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 -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A Study on Planning of Korean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Focused on Segwon Jeong's Improved Hanok Plann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123 - 130  

최호순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 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집합주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오늘날 집합주거문화가 서구사회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도시적 그리고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정세권이 계획한 개량한옥은 기존의 한옥의 단점을 보완하며 한옥의 표준화와 같은 한옥의 물리적인 측면의 현대화의 가치도 있지만, 한옥 내부공간의 현대화는 한국형 집합주거문화의 시초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수행한 정세권의 개량한옥 주거단지는 향후 우리사회에 필요한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 문화 계획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at carrying out basic research on the future housing culture plan by the aging and low fertility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Korean society faces today. In the future, the housing culture will be transformed into a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베네저 하워드의 도시계획이 처음 적용되어 1904년부터 계획된 Letchworth 도시계획과 약 30년 이후 우리나라의 최초 부동산 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개발된 가회동 31, 33번지를 비교해 보면 두 도시계획의 시작은 인구과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나 도시계획적 측면에서 서로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Letchworth 도시계획이 런던 대도시 외곽의 신도시로 계획된 반면에 정세권의 가회동 계획은 경성중심의 기존도시 안에 계획 되었고, 당시 단층형태인 한옥주거형태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소규모의 대지를 계획함으로서 여러 채의 한옥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한옥집단지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17]. 이러한 이유로 가회동의 1가구당 필지면적이 Letchworth에 비해 대략 두 배 정도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 그 이유는 현재 우리사회는 불특정 대다수를 수용하기 위한 집합주거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 고령화와 저출산의 사회 현상에 따른 세분화되는 사회 계층에 대응해야할 새로운 주거문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는 우선 그동안 도시계획사나 건축사 분야에서 집합주거문화에 관해 다룰 때 집합주거문화는 늘 서구에서 태동되었다는 학풍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1920년대 우리나라 전통주거 양식인 한옥을 기본으로 집합주거문화가 계획되었음을 밝히고자 하며, 이러한 1920년대 진행되었던 우리나라 양식의 집합주거가 새로운 ‘융합 집합주거문화’로서 오늘날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해 다양화 되는 사회현상에 대응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 본연구를 통해 그 동안 한옥이 규격화와 대량화 생산이 어렵고 고층화 할 수 없는 목구조라는 이유로 우리나라의 집합주거에 관한 도시계획학적 그리고 건축학적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함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또한 비록 구체화되지는 못했지만 콘크리트 재료로 건축분야를 현대화한 서구사회와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는 우리나라 스스로에 의해 진행된 한국형 건축의 현대화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 구체적인 공간계획을 살펴보면 집의 진입로인 현관 북쪽에 화장실을 배치하여 집 내부로 화장실이 있어 기존 한옥의 외부에 배치된 공간을 실내로 끌어들인 실용적인 측면이 강하다. 또한 상층부의 마루 남쪽으로는 서재와 안방이 배치되고 북쪽으로는 막혀있어 기존 한옥의 대청마루의 단열이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집의 하층부에는 세탁방 그리고 주방과 식당사이에는 아궁이를 배치하여 상층부는 주거민의 사적인 공간 그리고 하층부는 주거의 서비스공간으로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함과 동시에 주거민의 편의를 극대화 하였다.
  • Letchworth도시 계획과 가회동 31, 33번지 계획은 하워드와 정세권에 의해 계획된 첫 번째 도시 계획이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이 도시 계획적 관점의 연구를 위해서 영국의 전원도시와 정세권의 한옥집단주거계획을 비교하고자 함은 1930년대 당시 영국의 전원도시를 차용한 일제의 신도시 개발 계획에 의해 경성을 비롯한 주변도시계획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경성의 인구를 분산하기 위해 수원, 인천, 김포, 개성, 의정부, 춘천, 이천, 김량장 등의 8개 도시를 신도시로 개발한다는 1937년 대경성 중심의 100년 계획이 있다[13].
  • 본 연구는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따른 급속한 가족 모델의 변화에 비해 가족을 수용할 주거공간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현실 속에서 최근에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주거문화에 주목하였다. 새로운 주거문화 중에서도 서울과 같은 도심지를 중심으로 생겨나고 있는 ‘쉐어하우스’ 주거모델은 1인 주거를 대상으로 여러 세대가 동시에 공존할 수 있다는 점과 무엇보다도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사회초년생 및 고령자가 접근 가능한 주거모델[5] 로서 우리사회의 변화하는 가족모델에 대응 가능한 주거라 사료된다.
  • 본 연구는 그 동안 진행된 연구들이 정세권의 개량한옥주택에 관해 건축적인 측면에서만 진행된 것에서 더 나아가 오늘날 분화되는 사회계층과 관련한 집합주거문 화와 관련하여 정세권의 도시계획 및 개량한옥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로 불리는 정세권은 우리나라 전통한옥을 대상으로 도시계획가 그리고 건축가로서 활동을 하였다.
  •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이 당면한 여러 사회문제들 중에서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에 대응할 새로운 주거문화를 계획함에 있다. 이미 14년 이전부터 OECD는 2004년부터 2040년 까지 대한민국의 고령화 증가율이 전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예상하였고, 이와 같은 고령화 진행속도는 이웃나라 일본보다도 더 빠르게 진행되는 양상이다[1].
  •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가족구성원들이 공존 할 수 있는 주거문화를 ‘융합 집합주거문화’라 개념화 하고 우리나라의 주거문화에서 융합 집합주거문화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제와 관련한 주거부분의 변화를 주목하여 핵가족화와 다변화 하는 사회 조직 속에서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주거문화를 ‘융합 집합주거문화’라 개념화 하고 우리나라의 주거문화에서 융합 집합주거문화의 근원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1920년대 우리나라 전통주거 양식인 한옥을 기본으로 집합주거문화가 계획되었음을 밝히고자 하며, 이러한 1920년대 진행되었던 우리나라 양식의 집합주거가 새로운 ‘융합 집합주거문화’로서 오늘날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해 다양화 되는 사회현상에 대응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제와 관련한 주거부분의 변화를 주목하여 핵가족화와 다변화 하는 사회 조직 속에서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공존할 수 있는 주거문화를 ‘융합 집합주거문화’라 개념화 하고 우리나라의 주거문화에서 융합 집합주거문화의 근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 개발업자 정세권이 계획한 가회동 31, 33번지 집합주 거지역과 그가 계획한 중당식 개량한옥으로 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 및 건축계획의 근원을 찾고자 하였다. 본연구를 통해 그 동안 한옥이 규격화와 대량화 생산이 어렵고 고층화 할 수 없는 목구조라는 이유로 우리나라의 집합주거에 관한 도시계획학적 그리고 건축학적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한계를 극복함에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 이러한 이유로 서방국가의 도시계획사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온 반면에 우리나라의 도시계획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도시 계획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집합주거 도시계획가 정세권을 분석하고자 한다.
  • 하지만 우리나라 전통 주거 형태가 목구조 기반이라는 점과 집합주거가 다층 건축물이어야 한다는 선입관으로 인해 우리의 집합주거에 관한 도시 및 건축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의 한옥 주거단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집합주거 문화가 서구에서 수입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이미 집합주거문화가 존재했음을 밝히고자 한다.
  •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주거문화는 서구사회의 전유물이라는 인식으로 대부분의 집합주거에 관한 연구는 서구사회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정세권의 개량한옥인 중당식 개량한옥의 분석을 통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함을 밝혔다. 정세권은 한옥이 목구조라는 재료의 한계로 인하여 다층형 집합주거형식이 아닌 최대 2개 층의 개량한 옥을 제안했지만,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각 실을 배치한 것과 2층의 건물을 계획함으로서 한 건물에 서로 다른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이러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에베네저 하워드는 런던의 외곽지역에 ‘전원도시’라는 신도시를 계획하여 런던 시민들을 신도시로 이주시킴으로서 런던의 과밀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주거문화사에서 개량한옥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본다면 그 역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다. 한옥으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전통주거 건축물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시작된 개량한옥의 변천사는 첫째, 1900년 초부터 일제강점기동안 일본을 통한 새로운 주택문화가 우리나라 한옥에 접목되었는데, 생활개선운동이라는 명분하에 한옥의 주거환경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당시 구체적인 한옥의 변화는 한옥이 가진 온돌의 장점은 살리되, 부엌과 화장실의 개량을 통해 위생조건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후 주거문화는 어떻게 변화할 것 인가?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 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집합주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오늘날 집합주거문화가 서구사회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도시적 그리고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는?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 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저출산 현상의 문제는 이미 우리사회에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어떤 문제가 있는가? 또한 저출산 현상의 문제는 이미 우리사회에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이어져 이미 폐교현상이 진행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사회가 직면한 가장 심각한 사회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는 여러 사회분야에 영향을 주는데 특히 인간의 정주성과 관련 있는 주거문 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