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 납 생산 공장과 인근 지역의 공기 중 납 농도 수준 비교
Comparison of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and Around Lead Production Plant 원문보기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29 no.1, 2019년, pp.34 - 41  

박창환 (대한산업보건협회 경북산업보건센터) ,  박윤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  오윤희 (원진직업병관리재단 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최인자 (원진직업병관리재단 부설 노동환경건강연구소,) ,  차원석 (근로복지공단 직업환경연구원) ,  최상준 (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and around lead production plant. Methods: Airborne lead concentration was monitored simultaneously inside of the processes of lead recycling factory and outside of factory which include stack, boundary of factory and res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납 생산 공장 내부와 배출구, 부지 경계 및 인근 지역과 대조군 지역을 선정하여 동시간대에 공기 중 납 농도 수준을 평가하여, 납 생산 공장이 인근 지역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 중 납 농도에 납 생산 공장이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납 생산 공장의 굴뚝주변에서의 공기 중 평균 납 농도 수준은 대기환경보전법의 특정대기유해물질의 배출적용기준인 50 ㎍/㎥보다 낮았지만 최댓값의 경우는 기준을 초과하였고 공장 인근 지역의 공기 중 납 농도 수준이 대조군 지역에 비해 약 2배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납 생산 공장과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공기 중 납 농도 수준이 감소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납 생산 공장이 인근 지역의 공기 중 납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납 발생을 억제할 방책이나 납 배출저감을 위한 다양 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
납(lead)이란 무엇인가? 납(lead)은 뛰어난 가공성으로 인해 인류가 오랜시간 동안 사용한 중금속 중의 하나로 산업체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원자재로 이용되었으며, 특히 20세기에 들어와서 자동차의 등장과 더불어 납의 수요는 더욱 증가하였다(Fischbein & Hu, 2007). 납 수요의 증가는 납 사업장 근로자들의 납중독을 유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기환경의 납도 증가시켜 일반 대 중의 과다 납 노출을 초래하였다(Zenz, 1994).
납 수요의 증가는 어떤 문제점을 유발하였는가? 납(lead)은 뛰어난 가공성으로 인해 인류가 오랜시간 동안 사용한 중금속 중의 하나로 산업체 여러 분야에서 필수적인 원자재로 이용되었으며, 특히 20세기에 들어와서 자동차의 등장과 더불어 납의 수요는 더욱 증가하였다(Fischbein & Hu, 2007). 납 수요의 증가는 납 사업장 근로자들의 납중독을 유발하였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기환경의 납도 증가시켜 일반 대 중의 과다 납 노출을 초래하였다(Zenz, 1994). 대부분의 납중독은 장기간 동안 저농도에 노출되어 발생되 는 만성 중독으로 신경, 신장 및 내분비계 등에 해로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Weinhold, 2004), 혈중 납의 증가는 전신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ashk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JW, Kim NS, Choi KS, Ham JO, Lee BK. The change of air lead concentrations in litharge making and smelting industri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10;20(1):10-18 

  2. Choi SH, Kim NS, Kim JH, Cho KS, Ham JO, et al. A study on the change of air lead concentrations in lead-acid battery plant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7;17(4):261-271 

  3. Fischbein A, Hu H.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exposure to lead. I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ed Rom WN, Boston, Lippincott, 2007. p. 954-990 

  4. Ho MK, Lim YW, Lim JH, Yang JY, Sin DC. Association between blood mercury concentration and factor of health/life. Korean J Environ Toxicol 2006;21(3):229-238 

  5. Hornung RW, Reed LD. Estimation of average concentration in the presence of nondetectable values. Appl. J Occup Environ. Hyg 1990;5(1) 

  6.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sup 7, 2006;87 

  7. International Lead and Zinc Study Group, ILZSG, Review of trand in 2017 lead 

  8. Kang BW, Kim MJ, Baek KM, Seo YK, Lee HS, et al.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airborne heavy metals in major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8;34(2):269-280 

  9. Kim HK, "Investigate the actual situation of lead worker lead poisoning." The Kookje Daily News, December 27, 2017 [Accessed 2018 December 5]; Available from:URL: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 0300& key20171228.22011012452 

  10. Kim NS, Kim JH, Jang BK, Kim HS, Ahn KD, et al. The association of lead biomarkers of bead workers with airborne lead concentration in lead industries.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2007;17 (1):43-52 

  11. Kim SH, Kim YH, An HC, Sung HS, Sim CS. Levels of blood lead and urinary cadium in industrial complex residents in ulsan. An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mental Medicine 2017. p. 29-26 DOI: 10.1186/s40557-017-0179-7. 

  12. Kim Y, Lee H, Lee CR, Park DU, Yang JS, et al. Evaluation of lead exposure in workers at secondary lead smelters in South Korea: with focus on activity of erythrocyte pyrimidine 5-nucleotidase (P5N). Sci Total Environ 2002;286(1-3):181-9 

  13. Kim YD, Eom SY, Yim DH. Enviromental exposure to arsenic, lead and cadium in people living near janghang copper smelter in korea. J Korean Med Sci 2016;31(4):489-496 DOI: 10.3346/jkms.2016.31.4.489 

  14. Koo BH, Kim YK, Lee SG, Kang DM, Kim JE. Detection of cases and a cause of lead exposure in korean steel company.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2;24(4): 441-448 

  15. Ministry of Environment(MoE), Atmospheric Environment Annual Report, 2017. p. 17-26 

  16. Ministry of Environment(MoE), Enforcement Rule of Atmospheric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2017 

  1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2009 

  1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2016 Employee Health Checkup Results ; 2016. p. 23 

  19.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Lead method 2016. 2003. p. 1-8 

  20. Park EJ, Kang MI, You DE, Kim DS, Yu SD, et al.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fine particles collec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J Environ Toxicol 2005;20(2):179-186 

  21. Park JU, Oh SW, Kim SH, Kim YH, Park RJ, et al. A study on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s and habitual tobacco and alcohol use in koreans with no occupational lead exposur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8;20(3):165-173 

  22. Pashko R. Camaj, Joseph H. Graziano, Emine Preteni, Dusan Popovac, et al. Long-Term Effects of Environmental Lead Exposure on Blood Pressure and Plasma Soluble Cell Adhesion Molecules in Young Adults: A Follow-Up Study of a Prospective Cohort in Kosovo. J Environ Public Health 2018;(4):1-10 DOI: 10.1155/2018/3180487 

  23. Pirkle JL, Kaufmann RB, Brody DJ, Hick man T, Gunter EW, et al. Exposure of the U.S Population to lead, 1991-1994 Environ Health Perspect 1998;(106):745-750 DOI: 10.1289/ehp.98106745 

  24. Song SH, Eom SY, Kim YD, Kim H, Hong JS. Blood Lead Level in Populations Resident in Some Abandoned Mine Area. Environ Sci 2010;19(4):527-532 

  25. Statistics Korea(KOSTAT), Air pollution status 2015. p. 8 

  26.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Health Effects and Care of Lead. 2002. p. 61-66 

  27.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Final review of scientific information on lead", 2010. p.60-72 

  28. Weinhold B. Getting to the heart of the matter; enviromental cardioligy. Environ Health Perspect 2004;112(15):881-887 DOI: 10.1289/ehp.112-a880 

  29. WHO, Children's health and environment-developing action plans, 2005. p. 6 

  30. Zenz C. Lead and Its Compounds. In Leon A & Zenz C, Occupational medicine, Chicago: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Inc. 1994. p. 506-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