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곰소만의 해수 및 패류에 있어서 장염비브리오균(Vibrio parahaemolyticus)과 비브리오패혈증균(Vibrio vulnificus)의 분포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in Seawater and Shellfish at Gomso Bay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2 no.2, 2019년, pp.114 - 120  

이동수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신혜영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박권삼 (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신일식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ase of being contaminated with pathogenic Vibrio, shellfish pose a serious threat for public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 vulnificus in the seawater, bottom deposit and shellfish samples collected from the Gomso Bay, west coa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6b) 등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해수와 패류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분포를 조사한 논문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류생산해역의 위생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곰소만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와 해수, 해저 퇴적물 등 환경을 대상으로 장염 비브리오균과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염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이 발생하는 이유는? 장염 비브리오균에 의한 식중독은 오염된 어류, 패류, 두족류등의 섭취(Iwamoto et al., 2010; Huang et al.
곰소만 해역이 퇴적물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곰소만 해역은 만의 형태로 면적은 76 km2, 평균 수심은 6-8 m, 조수간만의 차는 6 m로 썰물 때는 넓은 간석지가 드러나기 때문에 이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경우 수심이 낮아 뻘 등 퇴적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썰물 때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 패각의 온도가 상승하기도 하며, 밀물 때에는 해수에 잠겨 해수에 떠 오른 퇴적물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해역이다. 양식 면허 허가 건수는 250개소로 어류, 패류, 해조류 등 다양한 수산물을 양식하고 있으며, 바지락, 가무락, 동죽, 대합, 꼬막, 김 등이 주로 생산된다(MOF, 2016).
곰소만 해역이란? 전라북도 부안군과 고창군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곰소만 해역은 만의 형태로 면적은 76 km2, 평균 수심은 6-8 m, 조수간만의 차는 6 m로 썰물 때는 넓은 간석지가 드러나기 때문에 이 해역에서 생산되는 패류의 경우 수심이 낮아 뻘 등 퇴적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또한 썰물 때는 공기 중에 노출되어 패각의 온도가 상승하기도 하며, 밀물 때에는 해수에 잠겨 해수에 떠 오른 퇴적물의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해역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PHA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1984. Laboratory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 water and shellfish. 5th ed. APHA, Washington DC, U.S.A. 

  2. Baker-Austin C, Stockley L, Rangdale, R and Martinez-Urtaza J. 2010. Environmental occurrence and clinical impact of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a European perspective. Environ Microbiol Rep 2, 7-18. https://doi.org/10.1111/j.1758-2229.2009.00096.x. 

  3. Di Pinto A, Ciccarese G, De Corato R, Novello L and Terio V. 2008. Detection of pathogenic Vibrio parahaemolyticus in southern Italian shellfish. Food Cont 19, 1037-1041. https://doi.org/10.1016/j.foodcont.2007.10.013. 

  4. D'Souza C, Kumar BK, Kapinakadu S, Shetty R, Karunasagar I and Karunasagar I. 2018. PCR-based evidence showing the presence of Vibrio vulnificus in wound infection cases in Mangaluru, India. Inter J Infect Dis 68, 74-76. https://doi.org/10.1016/j.ijid.2018.01.018. 

  5. Edwards WJ, Rehmann CR, McDonald E and Culver DA. 2005. The impact of a benthic filter feeder: Limitations imposed by physical transport of algae to the benthos. Can J Fish Aquat Sci 62, 205-214. https://doi.org/10.1139/F04-188. 

  6. Elmahdi S, Parveen S, Ossai S, DaSilva LV, Jahncke M, Bowers and Jacobs J. 2018.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recovered from oysters during an oyster relay study. Appl Environ Microbiol 84, e01790-17. https://doi.org/10.1128/AEM.01790-17. 

  7. Hartnell RE, Stockley L, Keay, W, Rosec JP, Hervio-Heath D, Van den Berg H, Leoni F, Ottaviani D, Henigman U, Denayer S, Serbruyns B, Georgsson F, Krumova-Valcheva G, Gyurova E, Blanco C, Copin S, Strauch E, Wieczorek K and Baker-Austin C. 2019. A pan-European ring trial to validate an International standard for detection of Vibrio cholerae,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in seafoods. Inter J Food Microbiol 288, 58-65. https://doi.org/10.1016/j.ijfoodmicro.2018.02.008. 

  8. Huang YS, Hwang CA, Huang L, Wu VCH and Hsin-I Hsiao HI 2018. The risk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s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raw oysters as affected by processing and distribution conditions in Taiwan. Food Cont 86, 101-109.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7.10.022. 

  9. Iwamoto M, Ayers T, Mahon BE and Swerdlow DL. 2010. Epidemiology of seafood-associated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Clin Microbiol Rev 23, 399-411. https://doi.org/10.1128/CMR.00059-09. 

  10. Jang YM, Park SK, Jeong HJ, Lee JW, Yoon YH, Park KS, Shin IS and Kim YM. 2018. Quantitative cell count of Vibrio vulnificus cells based on MPN-PCR Method. J Food Hyg Saf 33, 412-415. https://doi.org/10.13103/JFHS. 2018.33.5.412. 

  11. Kaysner CA, Abeyta C JR, Welell MM, DePaola A JR, Stott RF and Leitch JM. 1987. Virulent strain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estuaries of the United States west coast. Appl Environ Microbiol 6, 1349-1351. 

  12. KCDC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This year's first case of Vibrio vulnificus sepsis. Retrieved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6-MNU2804-MNU2937&cid121780 on Jun 12, 2018. 

  13. Kim TO, Eom IS, Kim HD and Park KS. 2016a.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strains Isolated from Gomso Ba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582-588. http://dx.doi.org/10.5657/KFAS.2016.0582. 

  14. Kim TO, Eom IS, Park KH and Park KS. 2016b.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he presence of virulence genes in Escherichia coli strains Isolated fro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omso Bay,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9, 800-806. http://doi.org/10.5657/KFAS.2016.0800. 

  15. Lee JK, Jung DW, Eom SY, Oh SW, Kim YJ, Kwak HS and Kim YH. 2007. Occurr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oysters from Korean retail outlets. Food Control 19, 990-994. https://doi.org/10.1016/j.foodcont.2007.10.006. 

  16.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Korean food standards codex. Retrieved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foodcode/01_01.jsp on Jun 17, 2017. 

  17.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fips.go.kr/jsp/sf/ss/ss_kind_law_list.jsp?menuDepth070104 on Jun 1, 2017. 

  18. Na HY, Hong SH and Chung GT. 2016. The relationship of pathogenic Vibrio spp. with marine environmental factors, Korea, 2013-2105. Pub Health Weekly Rep 9, 154-158. 

  19. Newton A, Kendall M, Vugia DJ, Henao OL and Mahon BE. 2012. Increasing rates of vibriosis in the United States, 1996-2010: review of surveillance data from 2 systems. Clin Infect Dis 5, 391-395. https://doi.org/10.1093/cid/cis243. 

  20. No AR, Okada K, Kogure K and Park KS. 2011. Rapid detec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by PCR targeted to the histone-like nucleoid structure (H-NS) gene and its genetic characterization. Lett Appl Microbiol 53, 127-133. http://dx.doi.org/10.1111/j.1472-765X.2011.03072.x. 

  21. Perez-Rosas N and Hazen TC. 1988. In situ survival of Vibrio cholerae and Escherichia coli in tropical coral reefs. Appl Environ Microbiol 54, 1-9. 

  22. Ripabelli G, Sammarco ML, Grasso GM, Fanelli I, Caprioli A and Luzzi I. 1999. Occurrence of Vibrio and other pathogenic bacteria in Mytilus galloprovincialis (mussels) harvested from Adriatic Sea, Italy. Int J Food Microbiol 49, 43-48. https://doi.org/10.1016/S0168-1605(99)00056-2. 

  23. Tamplin ML, Gauzens AL, Huq A, Sack DA and Colwell RR. 1990. Attachment of Vibrio cholerae serogroup O1 to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of Bangladesh waters. Appl Environ Microbiol 56, 1977-1980. 

  24. Tamplin ML, Rodrick GE, Blake NJ and Cuba T. 198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from two Florida estuaries. Appl Environ Microbiol 44, 1466-1470. 

  25. Tokarskyy O, Marshall DL, Dillon J and Andrews LS. 2019. Long-Term depuration of Crassostrea virginica Oysters at different salinities and temperatures changes Vibrio vulnificus counts and microbiological profile. Food Prot 82, 22-29. https://doi.org/10.4315/0362-028X.JFP-18-225. 

  26. US FDA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National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guide for the control of molluscan shellfish, model ordinance. Retrieved from http://www.fda.gov/Food/FoodSafety/Product-SpecificInformation/Seafood/FederalStatePrograms/National Shellfish SanitationProgram/defaulthtm on Dec 12,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