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주족과 인삼

The Manchus and ginseng in the Qing period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1, 2019년, pp.11 - 27  

김선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만주족의 선조인 여진족은 그들이 거주하는 만주의 자연환경에 따라 채집과 수렵활동을 주된 생계수단으로 삼았다. 여진족의 거주지는 대부분 삼림이 울창하고 하천이 발달하여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지로는 적합했지만 농경에는 맞지 않았다. 여진족 사회조직 역시 채집과 수렵활동에 적합한 방식으로 형성되었고 그것은 이후 청나라 고유의 사회 군사조직인 팔기제도로 발전했다. 한편 채집과 수렵으로 획득한 자연자원을 주변의 농경사회과 교환하는 일은 여진 사회의 발전에 절대적으로 중요했다. 인삼을 비롯한 만주의 자연자원을 중원의 한인들과 교역하는 일은 오래전부터 있었지만, 대외무역이 여진 사회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할 만큼 확대된 것은 16세기의 현상이었다. 당시 외부에서 유입된 은은 중국 내지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고 나아가 만주를 비롯한 명의 변경지역의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만주의 자연환경에 기초한 수렵 채집활동이 16세기에 이르러 중원에서 유입된 은과 조우하여 변경 사회를 자극했고, 분산되어 있던 여진 부락은 경쟁과 통일의 과정을 거쳐 마침내 만주족으로 변모하여 1636년 청나라를 건설하기에 이르렀다. 1644년 만주족은 중원 정복에 성공하고 북경으로 수도를 옮겼다. 중원으로 들어간 후에도 청황실의 만주족은 만주 인삼의 가치를 잊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이익을 독점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7세기 말까지 만주 인삼은 만주족의 제도인 팔기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만주에 주둔한 팔기 병사들은 민간인의 출입을 통제하여 인삼의 생산지를 한인의 접근으로부터 보호했다. 만주 인삼의 채취는 황실 내무부, 부트하 울라 총관, 성경상삼기 등 황제에게 직속된 기구에서 담당했다. 이들은 부트하 병정이나 팔기 병정을 파견하여 지정된 장소에서 정해진 액수의 인삼을 채취하여 납부하게 했다. 황실의 귀족만이 만주에 사람을 보내 인삼을 채취할 수 있는 특권을 누렸고, 그조차 엄격히 제한되었다. 18세기도 만주의 인삼은 여전히 국가에 의해 독점적으로 관리되었다. 청의 인삼 정책은 황실의 발상지인 만주와 그 자연자원을 민간인의 침탈로부터 보호하고 만주족 고유의 전통을 유지한다는 원칙에 따라 운영되었다. 동시에 만주의 인삼은 국가의 중요한 재정 수입원으로 개발되었다. 국가가 필요한 만큼의 수입을 징수하기 위해서는 인삼을 대량으로 채취해야 했는데, 부트하 병정이나 팔기 병정을 파견하는 것만으로는 안정적인 인삼세수를 기대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상인들이 인삼업에 개입하기 시작했고 청의 인삼 정책은 이후 점점 더 상인에 의존하는 방향으로 발전해갔다. 청대 인삼의 국가 독점은 1853년에 공식적으로 중단되었지만, 부유한 상인이 채삼인을 고용하고 인삼을 대신 납부하는 현상은 18세기에 이미 나타나고 있었다. 청대 만주족의 인삼 독점은 사실상 한인 상인의 참여로 유지되었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urchens, the ancestors of the Qing Manchus, had lived scattered in Manchuria and had made their living mostly on ginseng gathering and animal hunting. Their residential areas, rich with deep forest and numerous rivers, provided great habitation for all kinds of flora and fauna, but not so prop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인여진이란 이름에서 야인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이유는? 야인여진은 흑룡강, 눈강 및 송화강 일대에 널리 흩어져 거주했다. 야인(野人) 이라는 이름은 명나라 사람들이 이들을 상대적으로 낙후된 집단으로 여겼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었다. 해서여진은 원래 해서강이라고 불렸던 송화강 일대에 거주했다.
청대에 인삼이란? 조익의 시는 사실 인삼 가격이 치솟아 가난한 사람들이 약재를 구입할 수 없는 당시의 현실을 개탄하기 위한 것이 었다. 하지만 여기에서 드러나는 것은 청대에 인삼이란 장백산에서 자라는 것이며 특히 청나라의 상서로운 왕의 기운(王氣)을 상징하는 물건으로 여겨졌다는 점이다.
여진족들에게는 요동에서 한인과 거래할 수 있는 호시무역이 매우 절실했던 이유는? 명으로부터 여진족이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경제적 이익은 요동의 호시(互市)무역이었다. 사실 북경 조공을 통한 무역만으로는 여진 사회에 필요한 중국산 물품을 모두 얻을 수 없었고, 북경을 방문하고자 하는 이들이 모두 방문 허가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아니었다. 따라서 여진족들에게는 요동에서 한인과 거래할 수 있는 호시무역이 매우 절실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고려대학교 만문노당역주회, 만문노당역주 1-4권 (소명출판사, 2017). 

  2. 고려대학교 만주실록역주회, 만주실록역주 (소명출판, 2014). 

  3. 기시모토 미오 저, 홍성화 역,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전통사회의 형성, 역사와 세계 45 (2014). 

  4. 金九鎭, 明代 女眞의 中國에 대한 公貿易과 私貿易 東洋史學硏究 48집 (1994). 

  5. 김보성, 韓.中 人蔘詩의 양상과 특징 漢文古典硏究 36 (2018). 

  6. 김선민, 명말 요동 변경지역을 둘러싼 명-후금-조선의 삼각관계 중국사연구 55 (2008). 

  7. 김선민, 인삼과 강역: 후금-청의 강역인식과 대외관계의 변화, 명청사 연구 30 (2008). 

  8. 김선민, 17-18세기 청대 인삼정책의 변화, 중국학보 74 (2015). 

  9. 김선민, 청대 만주족 황실과 만주의 자연자원 명청사연구 46 (2016). 

  10. 김한규, 요동사 (문학과지성사, 2004). 

  11. 마크 엘리엇 저, 이훈.김선민 역,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12. 박원호, 明初朝鮮關係史硏究 (일조각, 2002). 

  13. 유소맹 저, 이훈 외 역, 여진부락에서 만주국가로 (푸른역사, 2012). 

  14. 이훈, 만주족 이야기, 너머북스, 2018. 

  15. 谷井陽子, 八旗制度の?究 (京都大??術出版?, 2015). 

  16. 今村?, 人蔘史 1-7 (朝鮮總督府, 1939). 

  17. ?冬 主編, 中國東北史 3권 (吉林文史出版社, 1998). 

  18. ?永功, 淸代盛京蔘務活動述略 淸史硏究 (2000-1). 

  19. 杉山淸彦, 大淸帝國の形成と八旗制 (名古屋大學出版會, 2015). 

  20. 岩井茂樹, 十六.十七世紀の中國邊境社會 小野和子 編 明末淸初の 

  21. 社會と文化 (京都大學 人文科學硏究所, 1996). 

  22. 阮葵生, 茶餘客話 明淸筆記史料 (中國書店, 2000). 

  23. 遼寧省?案館 編譯, 盛京蔘務?案史料 (遼海出版社, 2003). 

  24. 王景澤, 對淸代封禁東北政策的再認識, 東北師大學報 166 (1997). 

  25. 王雪梅, 淸代打牲烏拉總管衙門硏究, (中央民族大學 博士學位論文, 2012). 

  26. 王佩環, 淸代東北采蔘業的興衰 社會科學戰線 (1982-4). 

  27. 李治亨 主編, 東北通史 (中州古籍出版社, 2003). 

  28. 張杰, 柳條邊, 印票 與淸朝東北封禁新論, 中國邊疆史地硏究 9:1 (1999). 

  29. 蔣竹山, 人蔘帝國: 淸代人蔘的生産消費與醫療 (浙江大學出版社, 2015). 

  30. 定宜莊, 淸代八旗駐防硏究 (遼寧民族出版社, 2002). 

  31. 丁海斌. 時義, 淸代陪都盛京硏究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32. 叢佩遠, 東北三寶經濟簡史 (農業出版社, 1987). 

  33. 叢佩遠, 中國東北史 4 (吉林文史出版社, 1998). 

  34. 欽定大淸會典事例 (上海古籍出版社, 1995). 

  35. Bello, David. Across Forest, Steppe, and Mountain: Environment, Identity, and Empire in Qing China's Borderlan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36. Crossley, Pamela Kyle. A Translucent Mirror: History and Identity in Qing Imperial Ide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7). 

  37. Edmonds, Richard. "The Willow Palisade.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69, no. 4 (1979). 

  38. Lee, Robert H. G. The Manchurian Frontier in Ch'ing Histor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0). 

  39. Li, Gertraude Roth. "State Building Before 1644,"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 9, Part 1, The Ch'ing Empire to 1800, edited by Willard J. Peters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0. Schlesinger, Jonathan. A World Trimmed with Fur: Wild Things, Pristine Places, and the Natural Fringes of Qing Ru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