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증유도 RAW264.7 세포와 동물모델에서 구기자와 구기엽의 항염 효능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ruit and leaf extracts of Lycium barbarum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and animal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2, 2019년, pp.129 - 138  

배수미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지은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은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경아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선영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기자 나무의 열매와 잎, 클로로필 제거 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여 항염 기능성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효능 측정은 세포단위와 동물실험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RAW264.7 세포에서는 LPS와 동시에 추출물 (LFE, LLE, LLE with CR)을 처리한 세포에서 NO와 $TNF-{\alpha}$, IL-6, $IL-1{\beta}$ 생성량 및 iNOS와 COX-2의 발현을 측정하였고, 동물실험에서는 7일간 추출물들 (LLE, LLE with CR)을 경구투여한 BALB/c mice에 LPS를 투여하여 염증을 유도한 후 혈청의 $TNF-{\alpha}$, IL-6, $IL-1{\beta}$ 농도와 DNA fragmentation을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에 처리한 추출물들은 모두 $1,000{\mu}g/mL$의 농도까지 세포증식능에 영향을 주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LPS와 추출물을 처리한 세포로부터 생성된 NO와 $TNF-{\alpha}$, IL-6, $IL-1{\beta}$는 모두 유의하게 억제되었고 구기자 추출물에 비하여 구기엽 추출물들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p < 0.05). 또한 세포의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도 구기자< 구기엽<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의 순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LB/c mice 동물모델에서 구기엽 추출물들의 항염 효능을 측정한 결과, 혈청 $TNF-{\alpha}$, IL-6, $IL-1{\beta}$의 농도는 구기엽 추출물 및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 추출물 투여군에서 감소하였으며 그 효과는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구기엽 추출물둘은 DNA 손상보호효과를 유의하게 보였으나 두 군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구기엽 추출물과 클로로필 제거 구기엽 추출물은 항염효능을 가진 천연 소재로 활용되어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개발에서 활용될 수 있으므로 구기자 나무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edicinal herb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health beneficial foods and source materials for drug development. Recen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extracts of Lycium's fruits and roots have a range of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The extract of Lycium's leaves has been re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FE 및 LLE, LLE with CR가 RAW264.7 세포에서 iNOS와 COX-2 단백질의 발현 억제를 통하여 NO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억제하였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Fig.
  • RAW264.7 세포에서 LFE 및 LLE, LLE with CR 추출물들의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LFE 추출물보다 LLE, LLE with CR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으므로 구기엽 추출물만을 이용하여 LPS로 염증을 유발한 동물모델에서 추출물들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의 protocol은 BALB/c mouse에 내독소 LPS를 주입한 후 실험동물의 혈장에서 TNF-α, IFN-γ, IL-6의 생성이 증가하였다고 보고한 Ko 등 [18]와 Cho 등 [19]의 연구에 기초하였다.
  • 구기자 나무의 열매와 잎, 클로로필 제거 잎의 에탄올 추출물들의 항염 효능을 확인하여 항염 기능성 소재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효능 측정은 세포단위와 동물실험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구기엽의 효능평가가 주요 목적이었으므로 구기엽 추출물의 항염 효능을 동물모델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구기엽 추출물 투여 후 LPS 투여군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약 5%의 유의한 체중 감소를 보였는데 이는 LPS 투여에 따른 급성 염증 반응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천연 소재이며 항염 활성을 갖는 기능성 소재로 구기엽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구기자와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식품이나 화장품 소재로 사용할 때 불안정하고 제품의 색상을 어둡게 하는 문제가 있는 구기엽의 클로로필을 제거한 시료의 활성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로로필의 감광 여부에 따른 특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무엇인가? 또한 식물에 편재하는 색소인 클로로필 (chlorophyll)의 산화촉진과 항산화 특성은 감광 여부에 달려 있어서 빛이 없을 때는 클로로필과 그 유도체가 항산화 물질로 작용하지만 빛 아래에서는 광증감제로써 산화촉진제 (pro-oxidant)의 역할을 한다 [14].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아바나 그라비올라 등의 녹엽 추출물에서 클로로필을 제거한 후에 수행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15-16].
염증이란 무엇인가? 염증은 외부 자극이나 조직 손상에 대한 생체 조직의 면역반응으로, 다양한 면역세포에 의해 진행되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과다한 염증반응은 종양 및 만성염증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인체에서 염증반응에 대한 적절한 대응은 질병의 예방이나 발생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1-2].
항염증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은 물질의 특성은 어떠한가? 내독소로 알려진 LPS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 외막에 존재하여, 대식세포에서 세포 내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κB (NF-κB)를 활성화하여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의 유전자 발현을 유도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염증매개물질을 생성한다 [6]. 따라서 염증매개물질을 생성하는 효소의 발현을 저해하거나, 유전자의 발현에 있어 주요 신호전달 역할을 하는 전사인자들의 활성을 조절하는 물질은 항염증제로써 활용 가능성이 높다.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스테로이드성및 비스테로이드성 약제가 항염증제로 이용되고 있지만 이로 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에 따라 최근에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천연물유래 항염증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urr Opin Crit Care Zedler 12 6 595 2006 10.1097/MCC.0b013e3280106806 

  2. Ann Med Isomäki 29 6 499 1997 10.3109/07853899709007474 

  3. Proc Natl Acad Sci U S A Vane 91 6 2046 1994 10.1073/pnas.91.6.2046 

  4. J Immunol Higuchi 144 4 1425 1990 10.4049/jimmunol.144.4.1425 

  5. FASEB J Nathan 6 12 3051 1992 10.1096/fasebj.6.12.1381691 

  6. J Physiol Pharmacol Guzik 54 4 469 2003 

  7. J Ethnopharmacol Zhang 130 2 299 2010 10.1016/j.jep.2010.05.007 

  8. J Korean Soc Food Sci Nutr Kim 37 10 1318 2008 10.3746/jkfn.2008.37.10.1318 

  9. J Ethnopharmacol Xiao 139 2 462 2012 10.1016/j.jep.2011.11.033 

  10. J Nat Med Chen 70 3 610 2016 10.1007/s11418-016-0984-2 

  11. Life Sci Luo 76 2 137 2004 10.1016/j.lfs.2004.04.056 

  12. Molecules Mocan 19 7 10056 2014 10.3390/molecules190710056 

  13. Food Chem Liu 215 284 2017 10.1016/j.foodchem.2016.06.072 

  14. J Funct Foods Albishi 5 3 1191 2013 10.1016/j.jff.2013.04.002 

  15. J Food Biochem Olatunde 42 5 e12600 2018 10.1111/jfbc.12600 

  16. J Soc Cosmet Sci Korea Park 43 4 309 2017 

  17. J Nutr Health Kim 52 1 26 2019 10.4163/jnh.2019.52.1.26 

  18. Int Immunopharmacol Ko 25 1 121 2015 10.1016/j.intimp.2015.01.002 

  19. J Korean Soc Food Sci Nutr Cho 37 9 1126 2008 10.3746/jkfn.2008.37.9.1126 

  20. Environ Mol Mutagen Tice 35 3 206 2000 10.1002/(SICI)1098-2280(2000)35:3<206::AID-EM8>3.0.CO;2-J 

  21. Int Immunopharmacol Oh 13 2 181 2012 10.1016/j.intimp.2012.03.020 

  22. J Korean Soc Food Sci Nutr Cho 47 7 717 2018 10.3746/jkfn.2018.47.7.717 

  23. J Biol Chem Vilcek 266 12 7313 1991 10.1016/S0021-9258(20)89445-9 

  24. Mediators Inflamm Olmos 2014 861231 2014 10.1155/2014/861231 

  25. Nat Rev Rheumatol Gabay 6 4 232 2010 10.1038/nrrheum.2010.4 

  26. Semin Immunol Scheller 26 1 2 2014 10.1016/j.smim.2013.11.002 

  27. Food Hydrocoll Xie 60 148 2016 10.1016/j.foodhyd.2016.03.030 

  28. Mol Med Rep Zhu 8 4 1216 2013 10.3892/mmr.2013.1608 

  29. Br J Nutr González-Gallego 104 Suppl 3 S15 2010 10.1017/S0007114510003910 

  30. J Clin Periodontol Chapple 24 5 287 1997 10.1111/j.1600-051X.1997.tb00760.x 

  31. Biosci Biotechnol Biochem Shibata 63 7 1295 1999 10.1271/bbb.63.1295 

  32. J Food Sci Technol Benjakul 51 11 3026 2014 10.1007/s13197-012-084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