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특화에 대한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ecializing Libraries of Non-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and User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1, 2019년, pp.77 - 99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신영지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곽우정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 비교분석,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도입 시, 지역의 특성과 현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화 주제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서비스 대상의 경우 지역 인구 분포와 도서관 이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서비스 범위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화 프로그램은 특화 주제 분야의 특징을 고려하여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세부 주제분야별로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화 공간의 경우 주제의 특징과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시 체계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특화 전담 인력 배치, 타 기관과의 연계, 홍보 및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development directions for smooth introduction of transferring non-specialized libraries to specialized librar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on non-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and user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mparative requirements for specializing libr...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사회변화는 많은 정보 중에서 질적으로 우수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별하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정보의 양이 늘어날수록 이를 보존, 관리, 제공하는 도서관의 역할도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고학력화 및 소득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경제적․시간적 여유가 증가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문화생활을 즐기기 원하며, 자기 계발을 위한 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 측면에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사 및 인식 비교를 통해,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로 특화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는 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만족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 등을 통해 현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을 비교분석하고,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 도서관 운영 시 특화 관련 장서, 공간,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 인식조사 등을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인식비교와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의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특화 관련 주제 자료, 장소,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하여 이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관련 연구논문 및 각종 보고서 등을 조사·분석하여,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사 및 인식비교를 위한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화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비특화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사 및 인식비교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특화도서관 관련 국내·외 연구 논문 및 보고서 등을 포괄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 둘째, 선행연구와 연구과정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셋째, 이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 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수행한 연구절차와 단계별 세부 연구내용은 [그림 1]과 같다.
  • 또한 도서관의 규모, 조직 및 인력, 장서현황, 서비스 및 프로그램, 주 이용자, 공간 등 특화서비스 제공을 위한 현 도서관의 현황을 분석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의 특성과 도서관에서 제공 가능한 특화 주제와 방향을 모색한다. 그 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특화가 가지는 의미를 충분히 설명한 후 구체적으로 도서관에서 선정한 특화 방향 및 주제를 제시하고, 이와 함께 특화 주제, 대상, 프로그램, 공간 등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한다.
  • 또한 각 도서관만의 특화 분야를 선정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는 개념으로 정의하였다(박미영 2007; 홍희경 2008; 장서이 2016).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을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도서관만의 특화 주제 분야를 선정하여 전문 인력의 활용을 통해 차별화된 도서관 운영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비특화 도서관은 별도의 차별화된 특화 주제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으로 정의하고 있다.
  • 박온자(2006)는 특수 장서의 중요성과 가치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도서관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도서관 특성에 맞는 특수 장서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에 미국과 국내의 특수 장서 서비스 및 특수 장서 구축사례를 소개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특수 장서 구축을 위해, 특수 장서의 디지털화, 타 기관과의 협력, 도서관의 특수 장서 개발 시 중복을 피해야함을 제안하였다. 박현주(2012)는 도서관의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도서관의 장서개발은 그 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언급하며, 인천지역 공공도서관의 분담수집 및 장서특성화 연구를 통해 지역 공공도서관의 장서개발 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 항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비특화도서관은 특화된 주제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을 정의하고 있으며, 별도의 주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 그러나 비특화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사 및 인식조사 연구는 진행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사 및 인식비교를 통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의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수요조 사 및 인식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비특화도서관이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 비특화도서관은 특화된 주제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을 정의하고 있으며, 별도의 주제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요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특화 관련 장서, 공간, 프로그램,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화의 정의는 무엇인가? 이에 도서관에서는 도서관마다의 특성을 발전시켜 이용자 요구에 맞는 특화 서비스 제공을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도서관을 특화 도서관으로 명명하고 있다. 특화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특화란 ‘한 나라의 산업 구조나 수출 구성에서 특정 산업 이나 상품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함 또는 그런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특정한 분야에서 특정한 개체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노영희, 정대근, 김미연.
박정순이 특성화방안을 제시한 이유는 무엇인가? 몇몇 연구는 현 도서관이 직면한 문제들을 특화서비스를 통해 해결해 나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하였 다. 먼저, 박정순(2003)은 우리나라 공공도서 관이 선진국에 비해 도서관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운영 방안으로 특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각 공공도서관이 그 지역의 역사, 문화, 사회 등 각 분야의 지역자료를 특화하여 소속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지역주민에게 적극적인 도서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도서관 특화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 비교분석,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도입 시, 지역의 특성과 현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화 주제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서비스 대상의 경우 지역 인구 분포와 도서관 이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서비스 범위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화 프로그램은 특화 주제 분야의 특징을 고려하여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세부 주제분야별로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화 공간의 경우 주제의 특징과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시 체계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특화 전담 인력 배치, 타 기관과의 연계, 홍보 및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wak, Seung-Ji, Younghee Noh, and Jung-A Kang. 2015. "A Study on Cooperatively Building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and Training Policy Information Specialized Librarian." Journal of Social Science, 26(2): 89-122. 

  2.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1996.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Gwacheon 10th Anniversary. Seoul: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3. Kim, hwi-chul. 2003. "A Fundamental Study for Integrated Digital Reference Service: Focusing on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2): 169-186. 

  4. Noh, Young-Hee. 2009. "A Study on How to Introduce Subject-Oriented Service to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Their Siz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01-117. 

  5. Park, Mi-Young. 2007.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15-339. 

  6. Park, On-za. 2005.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for Young Adults: In the Cases of U.S.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 5-33. 

  7. Park, yun-o. 2011. The Study of Specialized Complex Library Preference and Supply Enlargement.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Korea. 

  8. Park, Jeongson. 2003.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ublic Libraries Based on Community. Incheon: Incheon Metropolitan City Bukgu Public Library. 

  9. Park, Hyun-ju. 2012. "Case Study on Specialization of Public Library Collectio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29-47. 

  10. Son, jeong-pyo. 199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ize of University Library Staff."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159-193. 

  11. An, yeong-ju. 1966.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 in Korea. Seoul: Yonsei University. 

  12. Yoon, Hee-Yoon. 2005. "A Study on the Improving Personnel System of Librarianship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3): 45-73. 

  13. Lee, jinmin. 2003. Study on the Management of Local/Community Information in Public Libraries. Ph. D. diss.,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14. Jeong, dong-yeol. 2002.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Subject Specialization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3): 5-23. 

  15. Chung, Jae-Young. 2007. "A Study on the Cooperation Model of Subject Specialist Upbringing Plan: Focusing on the Role of the Subjects Related to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1): 391-409. 

  16. Chung, Jae-Young. 2009. "A Study on Operational Plan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at Academic Libraries: Focus on Case Analysis of Three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119-136. 

  17. Cho, Chan-Sik. 2008.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5(3): 159-178. 

  18. Han, Sang-wan. 1986. "A Study on Functions and Present Situation of Subject Specialists for Information Services in Korea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 42-74. 

  19. Hong, Hee Kyung. 2008.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M.A. thesis.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