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이스플랜트의 항산화 및 HCT116 인체 유래 대장암세포 성장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in HCT116 human colon cancer cell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2, 2019년, pp.157 - 167  

서진아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지형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ice plant의 ethanol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대장암세포 성장억제 활성을 in vitro 수준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Ethanol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3.7 mg GAE/g),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13.2{\mu}g/g$), DPPH 라디칼 소거활성 (21.0%), 철 환원력 (21.0%)보다 butanol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5.4 mg GAE/g),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 ($86.6{\mu}g/g$), DPPH 라디칼 소거활성 (34.9%), 철 환원력 (80.8%)이 더 높았다. 또한 HCT116 대장암세포에서 세포 내 활성산소종 수준을 감소시키거나 세포 성장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ethanol 추출물보다 butanol 분획물의 활성이 더 컸다.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butanol 분획물이 ethanol 추출물보다 더 효과적이었던 것은 butanol 분획물의 apoptosis 유도활성이 ethanol 추출물의 활성보다 더 컸고 butanol 분획물만이 G2/M기억류활성을 나타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는 주요 활성성분을 분리 동정하고 ice plant의 항산화 활성 및 대장암세포 성장억제 효과가 in vivo 수준에서 재현되는지 검증하며 이와 관련된 세부기전을 탐색하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nd cancer cell growth inhibitory activities of an ethanol extract and different solvent fractions of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ice plant). Methods: The ice plant was freeze-dried, extracted with 99.9%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exan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는 ice plant의 ethanol 추출물과 분획물이 나타낸 시험관 수준의 항산화 효과가 실제 살아있는 암세포 내 에서도 재현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암세포는 정상세포와 비교하여 볼 때 활성산소종 생성 증가와 이로 인한 항산화 방어체계에 대한 의존도 증가와 같은 특징을 가진다 [35].
  • 본 연구는 ice plant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성분 함량,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 세포 내 활성산소종 소거활성, 암세포 성장억제 활성, apoptosis 유도 활성, cell cycle에 미치는 영향 등을 HCT116 인간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암세포는 결함이 일어나도 apoptosis에 의해 잘 사멸되지 않고 정상적인 세포주기 조절에서 벗어나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특징을 가진다 [27]. 본 연구에서는 ethanol 추출물과 butanol 분획물의 HCT116 대장암세포 성장 억제활성이 apoptosis 유도활성이나 세포주기 억류활성 등과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Annexin V로 염색된 세포 비 율 (Fig.
  • 본 연구에서는 ice plant의 ethanol 추출물과 분획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성분 함량 및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 그 중 활성이 높은 분획물을 선별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 소거, 암세포 성장억제, apoptosis 유도, cell cycle 억류 등의 활성을 HCT116 인간 대장암 세포주를 이용하여 in vitro 수준에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나라에서 ice plant는 음식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잎과 줄기 표면에는 염분을 배출하는 블러더세포 (bladder cell)가 있는데, 염분이 맺힌 모양이 얼음결정처럼 보인다 하여 ice plant라고 불린다 [1]. 아프리카에서는 전통적으로 수분 및 염분을 보충하여 탈수를 예방하기 위하여 섭취되어 왔고, 유럽과 일본에서는 짠맛과 고소한 맛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고 기능성 채소로 각광받아 수십 년 전부터 다양한 음식에 적용되어 왔다 [1].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샐러드, 쌈채소 등 생으로 섭취되거나 무침, 탕 등의 음식을 조리할 때 첨가되는 등, 그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다.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쌍을 이루지 못한 전자에 의해 높은 반응성을 획득한 산소 원자나 분자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superoxide anion radical, ·O2-), 하이드록실 라디칼 (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 (hydrogen peroxide, H2O2), 일중항산소 (singlet oxygen, 1O2) 등이 있다 [2]. 활성산소종은 체내 정상적인 대사과정 중에 발생하는데, 방사능, 오염물질,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거나 술, 담배, 약물,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생성되기도 한다 [2].
활성산소종이 체내 항산화 체계에 의해 제거되지 못하면 발생하는 현상은? 활성산소종은 체내 정상적인 대사과정 중에 발생하는데, 방사능, 오염물질, 바이러스 등에 노출되거나 술, 담배, 약물,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인 요인에 의하여 생성되기도 한다 [2].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종이 체내 항산화 체계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지 못하면 산화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생체기능을 저하시키며 노화를 촉진하고 암 등 여러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이에 인체에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Plant Prod Sci Agarie 12 1 37 2009 10.1626/pps.12.37 

  2. Int J Biochem Cell Biol Valko 39 1 44 2007 10.1016/j.biocel.2006.07.001 

  3. Principles of cancer biology Kleinsmith 2006 

  4.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1 Statistics Korea 2012 

  5. Cancer Res Treat Jung 49 2 306 2017 10.4143/crt.2017.130 

  6. World cancer report 2008 Boyle 2008 

  7. Oncogene McCullough 23 38 6349 2004 10.1038/sj.onc.1207716 

  8. J Korean Soc Food Sci Nutr Kang 45 12 1732 2016 10.3746/jkfn.2016.45.12.1732 

  9. J Plant Physiol Amari 171 17 1634 2014 10.1016/j.jplph.2014.06.020 

  10. J Life Sci Nam 27 8 909 2017 

  11. J Life Sci Lee 25 6 638 2015 10.5352/JLS.2015.25.6.638 

  12. Adv Chem Eng Sci Ibtissem 2 3 359 2012 10.4236/aces.2012.23042 

  13. J Korean Soc Food Sci Nutr Kang 46 8 1012 2017 

  14. J Sci Food Agric Lee 94 11 2266 2014 10.1002/jsfa.6552 

  15. Br J Pharmacol Bates 130 8 1944 2000 10.1038/sj.bjp.0703523 

  16. Am J Enol Vitic Singleton 16 3 144 1965 10.5344/ajev.1965.16.3.144 

  17. J Plant Physiol Wellburn 144 3 307 1994 10.1016/S0176-1617(11)81192-2 

  18. Lebenson Wiss Technol Brand-Williams 28 1 25 1995 10.1016/S0023-6438(95)80008-5 

  19. Anal Biochem Benzie 239 1 70 1996 10.1006/abio.1996.0292 

  20. Free Radic Biol Med Wang 27 5-6 612 1999 10.1016/S0891-5849(99)00107-0 

  21. Nutr Res Pract Kwak 9 1 11 2015 10.4162/nrp.2015.9.1.11 

  22. Anticancer Res Bundscherer 33 8 3201 2013 

  23. Cancer Prev Res (Phila) Irons 3 5 630 2010 10.1158/1940-6207.CAPR-10-0003 

  24. Tables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9 

  25. Annu Rev Pharmacol Toxicol Klaunig 44 1 239 2004 10.1146/annurev.pharmtox.44.101802.121851 

  26. Cell Hanahan 144 5 646 2011 10.1016/j.cell.2011.02.013 

  27. The biology of cancer Weinberg 2007 

  28. Korean J Food Cookery Sci Kwak 29 3 241 2013 10.9724/kfcs.2013.29.3.241 

  29. Natural product chemistry method Woo 1995 2 

  30. Ocean Polar Res Seo 39 2 115 2017 10.4217/OPR.2017.39.2.115 

  31. J Korean Soc Food Sci Nutr Jeon 41 9 1197 2012 10.3746/jkfn.2012.41.9.1197 

  32. J Appl Biol Chem Pak 57 4 353 2014 10.3839/jabc.2014.056 

  33. Korean J Food Sci Technol Kim 46 1 13 2014 10.9721/KJFST.2014.46.1.13 

  34. J Life Sci Lee 25 11 1311 2015 10.5352/JLS.2015.25.11.1311 

  35. Cancer Lett Prasad 387 95 2017 10.1016/j.canlet.2016.03.042 

  36. Korean J Food Sci Technol Kang 48 6 574 2016 10.9721/KJFST.2016.48.6.574 

  37. Korean J Herbol Lee 33 4 69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