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인삼의 유래 및 효능의 서지학적 고찰
Bibliographic consideration on the efficacy and the origin of Korean ginseng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1, 2019년, pp.43 - 56  

곽이성 (한국인삼공사 R&D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려인삼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특산물로서 가장 인기있는 건강식품중의 하나로 한반도(북위 33~48도)가 원산지이다. 인삼은 중국 전한 시대 '사유'에 의해 쓰여진 "급취장" (BC 48~BC 33)에 최초로 언급되어 있으며, 1145년 고려시대 김부식이 지은 "삼국사기"를 보면 고구려, 백제, 신라가 의약적 치료용으로 중국에 인삼을 수출하기 시작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인삼의 인공재배에 대한 기록은 1596년 중국 명나라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중기이후 야생삼이 감소하는 시기와 맞물려 숙종 13년(1687년) "승정원일기"에 '묘삼'의 기록이 나타난다. 묘삼은 벼의 이앙법을 활용한 독창적인 발명으로 1600년대 초반에 인삼의 인공재배법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한편 홍삼에 관해서는 1123년 중국 송나라 '서긍'이 지은 "고려도경"에 '숙삼'(인삼을 쪄서 건조한 삼)이라는 용어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이것이 홍삼에 대한 최초 기록이다. 조선 중종 17년(1552년) "조선왕조실록"에 '판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풀로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나오고 선조 35년(1602년)에는 '파삼'(삼을 찌고 압착하여 얇은 판처럼 만든 후 실로 꿰어 붙인 삼)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중종(1506~1545) 시기부터 선조(1567~1608) 시기에 홍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홍삼의 제조법은 그 전부터 이루어졌다고 추정되지만 조선 중종~선조 시기에 더욱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홍삼'이란 용어는 정조 21년(1797) "조선왕조실록(정조실록)"에 처음 등장하며, 고종 36년(1899) "조선왕조실록(고종실록)"에는 대한제국 궁내부 내장원 삼정과에서 홍삼을 제조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아울러 순조 10년(1810년)에는 증포소를 개성으로 이전한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이시기에 대규모 홍삼제조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요약하면 조선 숙종시대에 확립된 인삼 인공재배기술과 정조시대의 홍삼제조법, 그리고 순조시대의 증포기술 등이 결합하여 대량생산 체계를 갖추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후 1916년 '김택영'이 지은 "소호당집"에는 홍삼의 제조방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전통적 한국홍삼 제조법의 모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삼의 효능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BC 83-96년 중국에서 저술된 "신농본초경"으로 이 효능은 그 이후 여러 의학서에서 지속적으로 계승되어 오고 있다. 앞으로 고려인삼에 대한 역사적 기록물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보존되어야 하며 이러한 서지학적 노력은 과학적 연구결과와 더불어 세계속에 고려인삼의 독창성을 알리고 유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special and healthful products originating from Korea for 4500 to 5000 years. The word of ginseng was first mentioned in JiJuZhang(急就章), written by ShiYou during the reign of King Yuah Di of the Chien Ha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홍경이 저술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내용 중 칠효설이란? 한편 인삼의 대표적인 효능으로 알려진 칠효설(七效說) 은 상술한 도홍경이 저술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의 내용61) 을 근거로 중국에서 요약하여 전승되어 온 것으로 자세한 기술연대 및 저자는 나와 있지 않다. 칠효설의 내용은 보기구탈(補氣救脫), 익혈복맥(益血復脈), 양심안신 (養心安神), 생진지갈(生津止渴), 보폐정천(補弊定喘), 건비지사(建脾止瀉), 탁독합창(托毒合瘴) 등 일곱 가지 인삼의 효능을 말한다. 62)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보기구탈’은 원기를 보하여 주는 것으로 각종 급만성의 병으로 인하여 체력이 쇠약해졌을 때나 일시적인 허탈상태에 효과가 있다.
인삼의 유래는? 중국(中國)에서는 인삼을 ‘런센(renschen)’이라고 부른다. 인삼의 삼(蔘)은 우리나라 고유 언어인 ‘심’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인삼도 사람의 형태를 닮은 심이라는 의미에서 인삼(人蔘)으로 유래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의 명칭이 어떻게 유래되었는지 자세히는 알 수 없지만 ‘심’이 중국으로 건너가 현재의 한자인 ‘蔘’으로 변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고려인삼학회, 고려삼의 이해, pp. 9-47 (한림원, 1995). 

  2. 고려인삼학회, 고려인삼의 이해, pp. 9-40 (한림원, 2008). 

  3. 공립신보, 1908.08.05. 

  4. 김홍대, 한국의 산삼 (김영사, 2005). 

  5. 남기열, '고려인삼의 주요효능과 그 임상적 응용', 고려인삼학회지, 26(3), p. 111-131 (고려인삼학회, 2002). 

  6. 농림수산식품부, '검사기준방법(제18조의 3관련)', 인삼산업법, pp. 68 (2012). 

  7. 대한제국, 법률 제 14호, 홍삼전매법 제정 및 공포, 1908년 7월 

  8. 삼정요람: Bulletin of ginseng policy,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The Greater Korean Empire, 1908 

  9. 양태진, 고려인삼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36 (고려인삼학회, 2018). 

  10. 옥순종, 교양으로 읽는 인삼이야기, (이가서, 2005). 

  11. 옥순종, '고려인삼의 역사', 식품문화 한맛한얼, 제2권 3호, pp. 59-62 (한국식품연구원, 2009). 

  12. 옥순종, 은밀하고 위대한 인삼이야기 (이가서, 2017). 

  13. 이마무라 토모, 인삼사, pp. 619-624 (조선총독부 전매국, 1935). 

  14. 임진호, '한의학적으로 풀어쓴 한중일 인삼이야기', 고려인삼누리집, pp. 47-48 (한국인삼협회 홈페이지). 

  15. 한국인삼사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pp 30-549 (한국인삼홍보사, 2002). 

  16. 장일무 (한국인삼공사), 한국인삼산업사, pp. 88-296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8). 

  17. 한국인삼연초연구원, 고려인삼, pp. 2-100 (천일인쇄소, 1993). 

  18. 한국인삼연초연구원, '성분 및 효능편', 최신고려인삼, pp. 3-7 (천일인쇄사, 1996) 

  19. 식품의약품안전청(KFDA), 건강기능식품공전, pp. 50-53 (2012). 

  20. Nam-Hoon Kim ets, "Genome and evolution of the shaperequiring medicinal herb Panax ginseng ," Plant Biotechnology Journal, 16(11), p. 1-14 (Society Experimental Biology and the Association of Applied Biologists, 2018). 

  21. SamMyung Lee, Bong-Seok Bae, HeeWon Park, Nam-Geun Ahn, Byung-Gu Cho, Yong-Lae Cho, Yi-Seong Kwak, 'Charaterization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history, preparation method and chemical composition', Journal of Ginseng Research, 39(4), p. 384-391 (Elsevier,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