사항, 기능적인 사항 등등의 내용들을 48 페이지에 거쳐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서도 병원기반과 거주시설기반으로 나누어 건축전반에 걸쳐 호스피스 관련시설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
  • 19) 영국 아일랜드의 ‘전문완화의료설정 디자인 가이드라인 (Design Guidelines for Specialist Palliative Care Settings, Dublin, Ireland)20)은 정책적으로 일관적인 완화의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본 지침은 완화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완화의료서비스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또한 완화의료서비스를 급성기병원에서 부터 지역서비스까지 거의 대부분의 진료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 시설기준의 기능과 역할은 영국, 미국, 캐나다의 경우, 호스피스시설 계획이나 정부지원을 받기 위한 시설 가이드라인들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이에 기초한 각 지자체별로 호스피스시설환경에 대한 평가지침들이 운용되고 있다. 분석에 앞서 본 연구에서 사례로 다루는 미국 FGI 가이드라인, 영국 아일랜드 완화의료 디자인 가이드라인, 캐나다 온타리오 주 호스피스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구성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호스피스서비스의 질은 어떠한가? 이와 아울러 호스피스전문 기관의 양적 확대 및 질적 내실 화, 호스피스 종사자의 전문성 강화 등을 통헤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필요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교육지원, 시설 및 장비 구입 등의 비용을 국가보조금형태로 지원하는 호스피스전문기관 지원 사업이 시행중이다. 6) 이러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에 의해 우리나라의 임종환자에 대한 의료의 질은 지난 10년간 빠른 속도로 높아졌으나 완화의료제공능력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7) 우리나라에서 연간 호스피스서비스를 받은 말기 환자 수는 13,662명으로 전체 암사망자의 약 17.
호스피스란? 호스피스는 말기환자 또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통증과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 사회 적, 영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를 말한다. 1) 호스피스는 중세 유럽에서 여행 순례자 들에게 숙박을 제공했던 작은 교회를 의미하며 여행자가 병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여행을 떠날 수 없게 되는 경우, 그 곳에서 치료 및 간호를 받게 됨에 따라 이러한 시설들을 호스 피스라 부르게 되었다.
호스피스의 어원은? 호스피스는 말기환자 또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그 가족에게 통증과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 신체적, 심리 사회 적, 영적 영역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의료를 말한다. 1) 호스피스는 중세 유럽에서 여행 순례자 들에게 숙박을 제공했던 작은 교회를 의미하며 여행자가 병이나 건강상의 이유로 여행을 떠날 수 없게 되는 경우, 그 곳에서 치료 및 간호를 받게 됨에 따라 이러한 시설들을 호스 피스라 부르게 되었다. 2) 현재와 같은 ‘환자 돌봄’에 초점을둔 호스피스의 태동은 1960년대 영국 시슬리 선더스(Cicely Sauders)에 의해 시작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ildren, D. o. H. (2001). Report of the National Advisory Committee on Palliative care. In. Dublin: Department of Health & Children. 

  2. Children, D. o. H. (2005). Desgin Guidelines for Specialist Palliative Care Settings. In. Dublin: Department of Health & Children. 

  3. Council, T. W. s. H. Women and cancer in Ireland, 1994-2001: The Women's Health Council. 

  4. Institute, F. G. (2014).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Hospitals & Outpatient Facilities. In. 

  5. Institute, F. G. (2018).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Residential Health, Care, and Support Facilities. In. 

  6. McGann, S. (2011). Spatial practices and the home as hospice. The Australasian medical journal, 4(9), 495-499. doi:10.4066/AMJ.2011.931 

  7. Ontario. (2017). Hospie Capital Program Design Standards. 

  8.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2015). The 2015 Quality of Death Index. 

  9. Verderber, S. (2014). Residential Hospice Environments: Evidence-Based Architectural and Landscape Design Considerations. Journal of Palliative Care, 30(2), 69-82. doi:10.1177/082585971403000202 

  10. 김준석. (2004). 우리나라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현주소와 전망. 대한내과학회지, 67(4), 327-329. 

  11. 박중철, & 최윤선. (2009). 노인환자를 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10, 345-351. 

  12.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호스피스전문기관의 지정기준, 제20조제1항 관련 C.F.R. (2017. 8. 4.). 

  13. 보건복지부. (2018a). 2018 가정형호스피스 시범사업 서비스 및 지원사업 안내. In. 

  14. 보건복지부. (2018b). 2018 말기환자 호스피스전문기관 지정 및 지원사업 안내. In. 

  15. 보건복지부. (2018c). 2018 자문형호스피스 시범사업 서비스 및 지원사업 안내. In. 

  16. 장윤정. (2015). 노인과 호스피스 완화의료. 보건복지포럼, 38-47. 

  17. 정미렴. (2016). 병원기반 (병동형/가정형) 호스피스의 환경계획지침에 대한 연구. J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8(2), 105-105. 

  18. 정미렴. (2018). 호스피스의 전개과정과 1980-2009 년대 호스피스 시설의 공간구성 특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11), 3-12. 

  19. 최영순, 최정규. 태윤희, 김지윤, 김정덕. (2014).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활성화방안.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