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 침엽에서 분리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Three Unreport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Conifer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7 no.1, 2019년, pp.35 - 42  

박혁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군에 서식하는 소나무의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rDNA의 large subunit 영역, beta-tubulin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Paracamarosporiumhawaiiense, Tubakia dryina, Zasmidiumfructigenum이다. 확인된 미기록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solated endophytic fungi from the conifer leaves of Pinus densiflora inhabiting Buan-gun, Jeollabuk-do, Korea. We identified the isolated fungal strains based on phylogenetic analysis performed using the nucleotide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large subunit, and beta-tubulin. W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분비되는 2차 대사산물 중 Alternaria속의 균류에서 분비되는 alternariol [4], Taxus속의 식물 잎에 공생하는 내생균이 분비하는 taxol [5] 등 항암 혹은 항균 작용을 하는 물질들이 확인됨으로써 내생균에 대한 연구의 가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의 계화산 소나무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확인된 국내 미기록종 3종 의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연구 과정에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Paracamarosporiumhawaiiense, Tubakia dryina, Zasmidiumfructigenum이다. 확인된 미기록 균주의 형태적 특성 및 계통적 분석의 결과에 대해 서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내생균이란 무엇인가? 식물과 공생하는 균류인 내생균(endophytic fungi)은 식물체의 조직 내에 감염되지만 병증을 일으키지 않고 살아가는 균류를 지칭한다[1]. 내생균은 식물체 내에서 2차 대사산물을 분비함으로써 숙주 식물이 환경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게 하며[2], 초식곤충 등 포식자에 대한 화학적인 방어를 제공하기도 한다[3].
내생균은 어떤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식물과 공생하는 균류인 내생균(endophytic fungi)은 식물체의 조직 내에 감염되지만 병증을 일으키지 않고 살아가는 균류를 지칭한다[1]. 내생균은 식물체 내에서 2차 대사산물을 분비함으로써 숙주 식물이 환경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게 하며[2], 초식곤충 등 포식자에 대한 화학적인 방어를 제공하기도 한다[3]. 이렇게 분비되는 2차 대사산물 중 Alternaria속의 균류에서 분비되는 alternariol [4], Taxus속의 식물 잎에 공생하는 내생균이 분비하는 taxol [5] 등 항암 혹은 항균 작용을 하는 물질들이 확인됨으로써 내생균에 대한 연구의 가치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소나무의 침엽에서 내생균으로 불리되 균주는 어떤 영역으로 나눠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전북 부안군에 서식하는 소나무의 침엽에서 내생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는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rDNA의 large subunit 영역, beta-tubulin 영역의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동정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3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균주를 확인하였으며, 확인된 종은 Paracamarosporiumhawaiiense, Tubakia dryina, Zasmidiumfructigenum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arroll G. Fungal endophytes in stems and leaves: from latent pathogen to mutualistic symbiont. Ecology 1988;69:2-9. 

  2. Bouton J, Gates R, Belesky D, Owsley M. Yield and persistence of tall fescue in the southeastern coastal plain after removal of its endophyte. Agron J 1993;85:52-5. 

  3. Rowan DD, Latch GCM. Utilization of endophyte-infected perennial ryegrasses for increased insect resistance. In: Bacon CW, White Jr, editors. Biotechnology of endophytic fungi of grasses. Boca Raton, Fla: CRC; 1994. p.169-83. 

  4. Koch K, Podlech J, Pfeiffer E, Metzler M. Total synthesis of alternariol. J Org Chem 2005;70:3275-6. 

  5. Strobel G, Yang X, Sears J, Kramer R, Sidhu RS, Hess W. Taxol from Pestalotiopsis microspora, an endophytic fungus of Taxus wallachiana. Microbiology 1996;142:435-40. 

  6. White TJ, Bruns T, Lee S, Taylor J.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In: Innis N, Gelfand D, Sninsky J, White T, editors. PCR protocols: a guide to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Academic Press, Inc; 1990. p315-22. 

  7. Moncalvo JM, Lutzoni FM, Rehner SA, Johnson J, Vilgalys R.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agaric fungi based on nuclear large subunit ribosomal DNA sequences. Syst Biol 2000;49:278-305. 

  8. Glass NL, Donaldson GC. Development of primer sets designed for use with the PCR to amplify conserved genes from filamentous ascomycetes. Appl Environ Microbiol 1995;61:1323-30. 

  9. Kumar S, Stecher G, Tamura K. MEGA7: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version 7.0 for bigger datasets. Mol Biol Evol 2016;33:1870-4. 

  10. Crous P, Groenewald J. Microdiplodia hawaiiensis. Fungal Planet, no. 7. Utrecht, The Netherlands: CBS-KNAW Fungal Biodiversity Centre; 2006. 

  11. Kowalski T. Tubakia dryina, symptoms and pathogenicity to Quercus robur. Acta Mycol 2006;41:299-304. 

  12. Li YX, Himaya S, Dewapriya P, Kim HJ, Kim SK.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isosclerone isolated from marine fungus Aspergillus fumigatus i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Process Biochem 2014;49:2292-8. 

  13. Damm U, Verkley G, Crous P, Fourie P, Haegi A, Riccioni L. Novel Paraconiothyrium species on stone fruit trees and other woody hosts. Persoonia 2008;20:9. 

  14. Crous PW, Schumacher RK, Wingfield MJ, Lombard L, Giraldo A, Christensen M, Gardiennet A, Nakashima C, Pereira OL, Smith AJ, Growenewald JZ. Fungal systematics and evolution: FUSE 1. Sydowia 2015; 67:81-118. 

  15. Wijayawardene NN, Hyde KD, Bhat DJ, Camporesi E, Schumacher RK, Chethana KWT, Wikee S, Bahkali AH, Wang Y. Camarosporium-like species are polyphyletic in Pleosporales; introducing Paracamarosporium and Pseudocamarosporium gen. nov. in Montagnulaceae. Cryptogam Mycol 2014;35:177-98. 

  16. Soca-Chafre G, Rivera-Orduna FN, Hidalgo-Lara ME, Hernandez-Rodriguez C, Marsch R, Flores-Cotera LB. Molecular phylogeny and paclitaxel screening of fungal endophytes from Taxus globosa. Fungal Biol 2011;115:143-56. 

  17. Zhou J, Diao X, Wang T, Chen G, Lin Q, Yang X, Xu J. Phylogenetic diversit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urable fungal endophytes associated with the mangrove species Rhizophora stylosa and R. mucronata in the South China Sea. PloS One 2018;13:e0197359. 

  18. Sutton BC. Tubakia nom. nov. Trans Br Mycol Soc 1973; 60:164-5. 

  19. Jones J, Holcomb G. Conidium ontogeny and cytology of Tubakia dryina from Louisiana hardwoods. Mycologia 1978;70:1212-6. 

  20. Gennaro M, Gonthier P, Nicolotti G. Fungal endophytic communities in healthy and declining Quercus robur L. and Q. cerris L. trees in northern Italy. J Phytopathol 2003;151:529-34. 

  21. Venkatasubbaiah P, Chilton W. Phytotoxins produced by Tubakia dryina. Mycopathologia 1992;120:33-7. 

  22. Huang F, Groenewald J, Zhu L, Crous PW, Li H. Cercosporoid diseases of Citrus. Mycologia 2015;107:1151-71. 

  23. Lopez D, Cherigo L, Mejia LC, Loza-Mejia MA, Martinez-Luis S. $\alpha$ -Glucosidase inhibitors from a mangrove associated fungus, Zasmidium sp. strain EM5-10. BMC Chem 2019;1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